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2명)

이전

저 : 권헌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헌익
관심작가 알림신청
權憲益
서울대학교 인문대를 다니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미시간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에든버러대학교 교수와 런던정치경제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케임브리지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또 하나의 냉전』,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서울대 인문대를 중퇴하고 미국 미시간대에서 정치학 학사,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사회인류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초기의 구소련 시베리아 원주민사회 연구에서 근래의 베트남전쟁 미시사 연구에 이르기까지 줄곧 비교공산주의와 냉전시대 인간의 조건에 집중해왔다. 맨체스터대, 에든버러대, 런던정경대 교수를 거쳐 현재 케임브리지대 트리니티칼리지에서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베트남전쟁을 다룬 저서 『학살, 그 이후』로 미국인류학회에서 기어츠상,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로 아시아학회에서 카힌상을 수상했고, 냉전의 이해에 관한 저작으로 한국의 경암학술상과 세종문화상을 수상했다. 2019년 10월 프랑스의 레비스트로스상을 수상하고 이 책의 내용이 부분적으로 소개된 ‘인류학과 세계평화’라는 제목의 대중강연을 했다. 2020년 현재 서울대 사회과학대에서 인류학 초빙석좌교수로 있으면서 전쟁으로 인한 한국사회의 종교적 변화를 다룬 새 저작을 완성 중이다. 』, 『학살, 그 이후』 등이 있다.

권헌익의 다른 상품

한반도 정전체제와 ‘전후’ 일본

한반도 정전체제와 ‘전후’ 일본

8,550 (5%)

'한반도 정전체제와 ‘전후’ 일본' 상세페이지 이동

관계와 경계

관계와 경계

13,500 (10%)

'관계와 경계' 상세페이지 이동

전쟁과 가족

전쟁과 가족

18,000 (10%)

'전쟁과 가족' 상세페이지 이동

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

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

20,000

'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이론·쟁점·변화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이론·쟁점·변화

31,000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이론·쟁점·변화 ' 상세페이지 이동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

22,500 (10%)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기흥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기흥
관심작가 알림신청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과학기술학 관련 주제를 가르친다. 과학기술학과 의료사회학 관련 주제를 연구한다. 서강대 사회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친 전형적인 사회과학도였다. 그러다 우연히 과학사회학을 알게 되었고, 이 분야가 지닌 매력에 빠져 에든버러학파 과학사회학을 주창한 데이비드 블루어 교수를 직접 찾아가 그 밑에서 박사과정을 밟기 시작했다. 에든버러 대학에서 과학지식사회학, 의료사회학, 그리고 의학사를 공부하면서 과연 우리가 당연시하고 있는 과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변화와 연관되고 있는지를 연구했다. 한 때 녹음기 한 대를 달랑 들고, 미국과 유럽을 돌아다니며 당시 광우병을 연구하던 과학자들을 만나 그들의 경험과 실험실의 구조를 연구하기도 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광우병 연구자들에 대한 사회학적인 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었다. 그 뒤 런던 대학의 세계적인 의학사 연구센터인 웰컴재단 의학사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지내면서, 의학사 연구자들과 함께 광우병을 비롯한 현대 퇴행성 중추신경질환에 대한 역사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이곳에서 사회과학, 역사학, 의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를 통해, 어떻게 과학지식의 형성이 그 자체로 사회적인 현상인지를 연구했다. 하지만 과연 과학자들이 일상적으로 어떻게 연구를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고 싶다는 강한 호기심 때문에 다시 인류학 연구에 뛰어들었다. 여러 편의 논문을 썼으며, 저서로는 『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 From Scrapie to Prion』(Routledge)이 있다.

김기흥의 다른 상품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23,750 (5%)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상세페이지 이동

광우병 논쟁

광우병 논쟁

14,250 (5%)

'광우병 논쟁'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석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석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시카고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사회발전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신고리5·6호기 공론화 검증위원장(2018)을 지냈으며 2019년부터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 숙의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공저), 『한국사회의 변화를 돌아보다』(공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시대 한국의 복지와 행복지표 측정』, “Lack of Dream-Capital among Korean Youths: Rationally Chosen or Culturally Forbidden?,” Asian Journal of Sociology 47(3)과 「한국사회의 세대 간 공정성」, 『지식의 지평』 25 등 다수의 단행본과 논문이 있다. 현재 지역사회학회 회장과 『조사연구』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김석호의 다른 상품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17,100 (10%)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 평화학

한반도 평화학

26,000

'한반도 평화학 '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35,000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25,000

'한국정치의 재편성과 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상세페이지 이동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13,500 (10%)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호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호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교육 전공 박사과정. 대학원에서 동물행동생태학을 전공하고, 전시기획사, 동물원, 자연사박물관에서 과학 전시 및 교육 콘텐츠를 기획·운영하는 일을 해왔다.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의 ‘사이언스 아뜰리에’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여 〈멸종위기 생물카드〉, 〈생물×생각 다양성 App〉 등을 기획했다.

