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김현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현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교수.
사단 법인 ‘별의 친구들’ 대표, ‘성장 학교 별’ 교장.

대한민국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사랑으로 다가서는 전문가로, 사춘기 자녀와 부모님 사이에서 청소년기를 통역하는 ‘사춘기 통역사’라는 별칭을 얻었다.

공중 보건의로 소년 교도소에 근무하면서 ‘문제 행동은 심리적 구조 신호’라는 것을 절감하고 청소년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 어려운 성장기를 보냈던 봉천동에서 ‘사는기쁨 신 경정신과’를 열면서 청소년들과 본격적으로 만나기 시작했고, 이듬해에는 사재를 털어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을 위한 치유형 대안 학교 ‘성장학교 별’을 세워 지금까지 교장을 맡고 있다. 게임 중독, 은둔형 외톨이, 학교 폭력, 느린 학습자, 자해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청소년들의 어려움과 함께해 왔다. 교사들에게도 관심이 많아 ‘프레네 교육학’을 중심으로 공교육 교사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2018년 이후에는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을 창립하여 애착 이론을 중심 으로 함께 공부하고 있다.

2011년 명지병원으로 자리를 옮겨 경기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부 중앙심리부검센터, 안산 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등에서 센터장으로 활동했으며, 코로나 시기에는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단장을 맡았다.

KBS 「아침마당」, EBS 「부모클래스」, 「세바시」 등에 다수 출 연한 바 있으며, ‘별’ 학교 운영의 공로로 2021년 교보재단에서 주는 참사람 대상을, 느린 학습자, 경계선급 청년들의 인권을 확대하는 활동을 인정받아 2022년 태평양-동천재단이 주는 태평양 공익 인권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무기력의 비밀』,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공부상처』, 『선생님, 오늘도 무사히!』 등이 있다. 진료, 교육, 강연 등 1인 10역을 소화하느라 깔끔한 의사 가운을 입는 날보다 덥수룩한 머리에 어깨에는 커다란 백팩을 멘 채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는 날이 더 많다. “환자는 물론이고 환자의 환경까지 관심을 갖고 치료해 주는 의사가 되 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있다.

김현수의 다른 상품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12,600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상세페이지 이동

관계의 교실

관계의 교실

12,600

'관계의 교실' 상세페이지 이동

괴물 부모의 탄생

괴물 부모의 탄생

11,760

'괴물 부모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사춘기 마음을 통역해 드립니다

사춘기 마음을 통역해 드립니다

12,600

'사춘기 마음을 통역해 드립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스몰 트라우마

스몰 트라우마

13,000

'스몰 트라우마' 상세페이지 이동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16,800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가 아이들에게 남긴 상처들

코로나가 아이들에게 남긴 상처들

10,500

'코로나가 아이들에게 남긴 상처들' 상세페이지 이동

선생님, 오늘도 무사히!

선생님, 오늘도 무사히!

11,760

'선생님, 오늘도 무사히!'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장숙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숙랑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간호학과 교수. 노인, 장애인, 여성의 건강권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자이다. 지은 책으로는 Regulating Long-Term Care Quality(공저), Nursing Older Adults(공저), 『나이 들어도 괜찮을까?』(공저) 등이 있다.

저 : 이현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현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의료인류학자로서 중국과 한국의 자살, 우울증, 재난 트라우마와 같은 정신질환 및 사회적 고통의 지역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또한, 국가, 의료전문가 및 NGO의 개입 방식이 사회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왔다. 저서로는 『펑롱현 사람들』, 『아프면 보이는 것들』(공저), 『세월호가 묻고 사회과학이 답하다』(공저), 『고잔동 일기』(공저) 등이 있다.

이현정의 다른 상품

상처 퍼즐 맞추기

상처 퍼즐 맞추기

9,800

'상처 퍼즐 맞추기'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왜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가

우리는 왜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가

13,600

'우리는 왜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시민정치의 문화기술지

시민정치의 문화기술지

17,500

'시민정치의 문화기술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기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기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보건복지인재원 교수.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 관심을 갖고 강화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에 참여하였고, 성북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 근무하였다.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 회장, 한국정신건강전문요원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례관리, 슈퍼비전, 질적 연구 등이다. 안산온마음센터의『애도기반 사례관리 매뉴얼』과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의 『서울형 심리부검 매뉴얼』 개발을 주도했으며, 지은 책으로는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이해와 실제』(공저), 『사례관리론: 개념, 기술, 실천역량 이해』(공저), 『사회복지 슈퍼비전』(공저) 등이 있다.

저 : 주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주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부센터장. 정신건강사회복지사. 강서구정신건강복지센터, 아동청소년 낮병원에서 지역사회 기반 자살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 사업을 추진해왔다. 현재 시민 참여를 통한 자살 예방 조직화, 현안 대응 예방 사업을 실행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코비드19 심리지원단에서 활동하면서 코로나 및 청년 자살 현안에 대해 다수의 글을 발표했다.

저 : 박건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건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생명과학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사회학과 역학을 공부하였다. 다양한 연구 참여를 통해 사회역학자로서의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있다. 연구하는 주제는 정신질환과 자살 행동의 역학적 특성 그리고 이와 연관된 사회 현상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주로 분석하고 있다. 통계 결과표를 만드는 것을 업으로 삼지만, 숫자 이면의 사연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노력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