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관심작가 알림신청
Johann Wolfgang von Goethe
고전파의 대표자이자 독일의 시인이자 극작가. 독일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인물로, 1749년 8월 28일 마인 강변의 프랑크푸르트에서 부유한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법학을 공부한 황실 고문관이었던 아버지 요한 카스파르 괴테와 프랑크푸르트 시장의 딸이었던 어머니 카타리나 엘리자베트 사이에서 부족할 것 없는 교육을 받고 자랐다. 라틴어 등 어학에 뛰어났으며 독서량도 많았다. 어렸을 때 라틴어와 그리스어, 불어와 이탈리아어 그리고 영어와 히브리어를 배웠고, 미술과 종교 수업뿐만 아니라 피아노와 첼로 그리고 승마와 사교춤도 배웠다. 괴테는 아버지의 서재에서 2000권에 달하는 법률 서적을 비롯한 각종 문학 서적을 거의 다 읽었다고 한다.

괴테는 아버지의 바람에 따라 1765년부터 1768년까지 당시 “작은 파리”라고 부르던 유행의 도시 라이프치히에서 법학 공부를 시작했다. 그러나 전공인 법학 강의보다 문학 강의를 더 열심히 들었다. 1770년 독일 질풍노도 운동의 실질적 선도자인 고트프리트 헤르더를 만나 독일 민속과 정신에 대한 깨우침을 얻었다. 슈트라스부르크에서 법학 공부를 마친 후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 프랑크푸르트에서 작은 변호사 사무실을 열었지만, 문학에 대한 열정에 더 사로잡혀 있었다.

이때 쓴 작품은 ‘질풍노도’ 시대를 여는 작품으로 『괴츠 폰 베를리힝겐』과 『초고 파우스트』와 같은 드라마와, 문학의 전통적인 규범을 뛰어넘는 찬가들을 쓰게 된다. ‘질풍노도’ 시대를 여는 작품인 『괴츠 폰 베를리힝겐』이 1773년 발표되자 독일에서는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는데, 독일에서 드라마의 전통적인 규범으로 여기고 있던 프랑스 고전주의 극을 따르지 않고 최초로 영국의 셰익스피어 극을 모방했기 때문이었다. 프로이센의 왕까지 가세한 이 논쟁으로 인해 괴테는 독일에서 일약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1768년 건강상의 이유로 요양 생활을 했는데, 그 무렵 신비주의와 중세의 연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770년 스트라스부르에서 법학 공부를 위해 머물다가 헤르더를 알게 되면서 셰익스피어 문학에도 심취했다. 변호사가 된 그는 1772년 제국 고등법원의 실습생으로서 몇 달 동안 베츨러에 머물렀다. 이때 이미 약혼자가 있는 샤를로테 부프를 사랑하게 되는 아픔을 겪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1744)을 써, 문단에 이름을 떨쳤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이때의 경험에서 나온 것으로, 주인공 베르테르의 옷차림이 유행하고 모방 자살까지 일어나는 등 유럽 전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1774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발표되자 괴테는 일약 유럽에서 유명 작가가 되었다. 전국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이 젊은 작가를 만나기 위해 프랑크푸르트로 몰려들었다. '슈투름 운트 드랑'(질풍노도시대, 문예의 혁명 운동)의 대표작으로서 전 독일 뿐만 아니라 전 유럽에 알려졌다. 1775년 제2의 고향이 되는 바이마르로 가서 공작의 고문이 되고 1782년에는 귀족 반열에 들었다. 1786년의 이탈리아 여행은 괴테의 생애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는데, 이 여행을 통해 그는 고전주의를 지향하게 되었다. 1794년부터 실러가 기획한 잡지에 협력하여 우정을 맺은 괴테는 이후 실러의 격려와 이해에 용기를 얻어 많은 작품을 완성했다.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파우스트』에 다시 손을 댄 것도 이 시점이다.

