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1명)

이전

글 : 강소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강소천
관심작가 알림신청
1915년 함경남도 고원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용률이다. 함흥 영생 고등 보통학교에 재학 중이1930년, 어린이 잡지인 〈신소년〉과 〈아이생활〉에 동요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그 뒤 주로 동시와 동요 노랫말을 쓰다가 1939년 동아일보에 「돌멩이」를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동화를 쓰기 시작했다. 해방 후에는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6·25 때 홀로 월남해 문교부에서 교과서 만드는 일을 했다. 어린이 잡지인 〈새벗〉과 〈어린이 다이제스트〉 주간으로 있으면서 아동문학 발전에 힘썼으며 1957년 동화작가 마해송 등과 함께 ‘어린이 헌장’의 초안을 썼다.
한국 아동문학 연구회 회장을 지내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던 강소천은 1963년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1965년 강소천의 업적을 기리며 ‘소천아동문학상’이 제정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대표작으로 동요(가운뎃점)동시집 『호박꽃 초롱』, 동화집 『조그만 사진첩』, 『꽃신』, 『꿈을 찍는 사진관』, 『무지개』, 『인형의 꿈』, 『꾸러기와 몽당연필』, 『대답 없는 메아리』, 『해바라기 피는 마을』 등이 있다.

강소천의 다른 상품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12,150 (10%)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상세페이지 이동

무지개

무지개

10,800 (10%)

'무지개' 상세페이지 이동

종소리

종소리

9,900 (10%)

'종소리' 상세페이지 이동

호박꽃 초롱

호박꽃 초롱

9,900 (10%)

'호박꽃 초롱' 상세페이지 이동

강소천 동시선집

강소천 동시선집

17,100 (5%)

'강소천 동시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강소천 동화선집

강소천 동화선집

12,000

'강소천 동화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꿈을 찍는 사진관

꿈을 찍는 사진관

11,700 (10%)

'꿈을 찍는 사진관' 상세페이지 이동

바둑이와 편지

바둑이와 편지

4,500 (10%)

'바둑이와 편지' 상세페이지 이동

글 : 권태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권태응
관심작가 알림신청
權泰應, 동천(洞泉)
호는 동천(洞泉). 1918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났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7년 일본 와세다(早稻田)대학 정경학부에 입학했다. 1939년 ‘독서회 사건’으로 일경에 검거되어 1년간 감옥 생활을 했다. 폐결핵 3기의 몸으로 귀국하여 요양생활을 하며 1944년 초부터 시조와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후 동시 쓰기에 몰두하여 작고하기 전까지 『송아지』 『하늘과 바다』 『우리 시골』 『어린 나무꾼』 『물동우』 『우리 동무』 『작품』 『동요와 또』 『산골 마을』 등 아홉 권의 육필 동시집을 손수 엮었다. 1947년 잡지 『주간 소학생』 45호에 동요 「어린 고기들」을 발표했고, 이듬해 동요집 『감자꽃』(글벗집)을 출간했다. 1951년 전쟁 통에 병세가 악화되어 34세 나이로 별세했다. 1968년 충주 탄금대 공원에 「감자꽃」 노래비가 세워졌고, 1995년 동시선집 『감자꽃』(창작과비평사)이 간행되었다. 1997년부터 충주에서 시인을 기리는 문학제가 열리고 있으며, 2005년 정부에서는 독립유공자로서의 공훈을 인정하여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권태응의 다른 상품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7,650 (10%)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열두 개의 달 시화집 봄

열두 개의 달 시화집 봄

16,920 (10%)

'열두 개의 달 시화집 봄' 상세페이지 이동

권태응 전집 3 (큰글자도서)

권태응 전집 3 (큰글자도서)

23,000

'권태응 전집 3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권태응 전집 2 (큰글자도서)

권태응 전집 2 (큰글자도서)

23,000

'권태응 전집 2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권태응 전집 1 (큰글자도서)

권태응 전집 1 (큰글자도서)

23,000

'권태응 전집 1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권태응 전집

권태응 전집

34,200 (10%)

'권태응 전집' 상세페이지 이동

열두 개의 달 시화집 - 三月, 四月, 五月

열두 개의 달 시화집 - 三月, 四月, 五月

26,460 (10%)

