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구양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구양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歐陽修
구양수(歐陽修)는 1007년에 출생해 1072년까지 66년을 살았다. 1007년부터 1030년까지는 관직 생활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하며 보냈다. 그는 4세 때 부친을 잃고 모친과 함께 백부 구양엽(歐陽曄)이 추관(推官)으로 있는 수주(隨州)로 가서 생활하며 빈궁한 어린 시절을 보낸다. 어려서부터 구양수는 한유(韓愈)의 깊고 예리한 문장에 매력을 느꼈고 그를 추앙했다. 1023년 17세 때 처음으로 수주의 지방 고시에 참가하지만 그의 용운(用韻)이 관운(官韻)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실패한다. 그 뒤 1028년 명사인 서언(胥偃)을 찾아가 자신의 문장을 보여주었다. 서언은 구양수의 웅대한 문장에 감탄해 그를 자신의 문하에 받아들이게 된다. 그해 겨울 서언과 함께 경사로 가서 춘계국자감고시(春季國子監考試)에 응시한 구양수는 수석의 영광을 얻었고, 가을에는 국학(國學)에 응시해 또 수석을 차지하게 된다. 1034년에는 아내와 자식이 죽는 아픔을 겪었으나 1043년 인종(仁宗)은 언로(言路)를 확장하기 위해 간관(諫官)을 늘리면서 구양수 등을 지간원(知諫院)으로 삼고 여정(余靖)을 우정언(右正言)으로 임명하자 같은 해 4월에 구양수는 경사로 돌아온다. 1054년 수년 만에 구양수를 만난 인종은 그의 노쇠한 외모와 상황을 측은히 여겨 극진히 대우하며 이부(吏部)의 유내전(流內銓)에 임명한다. 당시 구양수의 정적들은 그의 기용에 두려움을 느끼고 각종 모함과 구설수를 만들었지만, 구양수는 지속적으로 경사에 머무르며 『당서(唐書)』 편찬에 참여하게 되고 한림학사 겸 사관수찬(翰林學士兼史館修撰)으로 승진하게 된다. 구양수는 66세의 나이로 천명을 다했고, 2년 후에 조정에서 ‘문충(文忠)’이라는 시호(諡號)를 내렸다. ‘문충’은 그가 일생 동안 이루어낸 문학적 위업의 저력을 알 수 있는 상징이다.

구양수의 다른 상품

구양수 사선(歐陽修詞選) 큰글씨책

구양수 사선(歐陽修詞選) 큰글씨책

25,000

'구양수 사선(歐陽修詞選)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구양수 사선(歐陽修詞選)

구양수 사선(歐陽修詞選)

14,800

'구양수 사선(歐陽修詞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소동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소동파
관심작가 알림신청
蘇東坡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 이름은 식(軾)이며, 1036년 중국 사천성에서 태어났다. 부친 소순(蘇洵), 아우 소철(蘇轍)과 더불어 ‘삼소(三蘇)’라 불린다. 송나라 제1의 시인이며, 시, 사(詞), 산문, 부(賦), 서예, 그림 등 여러 장르에 모두 뛰어나 각기 시대의 최고봉으로, 문장에 있어서도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22세에 진사에 급제하고, 구양수(歐陽修)에게 인정을 받아 문단에 등장하였고,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이 실시되자 ‘구법당(舊法黨)’에 속했던 그는 지방관으로 전출되었다. 그의 나이 44세에 “독서가 만 권에 달하여도 율(律)은 읽지 않는다”는 말이 빌미가 된 필화사건으로 감옥에 갇혔고, 호북성 황주(黃州)로 유배되었다가, 50세 되던 해 구법당이 득세하자 그는 승진을 계속하여 57세에 병부상서(兵部尙書), 예부상서(禮部尙書) 등의 고관(高官)을 역임하였다. 황태후(皇太后)의 죽음을 계기로 신법당이 다시 세력을 잡자 광동성 혜주(惠州)와 중국 최남단인 해남도(海南島)로 유배되었다가 귀양살이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강소성 상주(常州)에서 1101년에 사망하였다.

소동파의 다른 상품

소동파 사선

소동파 사선

16,800

'소동파 사선' 상세페이지 이동

소동파 사선 (큰글자책)

소동파 사선 (큰글자책)

32,000

'소동파 사선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소동파 산문선 (큰글자책)

소동파 산문선 (큰글자책)

32,000

'소동파 산문선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소동파 시선 (큰글자책)

소동파 시선 (큰글자책)

28,000

'소동파 시선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소동파 산문선

소동파 산문선

18,000

'소동파 산문선' 상세페이지 이동

소동파 시선

소동파 시선

12,000

'소동파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텅 비니 만 가지 경지가 다 담기네

텅 비니 만 가지 경지가 다 담기네

22,000

'텅 비니 만 가지 경지가 다 담기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유미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유미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남대학교 한문고전번역 협동과정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위당 김재희 선생의 지도를 받으면서 경서를 읽었고 『후창집』과『장헌유고』를 번역하면서 틈틈이 논문을 썼다.

「『구소수간』의 소동파 황주시기 수간 연구」
「『구소수간』의 소동파 혜주,담주 시기 수간 연구」 「소동파의 붕우관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