자신의 장래에 대해 어떤 결정도 내리지 못하고 망설이던 괴테를 18세에 불과했던 바이마르(Weimar)의 카를 아우구스트(Karl August, 1757∼1828) 공작이 초청했다. 처음에는 잠시 체류하면서 자신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고 아버지의 권유대로 이탈리아로 여행을 다녀올 예정이었다. 그러나 괴테는 이미 유럽에 널리 알려진 유명 작가로 그곳에서 극진한 환대를 받았고, 빌란트(Wieland)를 비롯해 많은 예술가들이 모여 있는 바이마르의 예술적 분위기와 첫눈에 반해 버린 슈타인 부인의 영향으로 그곳에 머무르게 된다. 괴테에 대한 공작의 신임은 두터웠고 공국의 많은 일들을 그에게 떠맡기게 되었다.

여러 해에 걸친 국정 수행으로 인한 피로와 중압감으로 심신이 지친 괴테는 작가로서의 침체기를 극복하기 위해 바이마르 궁정을 벗어나 이탈리아로 여행을 감행했다. 1년 9개월 동안 이탈리아에 체류하면서 괴테가 느꼈던 고대 예술에 대한 감동은 대단한 것이었다.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 얻게 된 고대 미술의 조화와 균형, 그리고 절도와 절제의 정신을 자기 문학을 조절하는 규범으로 삼아 자신의 고전주의(Klassik)를 열 수 있었던 것이다.

독일 문학사에서는 괴테가 이탈리아에서 돌아온 1788년부터 실러가 죽은 1805년까지를 독일 문학의 최고 전성기인 “고전주의” 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기에 괴테와 실러는 바이마르를 중심으로 자신들의 고전주의 이상을 실현하는 활동을 했는데,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면서도 “유형(類型)”을 통해 “유형적인 개성”으로 고양(高揚)되는 과정을 추구했던 것이다. 괴테와 실러의 상이한 창작 방식은 상대의 부족한 면을 보충해 주어 결과적으로 위대한 성과를 올릴 수 있게 해 주었다. 실러의 격려와 자극으로 괴테는 소설『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 시대』를 1796년에 완성하고, 프랑스 혁명을 피해 떠나온 피난민들을 소재로 한『헤르만과 도로테아』를 1797년에 발표해 대성공을 거두었으며, 미완성 상태의 『파우스트』작업도 계속 진행해 1808년에 드디어 1부를 완성하게 된다.

실러는 지나친 의욕과 격무로 인해 1805년 5월 46세의 나이로 쓰러지는데, 실러의 죽음은 괴테에게도 커다란 충격이었다. 1815년 나폴레옹이 권좌에서 물러나자 바이마르 공국은 영토가 크게 확장되어 대공국이 되었다. 괴테는 수상의 자리에 앉게 되지만 여전히 문화와 예술 분야만을 관장했다. 1823년『마리엔바트의 비가』를 쓴 이후로 괴테는 대외 활동을 자제하고 저술과 자연연구에 몰두해 대작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 시대』(1829)와『파우스트 2부』(1831)를 집필하게 된다. 서사시와 서정시, 산문과 시극, 비평과 수기, 4편의 소설과 1만여 통의 편지를 남긴 괴테는 독일민족이라는 정체성의 태동기에 독일문화와 독일어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1832년 3월 22일 낮 1시 반, 괴테는 심장 발작으로 사망한다. 그는 죽을 때 “더 많은 빛을(Mehr Licht)” 하고 말했다고 전한다. 그리고 3월 26일 바이마르의 카를 아우구스트 공작이 누워 있는 왕릉에 나란히 안치되었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다른 상품

파우스트

파우스트

13,500 (10%)

'파우스트'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문학 모노에디션 12권 세트

세계문학 모노에디션 12권 세트

95,040 (10%)

'세계문학 모노에디션 12권 세트 ' 상세페이지 이동

필사의 힘 : 괴테처럼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따라쓰기

필사의 힘 : 괴테처럼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따라쓰기

17,820 (10%)

