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7명)

이전

저 : 김수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수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KIM, SU-YOUNG,金洙暎
시인. 1921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1935년부터 1941년까지 선린상고(선린인터넷고등학교)에 재학했고, 성적은 우수했으며 특히 주산과 미술에 재질을 보였다. 거쳐 동경 상대에 입학했고 1942년 일본으로 건너가 연극을 공부하던 중 1944년 조선 학병 징집을 피해 귀국했다. 곧 중국 길림으로 이주하고 연극 활동을 하다가 해방 후 서울로 돌아왔다. 1945년 연희전문학교 영문과에 입학하였으나 한 학기 만에 자퇴했다. 심영 등과 연극을 하다가 1946년 문학으로 전향했고 그후 연희전문 영문과 4년에 편입했다. [예술부락] 2호에 시 「묘정의 노래」를 발표했고, 김경린, 박인환과 함께 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출간하였고 김병욱, 박인환, 김경희, 임호권 등과 [신시론] 동인 활동을 했다.

1950년 한국 전쟁 중 북한군 문화공작대에 강제 동원되어 군사훈련을 받다 탈출했으나 서울에서 체포되어 부산 거제리 포로수용소에 수용되었다. 1952년 포로수용소에서 석방. 부산, 대구에서 통역관 및 선린상고 영어교사로 지냈다. 1957년 한국시인협회상 제1회 수상자가 되었다. 1959년 첫 시집이자 생전에 발간한 유일한 시집인 『달나라의 장난』(춘조사)을 출간했다. 1960년 4·19혁명 발발. 이후 현실과 정치를 직시하는 적극적인 태도로 시, 시론, 시평, 번역 등을 잡지와 신문 등에 발표하며 왕성한 집필 활동을 보였다. 만년에는 자신을 번역가로 소개하기도 했다. 1968년 6월 15일, 귀가하던 중 집 근처에서 버스에 치여 응급치료를 받았으나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다음날 아침 숨을 거뒀다.

김수영의 다른 상품

주홍 글씨

주홍 글씨

22,800 (5%)

'주홍 글씨' 상세페이지 이동

시를 잊은 나에게

시를 잊은 나에게

15,120 (10%)

'시를 잊은 나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디 에센셜 김수영

디 에센셜 김수영

15,300 (10%)

'디 에센셜 김수영' 상세페이지 이동

시여, 침을 뱉어라

시여, 침을 뱉어라

12,600 (10%)

'시여, 침을 뱉어라' 상세페이지 이동

폐허에 폐허에 눈이 내릴까

폐허에 폐허에 눈이 내릴까

14,220 (10%)

'폐허에 폐허에 눈이 내릴까' 상세페이지 이동

시인의 거점

시인의 거점

31,350 (5%)

'시인의 거점' 상세페이지 이동

꽃잎

꽃잎

9,900 (10%)

'꽃잎' 상세페이지 이동

너에게 주고픈 아름다운 시

너에게 주고픈 아름다운 시

11,700 (10%)

'너에게 주고픈 아름다운 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춘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춘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KIM,CHUN-SOO,金春洙
경상남도 통영시 동호동에서 출생하였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43년 니혼대학[日本大學] 예술학과 3학년에 재학중 중퇴하였다.경북대 교수와 영남대 문리대 학장,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시인협회장을 역임했고, 제2회 한국시인협회상, 대한민국예술원상, 문화훈장(은관) 등을 수상하였다.

1945년 유치환, 윤이상, 김상옥 등과 「통영문화협회」를 결성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으며, 1946년 광복 1주년 기념시화집 『날개』에 「애가」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대구 지방에서 발행된 동인지 『죽순』에 시 「온실」 외 1편을 발표하였다. 1948년에 첫 시집 『구름과 장미』를 내며 문단에 등단한 이후, 「산악」·「사」·「기(旗)」·「모나리자에게」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주로 『문학예술』·『현대문학』·『사상계』·『현대시학』 등의 잡지에 작품을 발표하였고, 평론가로도 활동하였다. 초기에는 릴케의 영향을 받아 삶의 비극적 상황과 존재론적 고독을 탐구하였으며,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실을 분명히 지시하는 산문 성격의 시를 써왔다. 그는 사물의 이면에 내재하는 본질을 파악하는 시를 써 '인식의 시인'으로도 일컬어진다.

