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글 : 이수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글 : 이수겸
관심작가 알림신청
어린이를 위한 그림과 글 작업을 하는 작가들의 모임 ‘스튜디오 해닮'의 대표 글작가로서, 어린이 교양서와 동화, 학습만화의 글을 쓰고 있습니다. 펴낸 책으로는 『두바이처럼 생각하라』, 『판타지 탈무드의 비밀』, 『백 원 갖고 뭐해?』, 『우리나라 삼한지 시리즈』, 『홍쌤의 최강 수학 시리즈』, 『살아남기 시리즈 - 세계 문명』, 「요리공주」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현재는 「꿈발전소와 함께하는 직업체험 워크북」 시리즈 작업과 잡지 『어린이 동산』에 과학 만화를 연재하고 있습다.

이수겸의 다른 상품

후 who? 한국사 이순신

후 who? 한국사 이순신

13,050 (10%)

'후 who? 한국사 이순신' 상세페이지 이동

두뇌월드 큐 10

두뇌월드 큐 10

8,550 (10%)

'두뇌월드 큐 10' 상세페이지 이동

두뇌월드 큐 9

두뇌월드 큐 9

8,550 (10%)

'두뇌월드 큐 9' 상세페이지 이동

두뇌월드 큐 8

두뇌월드 큐 8

8,550 (10%)

'두뇌월드 큐 8' 상세페이지 이동

두뇌월드 큐 7

두뇌월드 큐 7

8,550 (10%)

'두뇌월드 큐 7' 상세페이지 이동

두뇌월드 큐 6

두뇌월드 큐 6

8,550 (10%)

'두뇌월드 큐 6' 상세페이지 이동

두뇌월드 큐 5

두뇌월드 큐 5

8,550 (10%)

'두뇌월드 큐 5' 상세페이지 이동

선덕여왕

선덕여왕

8,550 (10%)

'선덕여왕' 상세페이지 이동

감수 : 방민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감수 : 방민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5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1994년 『창작과 비평』 제 1회 신인 평론상을 수상하면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문학 평론집으로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2018),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2007), 『행인의 독법』(2005), 『문명의 감각』(2003), 『납함 아래의 침묵』(2001),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2000)가 있다.

2001년 『현대시』로 시창작 활동을 시작했고 시집으로 『숨은 벽』(2018), 『내 고통은 바닷속 한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2015),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2010)가 있다. 2012년 『문학의 오늘』에 「짜장면이 맞다」를 발표하면서 소설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로 『대전스토리, 겨울』(2017), 『연인 심청』(2015)이 있으며 창작집으로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답함』(2015)이 있다.산문집으로 『서울문학기행』(2017), 『명주』(2002)가 있다.

한국문학 연구서 『이상 문학의 방법론적 독해』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산문집 『서울문학기행』 『명주』 등 다수를 펴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방민호의 다른 상품

구보의 구보

구보의 구보

63,000 (10%)

'구보의 구보' 상세페이지 이동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16,200 (10%)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상세페이지 이동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27,000 (10%)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상세페이지 이동

한흑구의 삶과 문학

한흑구의 삶과 문학

16,200 (10%)

'한흑구의 삶과 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설악무산의 문학, 그 깊이와 넓이

설악무산의 문학, 그 깊이와 넓이

10,800 (10%)

'설악무산의 문학, 그 깊이와 넓이'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30,000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상세페이지 이동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11,700 (10%)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18,000 (10%)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