'필사의 힘 : 괴테처럼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따라쓰기' 상세페이지 이동

서동시집

서동시집

18,000 (10%)

'서동시집' 상세페이지 이동

파우스트

파우스트

7,920 (10%)

'파우스트' 상세페이지 이동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큰글자책)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큰글자책)

18,000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365 괴테 일력

365 괴테 일력

18,050 (5%)

'365 괴테 일력' 상세페이지 이동

파우스트

파우스트

15,750 (10%)

'파우스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관심작가 알림신청
Heinrich von Kleist
독일의 극작가·소설가. 프랑크푸르트 안데어오데르 출생. 포츠담 근위연대에 들어가 소위로 진급하였으나, 1799년 인생의 행복과 진실을 자기 내면의 문제로서 추구하는 길을 선택해 군을 떠났다. 고향에 있는 대학에서 공부, 칸트철학에서 절대적 인식의 불가능을 간파하고 충격을 받아 파리 여행을 했다. 그러나 대도시 생활을 혐오하고 스위스에서 자연 속의 농부가 되려 했다. 그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약혼자와의 관계를 끊고, 고독한 창작활동에 들어갔다.(1802) 야심작인 비극 『로베르트 지스카르트』를 완성하지 못하였으나 프로이센 관공서에서 일하며 창작의욕을 되찾았다. 프로이센이 나폴레옹에게 굴복하자 프랑스군에 체포되었으나 창작을 계속해 1807년 희극 『암피트리온』을 간행하였다. 석방된 뒤 드레스덴으로 옮겨 아담 뮐러와 월간지 『푀부스』를 창간 비극 『펜테질리아』(1808)를 비롯한 희곡과 단편소설을 발표하였다. 희극 『깨어진 항아리』(1811)의 초연이 실패하여 연출을 맡았던 괴테와 다투었으며 나폴레옹에 대한 증오로 애국적 시, 희곡을 써 베를린을 무대로 활동을 전개하였다. 낭만파 문인과 사귀며 [베를린 석간신문]을 발행, 단편과 에세이 『인형극』 등을 게재하였다. 희곡 『프리드리히 폰 홈부르크 왕자』(1810)를 왕실에 바치고, 『미하엘 콜하스』(1810)를 비롯한 8편이 수록된 『단편소설집』(2권, 1810∼11)을 출판하였다. 그는 독일 작가로서는 보기 드물게 비극과 희극 양면에서 재능을 발휘, 인간 인식능력의 부재와 그에 바탕을 둔 격렬한 갈등을 그려 이것을 자아의 깊은 곳에 있는 절대적 ‘감정’으로 극복하고 다른 사람이나 바깥세계와의 신뢰관계를 회복하려 하였다. 오늘날 그는 실존주의문학의 선구 또는 20세기 문학의 원류로서 새롭게 평가받고 있다.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다른 상품

브레히트·카프카·클라이스트·드로스테 휠스호프

브레히트·카프카·클라이스트·드로스테 휠스호프

26,820 (10%)

'브레히트·카프카·클라이스트·드로스테 휠스호프' 상세페이지 이동

깨어진 항아리 (큰글자책)

깨어진 항아리 (큰글자책)

36,000

'깨어진 항아리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깨어진 항아리

깨어진 항아리

16,800

'깨어진 항아리' 상세페이지 이동

암피트리온 큰글씨책

암피트리온 큰글씨책

28,000

'암피트리온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클라이스트 희곡선

클라이스트 희곡선

25,200 (10%)

'클라이스트 희곡선' 상세페이지 이동

하일브론의 케트헨

하일브론의 케트헨

8,010 (10%)

