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2명)

이전

저 : 김경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경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교수다. 한국언론학회장, 한국방송학회 미디어교육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에서 대통령 선거 조사·국민 의식 조사 등 여론 조사 보도를 담당했으며, 뉴스속보부에서 인터넷 뉴스를 기획·편집했다. 저서로는 『한국사회와 인터넷 저널리즘』(2018), 『한국사회와 뉴미디어 확산』(편저, 2018),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편저, 2018), 『뉴스 안과 밖의 여성』(2017)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Cying for me, cying for us: Relational dialectics in a korean social network site”(공저, 2007), “Obstacles to the success of female journalists in Korea”(2006)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김경희 의 다른 상품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22,000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뉴스 소비자 (큰글씨책)

디지털 뉴스 소비자 (큰글씨책)

37,000

'디지털 뉴스 소비자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뉴스 소비자

디지털 뉴스 소비자

27,000

'디지털 뉴스 소비자' 상세페이지 이동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25,500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상세페이지 이동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34,000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수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수아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秀娥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의 언론정보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부교수로 언론정보학과 · 여성학 협동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다. 대중문화와 팬덤, 페미니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온라인상의 여성혐오 표현」, 「온라인 커뮤니티와 남성·약자 서사 구축: ‘여성혐오’ 및 성차별 사건 관련 게시판 토론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공저), 「온라인 피해 경험을 통해 본 성적 대상화와 온라인 성폭력 문제」(공저) 등의 논문을 썼다. 『지금 여기 힙합』,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 『페미니즘 교실』,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모두를 위한 성평등 공부』, 『미투가 있다/잇다』 등 여러 책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안전하게 로그아웃』을 썼다.

김수아의 다른 상품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29,800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상세페이지 이동

게임 콘텐츠와 젠더 재현 (큰글자책)

게임 콘텐츠와 젠더 재현 (큰글자책)

25,000

'게임 콘텐츠와 젠더 재현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게임 콘텐츠와 젠더 재현

게임 콘텐츠와 젠더 재현

12,000

'게임 콘텐츠와 젠더 재현' 상세페이지 이동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페미돌로지

페미돌로지

16,200 (10%)

'페미돌로지' 상세페이지 이동

전쟁의 아시아를 여성과 식민주의의 시각에서 불러내다

전쟁의 아시아를 여성과 식민주의의 시각에서 불러내다

29,000

'전쟁의 아시아를 여성과 식민주의의 시각에서 불러내다'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안전하게 로그아웃

안전하게 로그아웃

11,520 (10%)

'안전하게 로그아웃'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아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아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자. 서울대학교에서 불어교육학을 전공하고 언론정보학을 부전공했다. 하버드대학교에서 교육공학으로 석사학위를,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교육학 연구대학원(Institute of Education)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일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빅데이터혁신공유대학 연구교수로, 확장된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정립과 데이터 리터러시, 디지털권리 및 디지털 윤리, 아동주도 미디어 문화연구 방법론 등을 주된 연구 주제로 한다. 저서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2015), ‘젠더와 미디어 경험’(공저, 2022), (공저, 2022), 역서 ‘미디어교육 선언’(공역, 2019) 등을, 논문으로 <초등학생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2020)를 냈다.

김아미의 다른 상품

장난이 아니야

장난이 아니야

11,700 (10%)

'장난이 아니야'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세대의 아날로그 양육자들

디지털 세대의 아날로그 양육자들

20,700 (10%)

'디지털 세대의 아날로그 양육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교육의 오늘을 읽다

한국 교육의 오늘을 읽다

15,300 (10%)

'한국 교육의 오늘을 읽다' 상세페이지 이동

공부하는 일

공부하는 일

4,500 (10%)

'공부하는 일' 상세페이지 이동

온라인의 우리 아이들

온라인의 우리 아이들

13,500 (10%)

'온라인의 우리 아이들' 상세페이지 이동

아이를 학대하는 사회, 존중하는 사회

아이를 학대하는 사회, 존중하는 사회

9,000 (10%)

'아이를 학대하는 사회, 존중하는 사회' 상세페이지 이동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플랫폼 제국의 도전과 대응

미디어 플랫폼 제국의 도전과 대응

22,000

'미디어 플랫폼 제국의 도전과 대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민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민지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학생이다. 2020년에 미디어학과 인권위원회 TF팀에 소속되어 회칙 제정에 참여했다. 게임을 즐기는 유저로서 게임업계 및 인터넷 공간에서 발생하는 성차별 문제에 대한 경험과 관심을 가지고 있다. 모두가 차별받지 않고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희망하며 게임 좌담회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박민지의 다른 상품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정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정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오마이뉴스≫ 기자로 일하면서 젠더 부문 기사를 쓰고 편집하고 있다. 법무부 디지털성범죄 등 대응 TF 전문위원이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기자협회보 정기 칼럼 ‘스페셜리스트?젠더 부문’ 담당 필자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가부장제에 균열을 내는 대안적 남성성을 제시하는 책 『이만하면 괜찮은 남자는 없다』(2021),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2019)이 있다.

