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7명)

이전

저 : 강태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태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서울대학교에서 심리학과 법학을 공부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심리학과 법학 석사과정을 거쳐 법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KICJ) 연구위원과 서울대학교 철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법적 사고의 개념적 은유 구조를 분석해 왔고, 최근 법이론과 경험과학의 통합 시도인 실험법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저서로 『몸과 인지』(2015, 공저), 『법의 딜레마』(2020, 공저)가 있다.

저 : 공두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공두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11년 법관으로 임용되어 민사·형사·행정·파산 등 다양한 재판업무를 맡았다. 2020년부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철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최근 법해석론과 사법제도론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미래의 법률가들에게 철학적 영감을 불어넣는 일을 사명으로 생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흐름: 법실증주의, 법현실주의, 법원리론」(2019), 「대법원의 조직과 상고제도의 변화: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2021) 등이 있다.

저 : 김도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도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학사, 같은 대학원 법학과에서 석사, 독일 킬대학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철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권리와 의무, 공익, 자유, 정의 같은 법적 논증의 근본개념을 분석해 왔고, 최근 공적 이성 비실증주의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중이다. 주요 저서로 『법치주의의 기초』(2006, 공저), 『권리의 문법』(2008), 『한국 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2020) 등이 있다.

김도균의 다른 상품

근대법학교육 120년

근대법학교육 120년

32,000

'근대법학교육 120년' 상세페이지 이동

헌법논증이론

헌법논증이론

19,600

'헌법논증이론'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한국 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16,200 (10%)

'한국 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연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연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에서 학사,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철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호펠드의 권리론, 법감정론, 법시학 등 법적 정의를 지지하는 M. 누스바움의 사랑과 공감의 법학을 연구해 오고 있다. 문학적 법철학연구로서 ‘법시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저서로 『법적 상상력을 위한 법시학』(2021)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누스바움의 역량접근과 정의」(2019), 「문학적 법철학연구: 법의 내용으로서 비극성」(2020), 「팬데믹시대의 법윤리적 위기-생물학적 권리논변을 중심으로」(2020) 등이 있다.

저 : 김은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은애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윤리센터 특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 여성학, 경영학을 공부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과정을 거쳐 기초법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윤리센터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조생식술을 비롯한 인간의 재생산권 보장과 관련된 법정책, 임상시험을 비롯한 인간대상연구에서의 생명윤리와 연구윤리를 다루는 법정책을 연구해 오고 있다. 『건강 관련 인간대상연구에 대한 국제윤리가이드라인의 이해』(2022)를 옮겼다.

저 : 김재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재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법사회학을 전공해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 D.C.와 펜실베이니아주 변호사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유튜브 채널 <미국사회와 법>을 운영하고 있다. 법조윤리, 법사회학, 비교법, 장애인법 등을 강의하며, 저서로 『미국의 법학교육과 변호사윤리』(2007)가 있고 『국제 분쟁의 해결방법』(1998) 등을 옮겼다.

김재원 의 다른 상품

저 : 김현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현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법, 권리 등의 개념론, 권력비판, 미래법, 생명윤리법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요 저서로 『법철학: 이론과 쟁점』(제3판, 2022, 공저), 『생명윤리와 법』(제4판, 2020, 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형식적 정의론」(2002), 「자연주의적 자연법 이론의 가능성」(2017), 「이소노미아」(2018) 등이 있다.

김현철의 다른 상품

법교육학입문

법교육학입문

23,000

'법교육학입문' 상세페이지 이동

법철학 이론과 쟁점

법철학 이론과 쟁점

26,000

'법철학 이론과 쟁점' 상세페이지 이동

생명윤리와 법

생명윤리와 법

22,000

'생명윤리와 법' 상세페이지 이동

과학 기술 관련 인권 규범에 관한연구

과학 기술 관련 인권 규범에 관한연구

8,000

'과학 기술 관련 인권 규범에 관한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지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지윤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기초법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예술과 법의 관계에 대한 법철학적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한국법교육센터 연구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교수 및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아르스로서의 법」(2017), 「법교육지원법 10년의 회고와 전망」(2018, 공저), 「문화예술과 법」(2021), 「함병춘 법문화론에서 원초적 샤머니즘의 정의」(2022) 등이 있다.

저 : 손제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손제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조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서양철학과 법철학으로 각각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에서 강의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법의 철학적 기초와 규범 윤리의 제반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팬데믹으로 인한 규제 강화의 문제, AI 윤리 및 규제 논의에서 윤리 세탁(ethics washing)의 문제 등 긴급한 사회적 쟁점도 다루고 있다. 저서로 『코로나 위기와 법치주의』(2021, 공저)가 있다.

