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K컬처 트렌드 2024

영화, 드라마, 예능, 웹툰, 대중음악으로 보는 K컬처의 모든 것!

김영대,정명섭,정덕현,김소원,조일동 저 외 9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미다스북스(리틀미다스) | 2024년 1월 16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예술 대중문화 > 대중문화
파일정보
EPUB(DRM) 48.40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4명)

저 : 김영대 (Youngdae Kim)
음악평론가. 미국 워싱턴대학 음악인류학 박사. 《뉴욕매거진》, MTV, 《롤링스톤》, 《한겨레》, 《시사저널》 등에 음악평론을 기고했고, NPR, NBC, 워싱턴포스트, 아사히 방송에 출연해 K-팝 현상을 소개했다. MAMA 어워드·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이며 저서로 『지금 여기의 아이돌-아티스트』, 『BTS: The Review』 등이 있다. 음악평론가. 미국 워싱턴대학 음악인류학 박사. 《뉴욕매거진》, MTV, 《롤링스톤》, 《한겨레》, 《시사저널》 등에 음악평론을 기고했고, NPR, NBC, 워싱턴포스트, 아사히 방송에 출연해 K-팝 현상을 소개했다. MAMA 어워드·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이며 저서로 『지금 여기의 아이돌-아티스트』, 『BTS: The Review』 등이 있다.
저 : 정명섭
서울에서 태어나서 대기업 샐러리맨과 바리스타를 거쳐 현재 전업 작가로 활동 중이다. 다양한 장르의 글을 쓰고 있으며 강연과 라디오, 유튜브와 팟캐스트 출연 등을 통해 독자와 만나고 있다. 글은 남들이 볼 수 없는 은밀하거나 사라진 공간을 이야기할 때 빛난다고 믿는다. 『미스 손탁』 『어린 만세꾼』 『저수지의 아이들』 『훈민정음 해례본을 찾아라』 『시간을 잇는 아이』 『기억 서점』 『조선의 형사들』 등의 역사소설을 집필했다. 2013년 『기억, 직지』로 제1회 직지소설문학상 최우수상을, 2016년 『조선변호사 왕실소송사건』으로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NEW 크리에이터상을, 20... 서울에서 태어나서 대기업 샐러리맨과 바리스타를 거쳐 현재 전업 작가로 활동 중이다. 다양한 장르의 글을 쓰고 있으며 강연과 라디오, 유튜브와 팟캐스트 출연 등을 통해 독자와 만나고 있다. 글은 남들이 볼 수 없는 은밀하거나 사라진 공간을 이야기할 때 빛난다고 믿는다. 『미스 손탁』 『어린 만세꾼』 『저수지의 아이들』 『훈민정음 해례본을 찾아라』 『시간을 잇는 아이』 『기억 서점』 『조선의 형사들』 등의 역사소설을 집필했다. 2013년 『기억, 직지』로 제1회 직지소설문학상 최우수상을, 2016년 『조선변호사 왕실소송사건』으로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NEW 크리에이터상을, 2020년 『무덤 속의 죽음』으로 한국추리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저 :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 어려서부터 TV를 끼고 살던 그를 어머니는 커서 뭐가 될까 걱정했지만 좋아하는 걸 계속하다 보니 드라마, 예능, 영화 보고 음악 들으며 글 쓰고 방송하고 강연하는 일로 먹고살고 있다. 대중문화가 가진 통속성이 때론 그 어떤 위인들의 철학만큼 우리네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는 그는, 그래서 드라마 한 편을 통해 나누는 수다와 주장들이 실제 현실을 바꾸는 중요한 힘이라고 생각한다. 평론가로 불리며 어쩔 수 없이 평가하는 일을 하고 있지만, 그보다는 대중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걸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MBC 시청자 평가원, JTBC ... 대중문화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 어려서부터 TV를 끼고 살던 그를 어머니는 커서 뭐가 될까 걱정했지만 좋아하는 걸 계속하다 보니 드라마, 예능, 영화 보고 음악 들으며 글 쓰고 방송하고 강연하는 일로 먹고살고 있다. 대중문화가 가진 통속성이 때론 그 어떤 위인들의 철학만큼 우리네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는 그는, 그래서 드라마 한 편을 통해 나누는 수다와 주장들이 실제 현실을 바꾸는 중요한 힘이라고 생각한다. 평론가로 불리며 어쩔 수 없이 평가하는 일을 하고 있지만, 그보다는 대중들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걸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MBC 시청자 평가원, JTBC 시청자 위원으로 활동했고, 백상예술대상·대한민국예술상 심사위원이며 SBS 〈열린TV 시청자 세상〉, KBS 〈연예가중계〉와 〈비인칭 시점〉, MBC 〈무한도전〉 등 다양한 방송에 출연했다. 저서로는 『숨은 마흔 찾기』, 『드라마 속 대사 한마디가 가슴을 후벼팔 때가 있다』, 『다큐처럼 일하고 예능처럼 신나게』 등이 있다.