시집으로 첫 시집 외에 『늪』·『기』·『인인(隣人)』·『꽃의 소묘』·『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김춘수시선』·『김춘수전집』·『처용』·『남천(南天)』·『꽃을 위한 서시』·『너를 향하여 나는』 등이 있으며, 시론집으로 『세계현대시감상』·『한국현대시형태론』·『시론』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한국의 문제시 명시 해설과 감상』(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

김춘수의 다른 상품

꽃인 듯 눈물인 듯

꽃인 듯 눈물인 듯

15,300 (10%)

'꽃인 듯 눈물인 듯'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꽃인 듯 눈물인 듯 어쩌면 이야기인 듯

꽃인 듯 눈물인 듯 어쩌면 이야기인 듯

13,500 (10%)

'꽃인 듯 눈물인 듯 어쩌면 이야기인 듯' 상세페이지 이동

차례

차례

11,400 (5%)

'차례' 상세페이지 이동

통영 소년  김춘수 이야기

통영 소년 김춘수 이야기

10,800 (10%)

'통영 소년 김춘수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5,400 (10%)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춘수 시선

김춘수 시선

16,000

'김춘수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종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종삼
관심작가 알림신청
1921년 4월 25일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났다. 평양 광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양 숭실중학교를 거쳐 일본 동경 도요시마(豊島) 상업학교에 편입, 졸업하고 동경문화학원 문학과에 입학함. 해방이 되자 귀국 극예술협회 연출부에서 음악을 담당했다. 1954년 『현대예술』 6월호에 시 「돌」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대시회] 회원으로 시를 쓰며 [시극] 동인으로 각종 시극의 음악을 연출했다. 1967년 동아방송 제작부에서 음악 연출을 담당하다 정년을 맞았다. 1984년 12월 8일 간경화로 생을 마감했다. 경기도 송추 울대리 길음성당 묘역에 영면함. 제2회 현대시학 작품상(1971), 한국시인협회상(1978)을 수상했다. 개인시집 『십이음계』, 『시인학교』, 『누군가나에물었다』, 시선집 『북치는 소년』, 『평화롭게』, 연대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 공동시집 『본적지』 등을 상재했다.

김종삼의 다른 상품

전쟁과 음악과 평화와

전쟁과 음악과 평화와

9,000 (10%)

'전쟁과 음악과 평화와' 상세페이지 이동

내용 없는 아름다움

내용 없는 아름다움

25,200 (10%)

'내용 없는 아름다움' 상세페이지 이동

김종삼 정집

김종삼 정집

45,000 (10%)

'김종삼 정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성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성부
관심작가 알림신청
1942년 전남 광주 출생으로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우리들의 양식』이 당선되었으며, 시집으로는『이성부 시집』『우리들의 양식』『백제행』『전야』『빈산 뒤에 두고』『야간 산행』등이 있다. 1969년 제15회 현대문학상 수상,1977년 제4회 한국문학 작가상 수상하였다.

이성부의 다른 상품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당신은 우리 편이 되어야 합니다

당신은 우리 편이 되어야 합니다

5,400 (10%)

'당신은 우리 편이 되어야 합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앞이 모두 길이다

우리 앞이 모두 길이다

15,000

'우리 앞이 모두 길이다' 상세페이지 이동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린다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린다

8,080 (5%)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린다' 상세페이지 이동

지리산

지리산

13,300 (5%)