'열두 개의 달 시화집 - 三月, 四月, 五月 ' 상세페이지 이동

글 : 김소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김소월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素月, 김정식
1902년 9월 7일 평안북도 구성군에 있는 외가에서 부친 김성도와 모친 장경숙의 장자로 출생한다. 본명은 김정식이다. 태어난 지 백일 후부터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의 본가에서 자란다. 1904년 부친 김성도가 당시 경의선 철도 부설공사를 하던 일본 목도꾼에게 폭행을 당한 이후 정신 이상 증세에 시달린다. 김소월은 광산을 경영하는 할아버지의 손에서 컸는데, 이 무렵 시인의 길로 가도록 영향을 준 숙모 계희영을 만났다. 1915년 평안북도 곽산의 4년제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안북도 정주에 있는 오산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김억과 사제관계를 맺게 되고 한시, 민요시, 서구시 등을 본격적으로 접하게 된다. 후에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여 1923년 졸업했다. 이후 일본 도쿄 상과대학교에 입학 후 귀국했을 시점에 시인 나도향과 만나 친구가 되었다. 일제강점기 시절 이별과 그리움을 주제로 우리 민족의 한과 슬픔을 노래하는 시를 썼다. 김소월은 자신의 문학적 스승인 김억의 격려를 받아 그의 지도 아래 시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1920년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등 5편을 소월(素月)이라는 필명으로 동인지 『창조』 5호에 처음으로 시 「그리워」를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오산학교를 다니는 동안 김소월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1921년 [동아일보]에 「봄밤」, 「풀 따기」 등을 발표했다. 1922년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를 개벽지에 발표하였으며, 1925년에 시론 「시혼(詩魂)」을 발표하고, 같은 해 7월호에 떠나는 님을 진달래로 축복하는 한국 서정시의 기념비적 작품인 『진달래꽃』을 발표하여 크게 각광받았다. 이는 시인이 생전에 낸 유일한 시집으로 기록된다. 그 밖에 1923년 『깊고 깊은 언약』 『접동새』 1924년 『밭고랑 위에서』 『생과 사』 1926년 『봄』 『저녁』 『첫눈』 1934년 『제이, 엠, 에스』 『고향』 등을 발표했다.

1923년 도쿄상업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중퇴하고 귀국했다. 김소월은 고향으로 돌아간 후 조부가 경영하는 광산일을 돕다가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어 1926년평안북도 구성군 남시에서 [동아일보 지국]을 개설하고서 이도 실패하자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기도 했다. 예민한 성격이었던 김소월은 이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이후 류머티즘을 앓으며 친척들에게도 대접을 받지 못하는 등 고생하다가 1934년 12월 24일 만 32세의 나이로 평안북도 곽산에서 아편을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939년 스승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素月詩抄)』가 발간된다. 1977년 [문학사상] 11월호에 미발표 소월 자필 유고시 40여 편이 발굴, 게재된다.

김소월의 다른 상품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11,700 (10%)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 상세페이지 이동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12,600 (10%)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15,7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15,120 (10%)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12,150 (10%)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상세페이지 이동

글 : 방정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방정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시 종로구 야주개(현 당주동)에서 미곡상과 어물전을 경영하던 방경수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일제 식민치하 사람 대접을 못 받던 불쌍하고 학대받던 조선 어린이를 위해 그는 수많은 선구적 사업을 몸소 개척하며 우리나라 어린이 운동사에 잊을 수 없는 발자취를 남겼다.

1921년 5월 1일 천도교소년회를 조직하고 1922년 처음 어린이날을 선포한 데 이어, 이듬 해 1923년 제1회 어린이날을 전국 규모로 개최함으로써 ‘어린이날’을 확대 정착시켰다. 1923년 3월 순문예 잡지 [어린이]를 창간하고, 같은 해 5월 1일 일본 동경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어린이 문제 연구 단체인 〈색동회〉를 창립하였다. 1919년 3.1 독립운동 이후 어린이 문제의 연구와 사명을 진지하게 각성하고 동요, 동화, 동화극, 아동자유화, 세계아동예술전람회 등 우리나라 어린이 문학과 예술 방면의 성장과 부흥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은 일제에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한 독립운동과 다르지 않았다. 이러한 공훈으로 방정환은 2017년 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국가 보훈처)로 선정되었다. 생전에 남긴 유일한 책은 세계명작동화집 『사랑의 선물』(1922, 개벽사)이며, 그밖에 동요 「귀뚜라미 소리」, 「눈」, 동화 「호랑이 형님」, 「사월 그믐날밤」, 소년소설 「만년샤쓰」, 소년탐정소설 「칠칠단의 비밀」 등 어린이를 위해 뛰어난 문학을 많이 남겼다.