저 : 김소원
만화연구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대중서사학회·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 한국만화웹툰학회 편집위원장. 『시대가 그려낸 소녀: 한일순정만화의 역사』, 『만화웹툰작가평론선-김진』, 『만화웹툰작가평론선-강경옥』,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이빈』 등의 저서가 있다. 만화연구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대중서사학회·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편집위원. 한국만화웹툰학회 편집위원장. 『시대가 그려낸 소녀: 한일순정만화의 역사』, 『만화웹툰작가평론선-김진』, 『만화웹툰작가평론선-강경옥』,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이빈』 등의 저서가 있다.
저 : 조일동
문화인류학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대중음악 웹진 《음악취향Y》 편집장. 한국대중음악학회·한국시각인류학회 연구이사.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미디어 기술과 대중문화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저역서로 『신해철 다시 읽기』, 『공감대화』, 『미국 대중음악』 등이 있다. 문화인류학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대중음악 웹진 《음악취향Y》 편집장. 한국대중음악학회·한국시각인류학회 연구이사.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미디어 기술과 대중문화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저역서로 『신해철 다시 읽기』, 『공감대화』, 『미국 대중음악』 등이 있다.
저 : 이현경
영화평론가. ‘씨네21 영화평론상’을 수상. 대한민국영화대상, 부일영화상 심사위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으로 활동했다. 평론집 『영화, 내 맘대로 봐도 괜찮을까?』, 공저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등이 있다. 단편영화 <행복엄마의 오디세이> 등을 연출했다. 영화평론가. ‘씨네21 영화평론상’을 수상. 대한민국영화대상, 부일영화상 심사위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으로 활동했다. 평론집 『영화, 내 맘대로 봐도 괜찮을까?』, 공저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등이 있다. 단편영화 <행복엄마의 오디세이> 등을 연출했다.
저 : 조한기
영화평론가. 만화평론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18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평론상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만화비평 공모전 대상을 수상해 등단했다.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영화감독』, 『영화로 읽는 도시』 등을 공저했다. 영화평론가. 만화평론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2018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평론상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만화비평 공모전 대상을 수상해 등단했다.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영화감독』, 『영화로 읽는 도시』 등을 공저했다.
저 : 정민아
영화평론가. 성결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상문화학회 연구이사. 한국영화사 및 아시아영화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등에서 심사위원을 했다. 저서로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The Korean Cinema Book』 등이 있다. 영화평론가. 성결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상문화학회 연구이사. 한국영화사 및 아시아영화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등에서 심사위원을 했다. 저서로 『K콘텐츠 코드』, 『봉준호 코드』, 『The Korean Cinema Book』 등이 있다.