'지리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은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은교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영문학과 및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68년 [사상계]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했다. 시집 『허무집』, 『풀잎』, 『빈자일기』, 『소리집』, 『붉은 강』, 『오늘도 너를 기다린다』, 『벽 속의 편지』, 『어느 별 위에서의 하루』, 『등불 하나가 걸어오네』, 『시간은 주머니에 은빛 별 하나 넣고 다녔다』, 『초록 거미의 사랑』, 『네가 떠난 후 너를 얻었다』, 『바리연가집』이 있다. 그 밖에 산문집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명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추억제』, 『그물 사이로』, 『잠들면서 잠들지 않으면서』 등이 있다. 한국문학작가상, 현대문학상, 정지용문학상, 유심작품상, 박두진문학상, 구상문학상 등을 받았으며, 현재 동아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강은교의 다른 상품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밤을 채우는 감각들

밤을 채우는 감각들

12,600 (10%)

'밤을 채우는 감각들' 상세페이지 이동

꽃을 끌고

꽃을 끌고

13,500 (10%)

'꽃을 끌고' 상세페이지 이동

고래 2022

고래 2022

9,000 (10%)

'고래 2022' 상세페이지 이동

그 푸른 추억 위에 서다

그 푸른 추억 위에 서다

16,150 (5%)

'그 푸른 추억 위에 서다' 상세페이지 이동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11,700 (10%)

'지금 가장 소중한 것은' 상세페이지 이동

아직도 못 만져본 슬픔이 있다

아직도 못 만져본 슬픔이 있다

11,700 (10%)

'아직도 못 만져본 슬픔이 있다' 상세페이지 이동

고래 2020

고래 2020

9,000 (10%)

'고래 2020'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장정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정일
관심작가 알림신청
蔣正一
어린 시절의 꿈은 '동사무소의 하급 공무원이나 하면서 아침 아홉 시에 출근하여 다섯 시면 퇴근하여 집에 돌아와 발씻고 침대에 드러누워 새벽 두 시까지 책을 읽는 것'이었다 한다. 책읽기는 그가 그토록 무서워하고 미워했던 아버지로부터의 유일한 탈출구였다.

학교를 싫어했던 그는 삼중당문고를 교과서 삼아 열심히 외국 소설을 독파했고, 군입대와 교련을 거부하는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핑계로 드디어 1977년 성서중학을 끝으로 학교와의 인연을 끊는다. 그러나 1979년 폭력범으로 소년원에 수감되면서 그는 학교와 군대의 나쁜 점만 모아놓은, 세상에서 가장 몹쓸 지옥인 교도소 생활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의 경험은 「하얀몸」을 비롯한 그의 시의 바탕이 된다.

오랜 정신적 방황을 겪은 그는 박기영을 스승으로 삼아 시를 배우기 시작하여 마침내 1984년 무크지 『언어의 세계』에 「강정 간다」외 4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한다. 이후 『시운동』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왕성한 시작 활동을 하였고, 1987년에는 희곡 「실내극」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극작활동도 시작한다. 그리고 같은 해 시집 『햄버거에 대한 명상』으로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하고 연이어 시집 『길안에서의 택시잡기』를 발표하면서, 지금껏 문단에서 경험해본 적이 없던 '장정일'이라는 '불온한 문학'이 드디어 '중앙'에 입성했음을 알린다.

1988년 『세계의 문학』 봄호에 단편 「펠리칸」을 발표하면서 소설가를 겸업하기 시작한 그는 소설집 『아담이 눈뜰 때』(1990), 장편 『너에게 나를 보낸다』(1992),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1994)를 연이어 발표하고 이 소설들이 모두 같은 제목의 영화로 만들어지며 '장정일'은 드디어 우리 문화의 뚜렷한 코드 상징으로 자리잡는다.