방정환의 다른 상품

방정환 장편문학

방정환 장편문학

13,320 (10%)

'방정환 장편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방정환의 어린이 찬미 (큰글자책)

방정환의 어린이 찬미 (큰글자책)

34,000

'방정환의 어린이 찬미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2023 어린이 도서 연구회 추천도서 8-9세 A세트(11권)

2023 어린이 도서 연구회 추천도서 8-9세 A세트(11권)

148,950 (10%)

'2023 어린이 도서 연구회 추천도서 8-9세 A세트(11권)' 상세페이지 이동

불멸의 문장들

불멸의 문장들

18,000 (10%)

'불멸의 문장들' 상세페이지 이동

방정환 시와 동화

방정환 시와 동화

5,310 (10%)

'방정환 시와 동화' 상세페이지 이동

4월 그믐날 밤

4월 그믐날 밤

17,100 (5%)

'4월 그믐날 밤 ' 상세페이지 이동

방정환 작품집

방정환 작품집

18,000 (10%)

'방정환 작품집' 상세페이지 이동

글 : 윤동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윤동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尹東柱
일제강점기 저항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 암울한 현실 속에서 민족에 대한 사랑과 독립의 절절한 소망을 노래한 민족시인. 우리 것이 탄압받던 시기에 우리말과 우리글로 시를 썼다. 윤동주는 어둡고 가난한 생활 속에서 인간의 삶과 고뇌를 사색하고, 일제의 강압에 고통받는 조국의 현 실을 가슴 아파하는 철인이었다. 그의 사상은 짧은 시 속에 반영되어 있다. 1917년 12월 30일 만주 북간도 명동촌에서 윤영석과 김룡의 맏아들로 출생했다. 윤동주는 청춘 시인이다. 절친한 친구였던 문익환 목사의 시 ‘동주야’에 의하면 아직 새파란 젊은이로 기억되고 있었다. 한글을 구사하면서 작품을 발표한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만주 용정과 경성 신촌 일대에서 문학청년들과 몸을 부대끼며 시를 썼기에 청춘의 고뇌가 담겨 있다. 1925년(9세) 4월 4일, 명동 소학교에 입학했다. 1927년 고종사촌인 송몽규 등과 함께 문예지 [새 명동]을 발간했다. 1931년(15세)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1932년(16세) 은진중학교에 입학했다. 1934년(18세) 12월 24일, 「삶과 죽음」, 「초한대」, 「내일은 없다」 등 3편의 시 작품을 썼고 이는 오늘 날 찾을 수 있는 윤동주 최초의 작품이다. 1935년(19세) 은진중학교 4학년 1학기를 마치고 평양 숭실중학교 3학년 2학기로 편입했다. 같은 해 평양 숭실중학교 문예지 [숭실활천]에서 시 ‘공상’이 인쇄화되었다. 1936년 신사참배 강요에 항의하여 숭실학교를 자퇴하고 [카톨릭 소년]에 동시 「병아리」, 「빗자루」를, 1937년 [카톨릭 소년]에 동시 「오줌싸개 지도」, 「무얼 먹고 사나」, 「거짓부리」를 발표했다. 1938년(22세)2월 17일 광명중학교 5학년을 졸업하고 서울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 문과에 입학했고 1939년 조선일보에 「유언」, 「아우의 인상화」, [소년(少年)]지에 「산울림」을 발표하였다. 처음 윤동주 시들은 노트에 봉인된 채, 인쇄되지도 않았고 신문 지면에 발표되지 않았다. 그가 후쿠오카 감옥에서 숨지고 난 후 동문들이 그의 노트에 있던 시를 모아 정음사에서 출판한다. 유해가 안치된 지 3년 후, 그러니까 1948년, 조선은 대한민국으로 국호가 바뀌어 혼란한 시기에 청춘 시가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여 1941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던 해인 1941년「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발간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자필로 3부를 남긴 것이 광복 후에 정병욱과 윤일주에 의하여 다른 유고와 함께「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1948)라는 제목으로 간행되었다. 만주 북간도에서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여, 조선일보, 경향신문 등에 「달을 쏘다」, 「자화상」, 「쉽게 씌어진 시」를 발표하였다. 연희전문을 졸업한 후 1942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 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6개월 후에 교토 시 도시샤 대학 문학부로 전학하였다. 1943년 7월 14일, 귀향길에 오르기 전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교토의 카모가와 경찰서에 구금되었다. 이듬해 교토 지방 재판소에서 독립운동을 했다는 죄목으로 2년형을 언도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그리고 복역 중이던 1945년 2월 16일 광복을 여섯 달 앞두고 스물여덟의 젊은 나이로 타계하였다.