'하일브론의 케트헨' 상세페이지 이동

Michael Kohlhaas

Michael Kohlhaas

10,700

'Michael Kohlhaas'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게르하트 하우프트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게르하트 하우프트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Gerhart Hauptmann
슐레지엔의 바트잘츠브룬 출생하였다. C.하우프트만의 동생인 그는 어릴 때 경건한 종교적 환경에서 자라나 한때 조각(彫刻)을 공부하다가 후에 예나대학·베를린대학에서 생물학·철학을 공부하였다. A.홀츠, J.슐라프가 제창하는 ‘철저한 자연주의’의 영향하에 처녀희곡 『해뜨기 전 Vor Sonnenaufgang』(1889)을 발표하고, 일약 자연주의 문학의 기수가 되었다. 이어 가정비극 『쓸쓸한 사람들 Einsame Menschen』(1891)에서는 삼각관계로 고민하는 무력한 남편을 묘사하였고, 직공(織工)들의 반란을 다룬 군중극 『직조공들 Die Weber』(1892)로 극단에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걸작 희극 『비버 모피(毛皮) Der Biberpelz』(1893)를 비롯하여 『마부 헨셸 Fuhrmann Henschel』(1898) 등의 사실극이 발표되었다.

한편, 점차 상징적·낭만적 경향이 짙어져 몽환극(夢幻劇) 『한넬레의 승천(昇天) Hanneles Himmelfahrt』(1894), 서정미 넘치는 낭만적 상징극 『침종(沈鐘) Die versunkene Glocke』(1896), 『그리고 피파는 춤춘다 Und Pippa tanzt!』(1906) 등을 거쳐 후년의 인형극 『축전극(祝典劇)』(1913), 최후의 대작 『아트리덴 사부극(四部劇) Die Atriden-Tetralogie』(1941∼1949)에 이르는 작품계열이 있다. 그 밖에 단편소설로는 에로스의 승리를 구가한 걸작 『소아나의 이단자 Der Ketzer von Soana』(1918), 장편으로는 종교적 사상체험을 담은 『기독광(基督狂)』(1910) 등이 있다. 서정시인 『틸 오일렌슈피겔 Till Eulenspiegel』(1927)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후 독일 민족의 도의적인 분기(奮起)를 일깨웠으며, 서정시집으로 『오색서(五色書) Das Bunte buch』(1888) 등을 남겼다.

하우프트만은 자연주의에서 출발하였으며, 그 완성자인 동시에 그 초극자(超克者)이기도 하다. 그는 독일문학에 공통된 관념적인 묘사를 피하고 하층민에서 영웅에 이르기까지 살아 있는 인간과 생의 고뇌 그 자체를 사실적이면서도 구상적(具象的)으로 부각시킨 점에서 독일로서는 독자적인 작가였다. 191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기독광』과 『소아나의 이교도』는 박찬기 번역으로 을유문화사에서 간행되었다.

게르하트 하우프트만의 다른 상품

선로지기 틸 : Bahnwarter Thiel

선로지기 틸 : Bahnwarter Thiel

8,300

'선로지기 틸 : Bahnwarter Thiel' 상세페이지 이동

임멘호수 / 철로지기 틸

임멘호수 / 철로지기 틸

10,000

'임멘호수 / 철로지기 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아르투어 슈니츨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아르투어 슈니츨러
관심작가 알림신청
Arthur Schnitzler
186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 빈에서 부유한 유태인 의학교수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몇 번의 여행을 제외하고는 평생 빈을 떠나지 않았다. 부친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의학을 공부해서 의사가 되었다. 1886년부터 병원에서 일했고 1893년에는 자신의 병원을 개업했으나, 생의 대부분을 작가로 활동했다.

작가로 성공하여 부와 명성을 얻기도 하지만 도박과 낭비로 수차례 어려움을 자초했고, 젊은 시절의 여성 편력은 카사노바의 환락과 모험을 옮겨놓은 듯했다. 실존 인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낯선 또는 병적인 그의 삶은 14세 때부터 죽는 날까지, 처음 3년을 제외하고는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한 일기에 담겨 있다. 작품 활동 초기에는 주로 희곡을 집필했으며, 후고 폰 호프만슈탈(Hugo von Hofmannsthal, 1874∼1929)과 친구였고, 스스로 자신의 “정신적 도플갱어”라고 칭했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기법을 많이 사용했다.