그러나 1996년 『내게 거짓말을 해봐』를 발간한 후 그가 파리에 있는 그의 아내인 소설가 신이현을 만나러 출국한 사이, 한국에서는 외설시비가 일어나고 자신의 소설이 작품성과는 상관없이 포르노로 규정받고 있던 그해의 마지막날, 장정일은 파리에서 자진 귀국하여 당당히 자신의 작품에 대해 변론한다. 그러나 영화 <거짓말>이 무죄판결을 받은 것과 대조적으로, 법원의 최종판결은 유죄. 그리고 또 한번의 구속으로 이어진다. 당시 그의 변호를 맡은 변호사 강금실은 후에, 『장정일 화두, 혹은 코드』라는 책에서 당시의 장정일과 재판에 대한 글 <장정일을 위한 변명>을 썼다.

그 사이 한국에서의 평가와는 달리 『내게 거짓말을 해봐』는 일본에서 발간되는 등 해외에서 더 호평을 받고, 그는 스스로 대표작으로 꼽는 『중국에서 온 편지』(1999)와 자전적 소설 『보트하우스』(2000)를 펴낸다. 그의 '독자 후기'를 모은 『장정일의 독서일기』도 5권까지 펴내며 그는 지금 대구에서 평생 소원인 책읽기와 재즈듣기로 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한다. "머리같이 쓸데 없는 데서는 한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노모가 바리깡으로 직접 깎아주는 빡빡 머리와 헐렁한 골덴 바지 그리고 청색 면 티 차림을 하고.

장정일의 다른 상품

이 편지는 제주도로 가는데, 저는 못 가는군요

이 편지는 제주도로 가는데, 저는 못 가는군요

18,000 (10%)

'이 편지는 제주도로 가는데, 저는 못 가는군요' 상세페이지 이동

신악서총람

신악서총람

18,000 (10%)

'신악서총람' 상세페이지 이동

마을 (계간) : 6호 [2020]

마을 (계간) : 6호 [2020]

14,250 (5%)

'마을 (계간) : 6호 [2020]' 상세페이지 이동

눈 속의 구조대

눈 속의 구조대

9,000 (10%)

'눈 속의 구조대 ' 상세페이지 이동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8,100 (10%)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상세페이지 이동

위대한 서문

위대한 서문

14,400 (10%)

'위대한 서문' 상세페이지 이동

이스트를 넣은 빵

이스트를 넣은 빵

10,800 (10%)

'이스트를 넣은 빵' 상세페이지 이동

장정일의 악서총람

장정일의 악서총람

16,020 (10%)

'장정일의 악서총람'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허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허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許然
서울에서 태어났다. 1991년 〈현대시세계〉 신인상을 받으며 시인으로 데뷔했다. 연세대학교에서 〈단행본 도서의 베스트셀러 유발요인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추계예술대학교에서 〈시 창작에서의 영화이미지 수용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게이오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연구원을 지냈으며 매일경제신문 기자와 문화부장을 거쳐 매경출판에 재직하고 있다.

시집 《불온한 검은 피》 《나쁜 소년이 서 있다》 《내가 원하는 천사》 《오십 미터》 《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와 시선집 《밤에 생긴 상처》를 냈다. 산문집으로는 《너에게 시시한 기분은 없다》 《그 문장을 읽고 또 읽었다》 등이 있다.

현대문학상, 한국출판학술상, 시작작품상, 김종철문학상 등을 받았다.

허연의 다른 상품

파우스트

파우스트

13,500 (10%)

'파우스트' 상세페이지 이동

밤에 생긴 상처

밤에 생긴 상처

11,700 (10%)

'밤에 생긴 상처' 상세페이지 이동

마흔에는 고독을 받아쓰기로 했다

마흔에는 고독을 받아쓰기로 했다

16,200 (10%)

'마흔에는 고독을 받아쓰기로 했다' 상세페이지 이동

내가 고생이 많네

내가 고생이 많네

12,600 (10%)

'내가 고생이 많네' 상세페이지 이동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3,500 (10%)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상세페이지 이동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11,700 (10%)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상세페이지 이동

아Q정전

아Q정전

11,700 (10%)

'아Q정전' 상세페이지 이동

모비 딕

모비 딕

11,700 (10%)

'모비 딕'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