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길윤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길윤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7년 서울 출생. 대일외고를 거쳐 서강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다. 2001년 11월 [한겨레]에 입사해 경제부, 사회부 등을 거쳤고, 2013년 9월부터 2017년 4월까지 도쿄 특파원을 지냈다. 이어 [한겨레21] 편집장을 거쳐 현재 [한겨레] 국제부에서 일하고 있다. 아베 정권 이후 본격화된 반동의 흐름 속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미일동맹 강화를 비롯한 일본의 안보정책 변화 등과 관련한 여러 기사를 썼다. 삼성언론상(2003), 임종국상(2007), 관훈언론상(2015) 등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나는 조선인 가미카제다』, 『아베는 누구인가』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나는 날조기자가 아니다』, 『아베 삼대』가 있다. 『아베 삼대』의 옮긴이 소개에 “안창남에 대한 책을 쓰려고 5년째 고민 중”이라고 적었는데, 그 고민을 해결해 한없이 기쁘다. 다음엔 1945년 8월 해방 정국을 둘러싼 책을 써 볼까 궁리 중이다.

길윤형 의 다른 상품

문학/사상 9

문학/사상 9

13,500 (10%)

'문학/사상 9' 상세페이지 이동

북일 교섭 30년

북일 교섭 30년

19,800 (10%)

'북일 교섭 30년' 상세페이지 이동

공생을 향하여

공생을 향하여

19,800 (10%)

'공생을 향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신냉전 한일전 (큰글자도서)

신냉전 한일전 (큰글자도서)

35,000

'신냉전 한일전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신냉전 한일전

신냉전 한일전

16,200 (10%)

'신냉전 한일전' 상세페이지 이동

26일 동안의 광복

26일 동안의 광복

16,200 (10%)

'26일 동안의 광복' 상세페이지 이동

안창남, 서른 해의 불꽃같은 삶

안창남, 서른 해의 불꽃같은 삶

15,300 (10%)

'안창남, 서른 해의 불꽃같은 삶' 상세페이지 이동

아베는 누구인가

아베는 누구인가

17,550 (10%)

'아베는 누구인가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장영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영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립대만대 국가발전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외대, 충남대, 고려대 등에서 강의를 했다. 현재 성균중국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외교, 대만정치 및 양안관계, 동아시아 국제관계 등이다. 장영희 박사는 중국의 관점을 서술한 5장을 책임 집필하였다.

장영희의 다른 상품

정상회담으로 본 한중수교 30년

정상회담으로 본 한중수교 30년

25,000

'정상회담으로 본 한중수교 30년' 상세페이지 이동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엇갈리는 세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엇갈리는 세계

9,500 (5%)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엇갈리는 세계'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의 길을 찾다

중국의 길을 찾다

22,500 (10%)

'중국의 길을 찾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욱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욱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평화 연구자, 활동가.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평화’라는 믿음으로 1999년 평화네트워크(www.peacekorea.org)를 설립해 핵과 전쟁 없는 세상, 모두가 공평하게 누리는 평화를 상상하고 궁리해왔다. 2021년부터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을 겸임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석사 학위(군사안보 전공)를 받았다. 2006-2007년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방문학자로 한미동맹과 북핵문제를 연구했다. 20여 년간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군축·반핵·평화체제에 천착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제8회 리영희상(2020)을 수상했다. 주요 저작으로 《핵과 인간》 《MD본색》 《사드의 모든 것》 《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흥미진진 핵의 세계사》 등이 있다.

정욱식의 다른 상품

청소년에게 전하는 기후위기와 신냉전 이야기

청소년에게 전하는 기후위기와 신냉전 이야기

13,500 (10%)

'청소년에게 전하는 기후위기와 신냉전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북한이 온다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북한이 온다

14,850 (10%)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북한이 온다' 상세페이지 이동

공평국가

공평국가

19,000 (5%)

'공평국가'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와 통일을 묻는 십대에게

평화와 통일을 묻는 십대에게

11,700 (10%)

'평화와 통일을 묻는 십대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GDP 너머 국민총행복

GDP 너머 국민총행복

14,400 (10%)

'GDP 너머 국민총행복'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 평화, 새로운 시작을 위한 조건

한반도 평화, 새로운 시작을 위한 조건

13,500 (10%)

'한반도 평화, 새로운 시작을 위한 조건'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14,400 (10%)

'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사회논쟁

한국사회논쟁

19,800 (10%)

'한국사회논쟁'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