저 : 김형석
영화저널리스트. 춘천영화제 운영위원장 겸 프로그래머. 시네마테크 ‘문화학교 서울’에서 영화 공부를 시작했고, 영화전문지 《스크린》 편집장, 평창국제평화영화제 프로그래머를 역임했다. 저서로 『KIM Jee-woon』, 『1990년대 한국영화』, 『영화 편집』, 『21세기 한국영화』 등이 있다. 영화저널리스트. 춘천영화제 운영위원장 겸 프로그래머. 시네마테크 ‘문화학교 서울’에서 영화 공부를 시작했고, 영화전문지 《스크린》 편집장, 평창국제평화영화제 프로그래머를 역임했다. 저서로 『KIM Jee-woon』, 『1990년대 한국영화』, 『영화 편집』, 『21세기 한국영화』 등이 있다.
저 : 배동미
영화 주간지 《씨네21》 기자. 영화진흥위원회 발간 월간지 《한국영화》 필자로도 활동 중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영상이론을 전공했으며, 공저로 『세상을 구하는 영화관』, 『이상한 나라의 학교』, 『내 몸에 독이 흐른다? TV에도 독이 흐른다!: 2014 좋은 방송을 위한 시민의 비평상 수상집』이 있다. 영화 주간지 《씨네21》 기자. 영화진흥위원회 발간 월간지 《한국영화》 필자로도 활동 중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영상이론을 전공했으며, 공저로 『세상을 구하는 영화관』, 『이상한 나라의 학교』, 『내 몸에 독이 흐른다? TV에도 독이 흐른다!: 2014 좋은 방송을 위한 시민의 비평상 수상집』이 있다.
저 : 고윤화
대중음악학자. 숭실사이버대 특임교수. 연세대학교에서 디지털음악에 대한 연구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문화기술융합컨소시엄(Artist First Alliance, AFA) 디렉터, 한국콘텐츠진흥원·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전문심의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예술경영과 예술행정??, ??음악의 이해와 감상?? 등이 있다. 대중음악학자. 숭실사이버대 특임교수. 연세대학교에서 디지털음악에 대한 연구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문화기술융합컨소시엄(Artist First Alliance, AFA) 디렉터, 한국콘텐츠진흥원·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전문심의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예술경영과 예술행정??, ??음악의 이해와 감상?? 등이 있다.
저 : 고일권
웹툰작가. 만화가. 2013년 데뷔하여 꾸준히 사극 작품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네이버웹툰에서 사극 <칼부림>을 연재중이며 그 외 다양한 플랫폼에서 <1894-동학 최후의 전투 장흥석대들>, <여식>, <별을 품은 아이> 등 다수의 작품을 연재하였다. 웹툰작가. 만화가. 2013년 데뷔하여 꾸준히 사극 작품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네이버웹툰에서 사극 <칼부림>을 연재중이며 그 외 다양한 플랫폼에서 <1894-동학 최후의 전투 장흥석대들>, <여식>, <별을 품은 아이> 등 다수의 작품을 연재하였다.
저 : 김선영
TV평론가. 칼럼니스트. 《경향신문》에 ‘김선영의 드라마토피아’, 《시사인》에 ‘K콘텐츠의 순간들’ 연재 등 다수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서울국제드라마어워즈, 한국방송대상 등 여러 콘텐츠 시상식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SBS와 MBC 시청자평가원을 비롯해 다양한 TV비평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진행했다. TV평론가. 칼럼니스트. 《경향신문》에 ‘김선영의 드라마토피아’, 《시사인》에 ‘K콘텐츠의 순간들’ 연재 등 다수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서울국제드라마어워즈, 한국방송대상 등 여러 콘텐츠 시상식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SBS와 MBC 시청자평가원을 비롯해 다양한 TV비평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진행했다.
저 : 백태현
경희대학교 학술연구교수.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화사 및 대중문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한류와 K콘텐츠 연구로 관심사를 확장하고 있다. 대학에서 영화학 강의를 하고 있으며 공저로 『영화란 무엇인가』와 『야누스의 여신 이은주』가 있다. 경희대학교 학술연구교수. 한국영화학회 편집위원. 한국영화사 및 대중문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한류와 K콘텐츠 연구로 관심사를 확장하고 있다. 대학에서 영화학 강의를 하고 있으며 공저로 『영화란 무엇인가』와 『야누스의 여신 이은주』가 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