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박상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상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육아정책연구소장. 전남 완도 출생. 고려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대학원 유아교육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간의 삶에 영향을 주는 교육환경 중 인류 대대로 내려오는 이야기의 힘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시작했다. 『유아문학-이론과 적용』, 『독서치료』 등 유아문학 관련 다수의 저자이며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와 한국독서치료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장을 역임하면서 어린이문학의 세계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실천적 활동에 매진했다. 광신대 유아교육과 교수, 동 대학원 통합예술치료학과 주임교수 및 보육교사교육원장을 역임했다. 영유아들의 행복한 성장과 발달에는 부모와 교사의 행복감과 직업만족도가 필수라는 생각을 하며 부모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나 소진요인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출판했다. 또한 교정시설과 가정폭력 피해자 쉼터 등에서 다양한 개인과 가족을 만나 이야기와 영화 등을 통해 가족상담 활동을 했다.

저 : 조희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희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조희연의 다른 상품

지금 만나러 갑니다

지금 만나러 갑니다

18,000 (10%)

'지금 만나러 갑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입시의 몰락

입시의 몰락

13,500 (10%)

'입시의 몰락' 상세페이지 이동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13,500 (10%)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상세페이지 이동

일본 탐방

일본 탐방

16,200 (10%)

'일본 탐방' 상세페이지 이동

투 트랙 민주주의 2

투 트랙 민주주의 2

31,000

'투 트랙 민주주의 2' 상세페이지 이동

투 트랙 민주주의 1

투 트랙 민주주의 1

32,000

'투 트랙 민주주의 1' 상세페이지 이동

교육감의 페이스북

교육감의 페이스북

20,000

'교육감의 페이스북' 상세페이지 이동

일등주의 교육을 넘어

일등주의 교육을 넘어

27,550 (5%)

'일등주의 교육을 넘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반상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반상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 한국교육개발원장,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 동국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를,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교육행정, 교육재정, 교육경제학, 교육정치학, 교육정책을 강의하고 있고, 최근 주요 연구주제는 대학 구조 개혁, 대학 재정지원 사업 관련 고등교육 정책, 대학 등록금 정책, 대전환시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교육재정 정책 등이다. (사)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소장, 한국교육정치학회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장, 한국교육행정학회장을 역임했으며, UNESCO 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 교육부 대학구조개혁위원 등으로 일했다. 그리고 제18대 한국교육개발원장을 역임했다. 『동향과 전망』에 기재한 「대학 재정과 대학 등록금 무엇이 문제인가?」는 국내 학술논문 이용에서 상위를 차지한 바 있다.

저서로 『대학평가의 정치학』(2018), 『교육재정학』(2014), 『생산가능인구 감소시대 인력정책 10대 이슈』(2014),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명』(2012),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2011), 『고등교육경제학』(2008) 등이 있다.

반상진의 다른 상품

한국 대학체제의 새판 짜기

한국 대학체제의 새판 짜기

18,000

'한국 대학체제의 새판 짜기'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 평가의 정치학 큰글씨책

대학 평가의 정치학 큰글씨책

28,000

'대학 평가의 정치학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 평가의 정치학

대학 평가의 정치학

17,800

'대학 평가의 정치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나영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나영돈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고용정보원장. 경북 청도 출생. 한국외대 아프리카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석사를, 프랑스 파리 국립기술직업대(CNAM)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34회 행정고시 출신으로 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정책관, 직업능력정책관, 청년여성고용정책관, 노동시장정책관, 서울지방고용노동청장, 고용정책실장을 역임했다. 고용정책은 취약계층을 우선하고 지역의 산업계가 중심이 되어야 하며, 커리어 개발을 지원하여 디지털 역량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으로 전 국민의 생애경력개발을 지원하는 잡케어(JobCare)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저 : 강대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대중
관심작가 알림신청
姜大仲
서울대학교 교수이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제5대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 연구 분야는 평생학습 이론, 생애사 연구 방법,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등이다. 평생학습이라는 렌즈로 그동안 교육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들의 삶, 생활, 인생을 연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탈)식민화 기관이자 참여적 학습공간으로서 박물관: 한국의 경험[Museum as a (de-)colonizing agency and par?ticipatory learning space: South Korean experience]”(공저, 2019), “이동 중 실종 혹은 또 다른 개념화: 한국에서 관점전환학습이론의 (그릇된) 전용[Lost in travel or a different conception? (Mis-)appropriation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n the Republic of Korea]”(공저, 2017),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공저, 2017) 등이 있다. 저서로는 『혼란한 시대에 학습사회 강화하기(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공저, 2021), 『한국 예술가와 장인의 삶과 학습: 라이조액티비티(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2015)가 있다.

강대중의 다른 상품

총장의 뉴 리더십

총장의 뉴 리더십

19,000

'총장의 뉴 리더십'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20,000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학부모

대한민국 학부모

19,800

'대한민국 학부모'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학부모 (큰글씨책)

대한민국 학부모 (큰글씨책)

39,800

'대한민국 학부모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큰글씨책)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큰글씨책)

25,000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14,250 (5%)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상세페이지 이동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큰글씨책)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큰글씨책)

28,000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진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진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가교육회의 의장. 충남 당진 출생. 서울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 『한국문학』 시 부문 신인상 당선으로 등단했으며, ‘5월시’ 동인으로 활동했다. 한성고·우신고·양정고·전동중에서 교사로 일했다. 1985년 교육 개혁을 부르짖은 『민중교육』지 사건으로 해직과 옥고를 치른 후 교육운동에 투신했다. 1989년 초대 정책실장으로 전교조 창립을 주도했다.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비서관, 중국 쑤저우(蘇州)대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기획단장(1기)을 거쳐 현재 국가교육회의 의장(2~4기)으로 있다.

시집 『갈문리의 아이들』, 『광화문을 지나며』, 『우리 시대의 예수』, 『슬픔의 힘』, 장편 소설 『이리』, 어른을 위한 동화 『은행나무 이야기』, 교육에세이집 『스스로를 비둘기라고 믿는 까치에게』, 어린이책 『한울이 도깨비 이야기』, 산문집 『30년에 300년을 산 사람은 어떻게 자기 자신일 수 있을까』 등 다양한 책을 썼다. 한국 최초의 판타지 연작 동화인 『고양이 학교』로 프랑스 아동·청소년문학상 앵코립튀블 상을 받았다.

저 : 윤상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상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KNOU위클리 기자. 경북 포항 출생. 성균관대, 프랑스 몽펠리에 3대학과 엑스 마르세유 1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SBS 창사특집 4부작 다큐멘터리 ‘최후의 바다, 태평양’의 통번역 및 프렌치 폴리네시아 현지 코디네이터를 맡았고, [교수신문], [뉴스컬처],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 [아주경제]에서 기자 생활을 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6 연극 부문 우수 리뷰에 선정된 바 있고, 공저로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 40곳』(후마니타스)이 있다. 사람 만나기를 좋아하고, 이야기 듣기는 더 좋아한다. 언젠가는 사람들 기억 속에 한 시절의 추억으로 남을 ‘인생 영화’를 만든다는 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