저 : 김환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환석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 과정을 마치고 영국 런던대학교에서 과학기술사회학 전공으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통령 산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 유네스코 세계과학기술윤리 위원회(COMEST) 위원, 한국과학기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과학 사회학의 쟁점들」(2006), 「‘사회적인 것’에 대한 과학 기술학의 도전: 비인간 행위성의 문제를 중심으로」(2012), 「과학 기술과 사회 연구의 동향과 전망」(2014), 「생명 정치의 사회 과학」(편저, 2014), 「사회 과학의 ‘물질적 전환’을 위하여」(2016), 「코스모폴리틱스와 기술사회의 민주주의」(2017),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공저, 2020) 등을 썼다.

김환석의 다른 상품

코로나 팬데믹과 문명의 전환

코로나 팬데믹과 문명의 전환

17,100 (5%)

'코로나 팬데믹과 문명의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16,200 (10%)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상세페이지 이동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22,000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상세페이지 이동

녹색 계급의 출현

녹색 계급의 출현

13,500 (10%)

'녹색 계급의 출현' 상세페이지 이동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16,200 (10%)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상세페이지 이동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15,300 (10%)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15,000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효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효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 University of South Carolin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사회학이며, 주로 사회심리학 연구를 통해 공정성과 사회적 협력에 관한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청탁금지의 법과 사회』(공저),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공저)을 썼다. 주요 논문으로 「Reward stability promotes group commitment」, 「공정성이론의 다차원성」, 「이주민 주거 밀집지역 내 내국인 인식 연구」 등이 있다.

박효민 의 다른 상품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17,100 (10%)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관계와 경계

관계와 경계

13,500 (10%)

'관계와 경계'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35,000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동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동신
관심작가 알림신청
가장 문학적으로 혜안을 찾아내는 영어영문학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후 텍사스 A&M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대 미국소설, SF 문학, 고딕 소설 등을 가르치며,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틀에서 연구하고 있다. 문학과 문화 그리고 사회에서 비인간존재가 재현되고 사용되는 방식과 목적을 결정하는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하는 작업을 한다. 최근 몇 년간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과 함께 ‘인간-동물 연구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인간-동물관계의 성격과 문제점을 논의하며 좀더 윤리적이고 실천적인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저서로는 A Genealogy of Cyborgothic: Aesthetics and Ethics in the Age of Posthumanism,『다르게 함께 살기: 인간과 동물』등이 있고, 『갈라테아 2.2』를 번역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 『관계와 경계: 코로나시대의 인간과 동물』,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영미 소설 속 장르』, 『동물의 품 안에서: 인간-동물 관계 연구』등을 공저했고, 주요 논문으로 「좀비반, 사람반: 좀비 서사의 한계와 감염의 윤리」, 「좀비라는 것들: 신사물론과 좀비」, 「망가진 머리: 인공지능과 윤리」, 「Gulliver, Heidegger’s Man: Swift’s Satire of Man in Captivation」 등이 있다.

이동신의 다른 상품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미래를 말하다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미래를 말하다

30,000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미래를 말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점원

점원

13,500 (10%)

'점원' 상세페이지 이동

샌드 카운티 연감 (큰글자책)

샌드 카운티 연감 (큰글자책)

38,000

'샌드 카운티 연감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휴머니즘의 세 흐름

포스트휴머니즘의 세 흐름

18,000 (10%)

'포스트휴머니즘의 세 흐름' 상세페이지 이동

SF, 시대정신이 되다

SF, 시대정신이 되다

15,300 (10%)

'SF, 시대정신이 되다'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

16,200 (10%)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 상세페이지 이동

관계와 경계

관계와 경계

13,500 (10%)

'관계와 경계' 상세페이지 이동

갈라테아 2.2

갈라테아 2.2

14,400 (10%)

'갈라테아 2.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주윤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주윤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장애, 생명사회학, 인간-동물 관계, 사회운동 등을 연구 하는 사회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선임 연구원으 로 재직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연구, 「탈시설 운동과 사람중심 노동: 이탈리아의 바자리 아법과 장애인 협동조합운동」(2019), 「법 앞에서: 형제복 지원 피해생존자들의 해방과 기다림의 정치」(2018) 연구 등이 있다. 생명의 취약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 고 있으며,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의 역사 뿐 아니라 사회적 포용의 가능성에 대한 실천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윤정의 다른 상품