박정훈의 다른 상품

여자를 모욕하는 걸작들

여자를 모욕하는 걸작들

14,400 (10%)

'여자를 모욕하는 걸작들' 상세페이지 이동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이어져 있다

우리는 이어져 있다

12,600 (10%)

'우리는 이어져 있다' 상세페이지 이동

이만하면 괜찮은 남자는 없다

이만하면 괜찮은 남자는 없다

13,500 (10%)

'이만하면 괜찮은 남자는 없다' 상세페이지 이동

젠더 감수성을 기르는 교육

젠더 감수성을 기르는 교육

9,000 (10%)

'젠더 감수성을 기르는 교육' 상세페이지 이동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

15,200 (5%)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수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수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이다.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교육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민주시민교육, 사회과교육(경제·정치교육),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 및 성평등 실천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성평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과 개선 방향”(공저, 2021), “한국 청소년에게 부여되는 정체성 메시지에 대한 질적 연구”(2019)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민주정치와 시민교육』(공저, 2020), 『한국 교육과정 개정의 성찰』(공저, 2020)이 있다.

이수정의 다른 상품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교육과정 개정의 성찰

한국 교육과정 개정의 성찰

20,000

'한국 교육과정 개정의 성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신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신애
관심작가 알림신청
초등학교에서 주로 고학년 아이들을 가르치며 초등성평등연구회 소속 교사로 활동 중이다. 경인교육대학교에서 사회과교육을 공부하고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혐오, 교실에 들어오다』(공저, 2019), 『학교에 페미니즘을』(공저, 2018)이 있다.

이신애의 다른 상품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시민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시민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9,900 (10%)

'시민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상세페이지 이동

혐오, 교실에 들어오다

혐오, 교실에 들어오다

13,500 (10%)

'혐오, 교실에 들어오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지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지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원대학교 휴머니티교양대학 조교수다. 한양대학교 국어교육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 분야는 사고와 소통 교육으로서 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디지털 시대 국어 교육의 사회적 역할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온라인 공론장의 정당화 양상 연구”(공저, 2021), “정당화와 원리를 활용한 대학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공저, 2021) 등이 있다.

이지선의 다른 상품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혜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혜지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며 국어국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불평등의 역사와 미래에 대해 고민하며 대학 사회에서 인권과 성평등에 관련된 활동을 지속 해왔다. 2019년 서울시NPO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총여학생회 관련 다큐멘터리 <넘어짐의 계보>를 제작했다. 어떤 정체성도 포기하지 않고 잘 살아 보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혜지의 다른 상품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희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희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아이오와 대학University of Iow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와 정체성의 문제, 테크놀로지와 일상의 삶과 윤리적 가치의 문제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한다. 저서로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공저), 『Medi@sia: Global Mediation in and out of Context』(공저),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은유들』(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테크놀로지의 몸』, 『인간의 인간적 활용』(공역), 『자연과 미디어』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서술」,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젠더화된 목소리」,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이희은의 다른 상품

미디어 허스토리 3.0

미디어 허스토리 3.0

28,000

'미디어 허스토리 3.0' 상세페이지 이동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알고리즘의 욕망

미디어 알고리즘의 욕망

24,000

'미디어 알고리즘의 욕망'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생태계

미디어 생태계

18,000

'미디어 생태계' 상세페이지 이동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13,500 (10%)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25,000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자연과 미디어

자연과 미디어

33,000

'자연과 미디어 ' 상세페이지 이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22,500 (10%)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상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상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디스이즈게임 대표다. 게임과 미디어 양쪽에 관심이 많다. 신문사 게임 담당 기자 출신으로 2005년 게임 매체를 창간했다. 온라인 게임 초창기인 1999년부터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부침을 겪는 다양한 국내외 게임사와 인물, 업계를 목격해왔다. 그런 경험 탓에 하이프(설레발)를 우려한다. 변곡점과 함께 지속 가능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최근에는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해외 게임사와 생태계에 주목하고 있다. 유튜브 ‘중년게이머 김실장’과 ‘깨쓰통 대폭발’ 채널 등을 운영 중이다. 2016년부터 게임스컴 어워드 심사위원을 맡고 있다.

임상훈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4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4

17,100 (10%)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4'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

17,100 (10%)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 상세페이지 이동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지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지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2006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해 [한겨레21] 기획편집팀, 사회팀과 [한겨레신문] 사회부, 오피니언부, 문화부, 경제부에서 일했다. [한겨레21]에서 인권 사각지대를 조명한 ‘인권OTL’ 시리즈, 식당 노동자로 위장 취업해 여성 빈곤노동의 현실을 알린 [노동OTL] 시리즈, 영구임대아파트 121가구를 심층 조사한 [영구빈곤 보고서] 등을 취재하며 인권 보도에 눈을 떴다. 노동 문제에 대한 관심은 [한겨레신문] 30분 피자배달제 기획, 감정노동 기획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4천원 인생』, 『왜 우리는 혼자가 되었나』를 공저했고 『현시창』을 썼다.

임지선의 다른 상품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29,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열 가지 당부

열 가지 당부

11,520 (10%)

'열 가지 당부' 상세페이지 이동

아동학대에 관한 뒤늦은 기록

아동학대에 관한 뒤늦은 기록

14,220 (10%)

'아동학대에 관한 뒤늦은 기록' 상세페이지 이동

현시창

현시창

11,700 (10%)

'현시창' 상세페이지 이동

4천원 인생

4천원 인생

14,400 (10%)

'4천원 인생'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