1895년 단편 「죽음 Sterben」을 발표하면서 작가로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같은 해 빈 부르크테아터에서 초연된 「사랑의 유희 Liebelei」를 통해 드라마 작가로서도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수련의 시절부터 히스테리와 최면 등 인간의 무의식과 심리를 다루는 정신의학 분야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러한 관심은 그의 문학에서도 드러난다. 작가 슈니츨러는 ‘내적 독백’과 같은 혁신적인 서사기법을 통해 인간의 은밀한 내면과 무의식을 여과 없이 표면으로 끌어낸다.

장교, 예술가, 의사 등 당시 빈의 부유한 시민계급을 대표하는 인물의 은밀한 내면을 들여다봄으로써 비판에 부딪치기도 했고, 합스부르크 제국의 장교의 1인칭 독백을 담은 소설 『구스틀 대위 Lieutnant Gustl』(1901)로 명예재판에 회부되어 제국의 장교신분을 박탈당한다. 성적 타부를 건드리는 연작 드라마 「윤무 Der Reigen」는 외설로 낙인찍히기도 했다.

『카사노바의 귀향 Casanovas Heimfahrt』(1918), 『엘제 양 Fraulein Else』(1926), 『꿈의 노벨레 Traumnovelle』(1926)를 통해 세기말 빈 시민사회의 위선과 이중적인 윤리의식을, 『트인 데로 가는 길 Der Weg ins Freie』(1908)에서 반유대주의, 세기 전환기의 몰락해가는 합스부르크 제국과 오스트리아 사회, 민족주의와 정치적인 혼란 속에서 무기력한 빈 부르주아의 파노라마를 보여준다.

대표적인 희곡으로 『아나톨(Anatol)』, 『사랑의 유희(Liebelei)』, 『윤무(Reigen)』, 『광활한 땅(Das weite Land)』, 『베른하르디 교수(Professor Bernhardi)』 등을 들 수 있다. 만년에는 희곡보다 소설을 썼으며, 대표적인 단편소설로 『구스틀 소위(Leutnant Gustl)』, 『엘제 양(Fraulein Else)』, 『야외로 가는 길(Der Weg ins Freie)』 등이 있다.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다른 상품

슈니츨러 작품선

슈니츨러 작품선

12,600 (10%)

'슈니츨러 작품선 ' 상세페이지 이동

한밤의 도박

한밤의 도박

12,600 (10%)

'한밤의 도박' 상세페이지 이동

사랑의 유희

사랑의 유희

14,800

'사랑의 유희' 상세페이지 이동

어떤 이별

어떤 이별

14,220 (10%)

'어떤 이별' 상세페이지 이동

죽음 (큰글씨책)

죽음 (큰글씨책)

31,000

'죽음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1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1

16,200 (10%)

'이문열 세계명작산책 1' 상세페이지 이동

꿈의 노벨레

꿈의 노벨레

8,100 (10%)

'꿈의 노벨레'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프란츠 카프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프란츠 카프카
관심작가 알림신청
Franz Kafka
1883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헤미아(현 체코)의 프라하에서 태어나 독일어를 쓰는 유대인 사회에서 성장했다. 1901년 프라하 대학에 입학해 독문학과 법학을 공부했으며, 1906년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어릴 때부터 작가를 꿈꿔 1904년 「어느 투쟁의 기록」, 1906년 「시골의 결혼 준비」를 집필했고, 1908년 노동자상해보험공사에 취직한 이후로도 14년 동안 직장생활과 글쓰기 작업을 병행했다. 「선고」 「변신」 「유형지에서」 등의 단편과 『실종자』 『소송』 『성』 등의 미완성 장편, 작품집 『관찰』 『시골 의사』 『단식 광대』 등 많은 작품을 썼고 일기와 편지 등도 방대한 양을 남겼다. 인간 운명의 부조리성과 인간 존재의 근원적 불안에 대한 통찰을 그려내, 사르트르와 카뮈에 의해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았다. 1917년 폐결핵 진단을 받아 여러 요양원을 전전한 끝에 병이 악화되어 1924년 빈 근교의 한 요양원에서 사망했다.

