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김소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소월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素月, 김정식
1902년 9월 7일 평안북도 구성군에 있는 외가에서 부친 김성도와 모친 장경숙의 장자로 출생한다. 본명은 김정식이다. 태어난 지 백일 후부터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의 본가에서 자란다. 1904년 부친 김성도가 당시 경의선 철도 부설공사를 하던 일본 목도꾼에게 폭행을 당한 이후 정신 이상 증세에 시달린다. 김소월은 광산을 경영하는 할아버지의 손에서 컸는데, 이 무렵 시인의 길로 가도록 영향을 준 숙모 계희영을 만났다. 1915년 평안북도 곽산의 4년제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안북도 정주에 있는 오산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김억과 사제관계를 맺게 되고 한시, 민요시, 서구시 등을 본격적으로 접하게 된다. 후에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여 1923년 졸업했다. 이후 일본 도쿄 상과대학교에 입학 후 귀국했을 시점에 시인 나도향과 만나 친구가 되었다. 일제강점기 시절 이별과 그리움을 주제로 우리 민족의 한과 슬픔을 노래하는 시를 썼다. 김소월은 자신의 문학적 스승인 김억의 격려를 받아 그의 지도 아래 시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1920년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등 5편을 소월(素月)이라는 필명으로 동인지 『창조』 5호에 처음으로 시 「그리워」를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오산학교를 다니는 동안 김소월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1921년 [동아일보]에 「봄밤」, 「풀 따기」 등을 발표했다. 1922년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를 개벽지에 발표하였으며, 1925년에 시론 「시혼(詩魂)」을 발표하고, 같은 해 7월호에 떠나는 님을 진달래로 축복하는 한국 서정시의 기념비적 작품인 『진달래꽃』을 발표하여 크게 각광받았다. 이는 시인이 생전에 낸 유일한 시집으로 기록된다. 그 밖에 1923년 『깊고 깊은 언약』 『접동새』 1924년 『밭고랑 위에서』 『생과 사』 1926년 『봄』 『저녁』 『첫눈』 1934년 『제이, 엠, 에스』 『고향』 등을 발표했다.

1923년 도쿄상업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중퇴하고 귀국했다. 김소월은 고향으로 돌아간 후 조부가 경영하는 광산일을 돕다가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어 1926년평안북도 구성군 남시에서 [동아일보 지국]을 개설하고서 이도 실패하자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기도 했다. 예민한 성격이었던 김소월은 이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이후 류머티즘을 앓으며 친척들에게도 대접을 받지 못하는 등 고생하다가 1934년 12월 24일 만 32세의 나이로 평안북도 곽산에서 아편을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939년 스승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素月詩抄)』가 발간된다. 1977년 [문학사상] 11월호에 미발표 소월 자필 유고시 40여 편이 발굴, 게재된다.

김소월의 다른 상품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9,000 (10%)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상세페이지 이동

하루 한 편 김소월을 새기다

하루 한 편 김소월을 새기다

8,640 (10%)

'하루 한 편 김소월을 새기다' 상세페이지 이동

동주, 소월, 용운, 영랑의 글

동주, 소월, 용운, 영랑의 글

10,000

'동주, 소월, 용운, 영랑의 글' 상세페이지 이동

시가 지나간 자리에 명화가 남아

시가 지나간 자리에 명화가 남아

8,000 (5%)

'시가 지나간 자리에 명화가 남아' 상세페이지 이동

나무리벌 노래

나무리벌 노래

6,500

'나무리벌 노래' 상세페이지 이동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9,660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영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영랑
관심작가 알림신청
영랑令郞, 윤식
시인, 본명은 김윤식이며 아호는 영랑(令郞)이다. 1903년 전라남도 강진에서 태어났다. 강진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휘문보통고등학교를 거쳐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아오야마 학원 영문학과에서 수학했다. 그 후 1930년 3월 창간한 [시문학]을 중심으로 박용철, 정지용, 정인보 박용철, 정지용, 이하윤, 정인보, 변영로, 김현구, 신석정, 허보 등 여러 시인과 더불어 아호인 영랑(令郞)으로 활동했다.

1935년에 첫 번째 시집인 『영랑시집』을 시문학사에서 간행했다. 『영랑시집』에는 총 53편의 시가 실려 있으며, 각각의 시가 처음 발표되었을 때의 제목을 쓰지 않고 일련번호를 붙여 시집에 실었다. 이후 김영랑은 1949년에 중앙문화사에서 『영랑시집』을 출간했다.

김영랑은 조국 해방이 이루어질 때까지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및 삭발령을 거부했으며, 광복 후 신생 정부에 참여해 당시 중앙행정부인 공보처의 출판국장으로 일했다. 1950년 한국전쟁 때 유탄을 맞아 부상을 당해 9월 서울에 위치한 자택에서 47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현재 묘지는 서울 망우리에 있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사랑은 깊으기 푸른 하늘」 등 한국적 정서가 담긴 서정시를 많이 발표했다. 대표 시집으로 『영랑 시집』, 『영랑 시선』 등이 있다.

김영랑의 다른 상품

초판본 김영랑 시선

초판본 김영랑 시선

12,800

'초판본 김영랑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동주, 소월, 용운, 영랑의 글

동주, 소월, 용운, 영랑의 글

10,000

'동주, 소월, 용운, 영랑의 글' 상세페이지 이동

독립운동 100주년 시집

독립운동 100주년 시집

900 (10%)

'독립운동 100주년 시집' 상세페이지 이동

영랑시집 초판본

영랑시집 초판본

1,100

'영랑시집 초판본' 상세페이지 이동

모란이 피기까지는 - 한국 명시 따라 쓰기 02

모란이 피기까지는 - 한국 명시 따라 쓰기 02

6,000

'모란이 피기까지는 - 한국 명시 따라 쓰기 02' 상세페이지 이동

모란이피기까지는(큰글한국문학선집010)

모란이피기까지는(큰글한국문학선집010)

12,000

'모란이피기까지는(큰글한국문학선집010)' 상세페이지 이동

중학생이 보는 모란이 피기까지는

중학생이 보는 모란이 피기까지는

3,250

'중학생이 보는 모란이 피기까지는'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최세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최세라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1년 [시와반시]로 등단하고 시집으로 『복화술사의 거리』, 『단 하나의 장면을 위해』가 있다. 최근 펴낸 세 번째 시집 『콜센터 유감』 (2021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수혜도서)에는 다양하게 비정규직 노동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과 그들의 내면 의식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스무 살 나이에 꼭 알아야 할 것들을 딸에게 들려주는 마음으로 『갓 God 스물-스무 살 사용 설명서』를 펴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