대학 공간에서의 인권

대학 공간에서의 인권

13,500 (10%)

'대학 공간에서의 인권' 상세페이지 이동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34,000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 상세페이지 이동

관계와 경계

관계와 경계

13,500 (10%)

'관계와 경계' 상세페이지 이동

보이지 않은 역사

보이지 않은 역사

13,500 (10%)

'보이지 않은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16,200 (10%)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국제 연대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국제 연대

24,000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국제 연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천명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천명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에서 수의학과 보건학을 공부하고 독일의 뮌헨 루드비히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수의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수의인문사회학 교수로 있다. 인간-동물 관계와 동물 질병의 과학적·역사적·사회적·문화적 의미를 공부하고 연구하고 있다. 함께 사는 고양이 네 마리와 밥을 챙기고 있는 길고양이들에게 더 다정하고 좋은 세상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조선시대 가축전염병의 발생과 양상』, 『근대수의학의 역사』 등을 썼고, 『동물은 인간에게 무엇인가?』를 번역했다. 주요 논문으로 「일제강점기 광견병의 발생과 방역」, 「구제역 관련자들의 체험과 그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등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관계와 경계』, 주변 동물의 건강과 안녕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기를 소망하며 집필에 참여한 『동물이 건강해야 나도 건강하다고요?』 등이 있다.

천명선의 다른 상품

우리는 지구에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지구에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16,920 (10%)

'우리는 지구에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동물이 건강해야 나도 건강하다고요?

동물이 건강해야 나도 건강하다고요?

12,150 (10%)

'동물이 건강해야 나도 건강하다고요?' 상세페이지 이동

관계와 경계

관계와 경계

13,500 (10%)

'관계와 경계' 상세페이지 이동

동물은 인간에게 무엇인가

동물은 인간에게 무엇인가

31,500 (10%)

'동물은 인간에게 무엇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태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태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가축을 다루는 수의사로 10여 년 동안 일하다 동물 복지에 대해 더 공부하고 싶어서 영국의 에든버러대학교에 다녀왔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사과정. 동물복지를 공부한다. 동물복지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대학에서 동물 복지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가축으로도, 야생동물로도 인정받지 못하고 복지의 사각지대에서 고통받는 웅담 채취용 사육 곰을 구하기 위해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라는 단체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다. 평소에 접하기는 어렵지만, 여전히 동물 복지가 필요한 세상 구석구석을 여러분에게 소개하고 싶어서 함께 『관계와 경계』, 『동물이 건강해야 나도 건강하다고요?』 등의 책을 썼다.

최태규의 다른 상품

일상의 낱말들 (큰글자도서)

일상의 낱말들 (큰글자도서)

42,000

'일상의 낱말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일상의 낱말들

일상의 낱말들

16,200 (10%)

'일상의 낱말들' 상세페이지 이동

순종 개 품종 고양이가 좋아요?

순종 개 품종 고양이가 좋아요?

13,300 (5%)

'순종 개 품종 고양이가 좋아요?' 상세페이지 이동

동물이 건강해야 나도 건강하다고요?

동물이 건강해야 나도 건강하다고요?

12,150 (10%)

'동물이 건강해야 나도 건강하다고요?' 상세페이지 이동

관계와 경계

관계와 경계

13,500 (10%)

'관계와 경계'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인간-동물 연구 네트워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인간-동물 연구 네트워크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간-동물 연구 네트워크는 2018년 “인간-동물 관계의 전환: 신사물론적 경계 허물기”라는 주제의 서울대학교 교내지원사업을 진행하는 연구팀으로 출발해, 2019년 “위계에서 얽힘으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동물 관계”라는 제목으로 교육부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에 선정된 후 현재까지 활동을 잇고 있는 연구팀이다. 인간-동물 연구 네트워크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등장한 생명과 생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인간-자연, 인간-동물의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관계와 규범을 넘어 ‘공존’과 ‘얽힘’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인문학(문학), 사회과학(사회학, 인류학), 자연과학(수의학, 생태학, 행동학) 연구자들로 구성된 융합 연구 네트워크이다. 이곳에서는 인간-동물 관계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비판하며, 관계 속에 존재하는 다층적인 ‘얽힘’을 드러내려 한다. 그리고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동물 관계를 재구조화하기 위해 근거자료를 구축(동물인격, 동물인구, 동물인식)하고, 인간-동물 상호작용 과정을 분석하며, 생태정치 및 생태미학 사례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인간-동물 연구 네트워크의 다른 상품

관계와 경계

관계와 경계

13,500 (10%)

'관계와 경계'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