윤동주의 다른 상품

동주와 빈센트 하드커버 에디션

동주와 빈센트 하드커버 에디션

17,820 (10%)

'동주와 빈센트 하드커버 에디션' 상세페이지 이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0,800 (10%)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상세페이지 이동

윤동주 시집 컬러 일러스트 (큰글자책)

윤동주 시집 컬러 일러스트 (큰글자책)

21,000

'윤동주 시집 컬러 일러스트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52,200 (10%)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일본 교과서의 윤동주와 이바라기 노리코

일본 교과서의 윤동주와 이바라기 노리코

19,800 (10%)

'일본 교과서의 윤동주와 이바라기 노리코'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19,4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상세페이지 이동

글 : 이태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이태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泰俊,, 상허尙虛
1904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1909년 망명하는 부친을 따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했다가 그해 8월 부친의 사망으로 귀국하였다. 1912년 모친마저 별세하자 철원의 친척집에서 성장하였다. 1921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동맹휴교의 주모자로 지적되어 1924년 퇴학하였다.

1924년 학교 신문 [휘문 2호]에 단편동화 「물고기 이야기」를 처음 발표했다. 1925년 문예지『조선문단』에 「오몽녀」가 입선되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27년 신문·우유 배달 등을 하며 ‘공기만을 먹고사는’ 궁핍한 유학생활을 청산하고 귀국,『개벽』과 『조선중앙일보』의 기자, 『문장』지 편집자로 활동하였다. 1933년 박태원·이효석 등과 함께 ‘구인회’를 조직하였다. 1934년 첫 단편집 『달밤』 출간을 시작으로 『가마귀』, 『사상의 월야』, 장편소설 『해방전후』 등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1930년대 전후에 아동잡지 [어린이]에 발표한 많은 동화들은 여전히 많은 어린이들에게 웃음과 감동을 주고 있다. 해방 후에는 문학가동맹, 남조선민전등 조직에 참여하다가 1946년 월북하였다.

‘구인회’ 활동 과거와 사상성을 이유로 임화, 김남천과 함께 가혹한 비판을 받고 숙청되어 함흥노동신문사 교정원, 콘크리트 블록 공장의 파고철 수집 노동자로 전락하였다. 정확한 사망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60년대 초 산간 협동농장에서 병사하였다는 설이 있다. 저서로 단편소설집 『달밤』 『가마귀』 『복덕방』 『해방 전후』 『구원久遠의 여상女像』 『딸 삼형제』 『사상思想』, 수필집 『무서록』, 문장론 『문장강화』 『상허 문학독본』 등이 있다.

이태준의 다른 상품

초등 3~4학년 문해력 추천 필독서 세트

초등 3~4학년 문해력 추천 필독서 세트

55,350 (10%)

'초등 3~4학년 문해력 추천 필독서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상허 이태준 전집 1차분 세트

상허 이태준 전집 1차분 세트

149,000

'상허 이태준 전집 1차분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제이(第二)의 운명(運命)

제이(第二)의 운명(運命)

37,000

'제이(第二)의 운명(運命)' 상세페이지 이동

구원(久遠)의 여상(女像) · 화관(花冠)

구원(久遠)의 여상(女像) · 화관(花冠)

37,000

'구원(久遠)의 여상(女像) · 화관(花冠)' 상세페이지 이동

해방 전후 (解放 前後)

해방 전후 (解放 前後)

36,000

'해방 전후 (解放 前後)'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19,4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상세페이지 이동

돈 가져간 사슴이

돈 가져간 사슴이

9,000 (10%)