프란츠 카프카의 다른 상품

너와 세상 사이의 싸움에서

너와 세상 사이의 싸움에서

9,900 (10%)

'너와 세상 사이의 싸움에서' 상세페이지 이동

초판본 변신

초판본 변신

12,420 (10%)

'초판본 변신' 상세페이지 이동

변신·단식 광대

변신·단식 광대

10,800 (10%)

'변신·단식 광대 ' 상세페이지 이동

우연한 불행

우연한 불행

13,500 (10%)

'우연한 불행' 상세페이지 이동

필사의 힘 : 프란츠 카프카처럼 [변신] 따라쓰기

필사의 힘 : 프란츠 카프카처럼 [변신] 따라쓰기

16,650 (10%)

'필사의 힘 : 프란츠 카프카처럼 [변신] 따라쓰기' 상세페이지 이동

변신 · 시골 의사 (완역본)

변신 · 시골 의사 (완역본)

6,930 (10%)

'변신 · 시골 의사 (완역본)' 상세페이지 이동

돌연한 출발

돌연한 출발

14,400 (10%)

'돌연한 출발'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가 길이라 부르는 망설임

우리가 길이라 부르는 망설임

13,500 (10%)

'우리가 길이라 부르는 망설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루이제 린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루이제 린저
관심작가 알림신청
Luise Rinser
1911년 4월 30일, 독일 피츨링에서 태어났다. 8살 때 처음으로 시를 썼지만 부모님이 그녀의 시를 듣고 웃는 바람에, 십대에 다시 시를 쓸 때에는 다른 사람 몰래 쓰게 되었다고 한다. 대학에서 교육학과 심리학을 전공하였으며 1935년에 학교 교사가 되었으나, 1939년에 나치의 억압으로 해직통보를 받게 된다.

첫 번째로 출간된 그녀의 책은 『유리반지』인데, 이 작품이 나오자마자 나치로부터 출판 금지를 당하게 되었다. 나치당에 대항한 것으로 유명하며, 반 나치 투쟁을 벌이다가 감옥에 가기도 했다. 번역가 전혜린의 소개로 더욱 유명해진 『생애 한 가운데』와 『덕성의 모험』, 『다니엘라』, 『잔잔한 가슴에 파문이 일 때』, 『완전한 기쁨』,『고독한 당신을 위하여』, 『미리암』, 『아벨라르의 사랑』과 프란치스코 성인의 이야기를 쓴 『꺼지지 않는 불』과 작곡가 윤이상과의 대담집인 『상처 입은 용』 등이 있다.

루이제 린저의 다른 상품

윤이상 상처 입은 용

윤이상 상처 입은 용

16,200 (10%)

'윤이상 상처 입은 용' 상세페이지 이동

고원에 피어난 사랑

고원에 피어난 사랑

10,800 (10%)

'고원에 피어난 사랑' 상세페이지 이동

잔잔한 가슴에 파문이 일 때

잔잔한 가슴에 파문이 일 때

8,100 (10%)

'잔잔한 가슴에 파문이 일 때' 상세페이지 이동

The Wounded Dragon

The Wounded Dragon

24,000

'The Wounded Dragon' 상세페이지 이동

그녀들의 메르헨

그녀들의 메르헨

8,100 (10%)

'그녀들의 메르헨' 상세페이지 이동

생의 한가운데

생의 한가운데

8,100 (10%)

'생의 한가운데' 상세페이지 이동

삶의 한가운데

삶의 한가운데

11,700 (10%)

'삶의 한가운데'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