저 : 손지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손지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학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범죄행위를 향하는 인간의 자유의지와 책임의 이론적 근거를 연구해 왔고, 법여성학을 법인간학으로 발전시키는 이론적 구조를 규명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중지미수의 자의성 규명과정 정립을 위한 고찰」(2016), 「위험운전치사상죄의 형법입법을 위한 제안」(2017), 「목적범에 관한 고찰」(2018), 「임신중단 규제에 대한 국민적 합의의 필요」(2019) 등이 있다.

저 : 송윤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송윤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학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법철학, 여성주의 법이론, 생명윤리 분야를 종합적으로 연구해 오고 있으며, 최근 법과 감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여성과 몸』(2015, 공저), 『코로나시대의 법과 철학』(2021, 공저)이 있다.

저 : 안수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안수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학사, 법학석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에서 상사법으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회사법과 금융법을 주전공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 디지털·데이터 시대에 부응해 다양성·형평성·포용성을 기업문화로 정착시킬 수 있는 기업·금융법제 마련을 위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신세계회사법』(2021, 공저), 『금융소비자보호』(2022, 공저) 등이 있다.

안수현의 다른 상품

신체계 회사법

신체계 회사법

42,000

'신체계 회사법' 상세페이지 이동

금융소비자보호

금융소비자보호

20,000

'금융소비자보호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엄순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엄순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상국립대학교 법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학석사학위를 거쳐 법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의 연관성을 연구해 왔으며, 주권 개념을 분석하고 주권의 행위규범성을 법이론에 실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중년여성과 남성』(2015, 공저), 『법학입문』(2020)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주권의 행위규범성 연구」(2014), 「사법적 폭력과 법치주의」(2016) 등이 있다.

저 : 윤진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진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숭실대학교 법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에서 학사학위, 석사학위, 박사학위를 받았고,미국 American University College of Law와 Washington University Law School을 졸업했다. 현재 숭실대학교 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법여성학, 법철학, 법사회학, 가족법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법이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여성주의 정의론』(2016), 『소수자를 위한 법과 논리』(2018), 『페미니스트 법이론의 전개』(2018, 공저)가 있고, 『주홍 코드: 성경 속 여인들과 나눈 대화』(2014), 『여성 인권의 역사: 서양 페미니즘을 중심으로』(2019)를 옮겼다.

저 : 장원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원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같은 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및 행정환경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지니고 있으며, 대법원 전문직 재판연구관을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분쟁의 발생 및 다양한 해결 방법,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분쟁해결방법, 집단소송, 공공갈등관리, 학교폭력, 생명윤리, 사법통역 등의 주제로 3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장원경의 다른 상품

회복적 정의/사법 리틀북

회복적 정의/사법 리틀북

9,000 (10%)

'회복적 정의/사법 리틀북'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태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태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법철학으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고, 박사과정 중 독일 자르브뤼켄대학 법철학 및 사회철학 연구소에서 연수했다. 한국법철학회 회장과 동아시아 법철학대회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사상가들의 생애와 그 시대적 맥락 속에서 법사상을 포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 『자유주의 법철학』(2007)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플라톤 헌정철학의 역사적 맥락」(2017) 등이 있다.

정태욱 의 다른 상품

서양 근대의 역사적 장면들과 노래들 (큰글자도서)

서양 근대의 역사적 장면들과 노래들 (큰글자도서)

37,000

'서양 근대의 역사적 장면들과 노래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서양 근대의 역사적 장면들과 노래들

서양 근대의 역사적 장면들과 노래들

16,150 (5%)

'서양 근대의 역사적 장면들과 노래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유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유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법제연구원 사회적가치법제 팀장. 미국 버클리대학교 법대에서 헌법과 법사회학을 공부했고,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각각 국제법 석사학위와 법학사를 받았다. 2014년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1기 연구위원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법제연구원(KLRI) 사회적가치법제 팀장으로 재직 중이다. 사법개혁 이론과 법조사회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사법정책학 연구를 수행했으며, 최근 5년 동안 전환사회에서의 사회적 가치와 ESG, 유통산업발전법상 영업행위 규제, 로봇 안전 규제, 디지털전환 시대와 법제 연구 분야에서 다각적인 학제 간 연구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동원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대한민국의 법률가』(2016, 공저), 『한국의 민주주의와 법의 지배』(2022, 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