'돈 가져간 사슴이' 상세페이지 이동

글 : 정지용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정지용
관심작가 알림신청
鄭芝溶
1902년 충북 옥천군 옥천읍 하계리에서 태어났다. 옥천보통공립학교,휘문고등보통학교,일본 도시샤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1922년 고교생 때 첫 작품 풍랑몽을 발표하며 데뷔했다. 시문학, 구인회 등의 문학 동인과 가톨릭 청년, 문장 등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휘문고보 교원을 거쳐 해방 후에는 이화여전교수, 경향신문주간,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 시 납북되어 사망했다고 알려졌으나, 전쟁으로 인해 폭사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아직까지 정확한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1926년 일본 유학중 「카페 프란스」 등 9편의 시를 발표하고 본격적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1933년 9인회를 결성하고 [가톨릭청년]의 편집고문을 맡아 다수의 시와 산문을 발표하였으며, 시인 이상을 문단에 등단시키기도 하였다. 1935년 첫 시집인 『정지용 시집』을 출간하였으며, 1939년 [문장]의 추천위원이 되어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이한직, 박남수 등을 등단시켰다. 1950년 한국전쟁이 뒤에 납북되어 사망하였다.

섬세하고 독특한 언어를 구사, 생생하고 선명한 대상 묘사에 특유의 빛을 발하는 시인 정지용. 한국현대시의 신경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그는 이상을 비롯하여 조지훈, 박목월 등과 같은 청록파 시인들을 등장시키기도한 시인이었다. 1902년 음력 5월 15일 충북 옥천읍에서 좀 떨어진 구읍의 청석교 바로 옆 촌가에서 한약상을 경영하던 영일 정씨 태국(泰國)을 아버지로 하동정씨 미하(美河)를 어머니로 탄생한 그는 그 당시 풍습에 따라 12살 때(1913) 동갑의 부인 송재숙과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 처가에서 결혼하였다. 이 부인 사이에 3남 1녀가 태어났으며, 그 가운데 차남과 3남은 6.25사변중에 행방불명 되었고, 현재 장남 구관과 장녀 구원만 생존해 있다.

그는 휘문고보 재학 시절 [서광] 창간호에 소설 「삼인」을 발표하였으며, 일본 유학시절에느 대표작의 하나인 「향수」를 썼다. 1930년에 시문학 동인으로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전개하였고, 구인회를 결성하기도 하였으며 문장지의 추천위원으로 활동했다. 해방이 되서는 경향신문의 주간으로 일하고, 이화여대와 서울대에 출강하여 시론, 수필, 평문을 발표하였다.

정지용의 다른 상품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52,200 (10%)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19,0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상세페이지 이동

정지용 전 시집 - 카페 프란스

정지용 전 시집 - 카페 프란스

13,500 (10%)

'정지용 전 시집 - 카페 프란스' 상세페이지 이동

시를 잊은 나에게

시를 잊은 나에게

15,120 (10%)

'시를 잊은 나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하늘 세트 (큰글자도서)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하늘 세트 (큰글자도서)

200,000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하늘 세트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정지용 시집

정지용 시집

3,420 (10%)

'정지용 시집' 상세페이지 이동

백록담

백록담

3,420 (10%)

'백록담' 상세페이지 이동

그림 : 장은용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그림 : 장은용
관심작가 알림신청
그림 그리기를 너무나 사랑하는 한국 화가이다. 어린 시절 글을 쓰시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늘 책과 신문에 잔뜩 둘러싸여 살았다. 많은 책 속에 등장하는 이야기처럼 상상하고 도전하는 것을 좋아해서 실험적인 작업을 많이 한다. 그림책, 회화, 일러스트, 캘리그라피, 벽화 등 그 어떤 작품이라도 첫사랑에 빠지듯 그려낸다. 아름답고 따뜻한 예술가로 살고자 소망하며, 앞으로도 그림을 그리고, 그림을 알려 주는 일을 하며 인생을 그려 가고자 한다. 『연필 들고 동시 쓰기』 등에 그림을 그렸고,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에 함께 그림을 그렸다.

장은용의 다른 상품

구부러진 길

구부러진 길

12,600 (10%)

'구부러진 길' 상세페이지 이동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11,700 (10%)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가 알고도 모르는 동물들

우리가 알고도 모르는 동물들

12,420 (10%)

'우리가 알고도 모르는 동물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