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조슈아 메이로위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슈아 메이로위츠
관심작가 알림신청
뉴햄프셔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1972년 매스커뮤니케이션 드라마 전공으로 뉴욕시립대학교 퀸스칼리지(CUNY)를 졸업하고, 1974년 같은 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미디어”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1979년 뉴욕대학(NYU)에서 미디어생태학(Media Ecology) 프로그램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 연구로는 “미디어 진화와 문화적 변화(Media Evolution and Cultural Change)”(2010, in Handbook of Cultural Sociology), “매체 이론: 미디어 효과의 지배 패러다임의 대안(Medium Theory: An Alternative to the Dominant Paradigm of Media Effects)”(2009, in The Sage Handbook of Media Processes and Effects), “권력, 유희, 패턴: 미디어 영향력에 대한 교차 서사(Power, Pleasure, Patterns: Intersecting Narratives of Media Influence)”(2008, Journal of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조슈아 메이로위츠의 다른 상품

장소감의 상실 2 큰글씨책

장소감의 상실 2 큰글씨책

35,000

'장소감의 상실 2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장소감의 상실 1 큰글씨책

장소감의 상실 1 큰글씨책

35,000

'장소감의 상실 1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장소감의 상실 1

장소감의 상실 1

24,800

'장소감의 상실 1 ' 상세페이지 이동

역 : 김병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병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계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2015년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고, 현재 ≪언론과 사회≫ 편집위원이다. 주요 논문으로 “탈북 사건 보도의 행위자?네트워크: 언론 보도에 의한 <탈북 루트>의 해체 과정을 중심으로”(2015), “미디어 기술의 정신병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기술이 매개하는 징후의 계보학”(2014), “소셜미디어의 계보와 소통의 현상학”(2013), “진화론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변이에 관한 연구: 매클루언의 미디어 이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2012), “간첩사건의 행위자 네트워크: 북한과의 접촉 사건에 대한 스토리텔링의 패턴과 그 변화”(2012) 등이 있다. 저서로 ??이미지와 기억: 이미지 개념의 철학사??(2018), ??미디어 철학과 역사??(2017), ??커뮤니케이션학의 확장: 경계에서 미디어 읽기??(2016, 공저), ??분단의 행위자 네트워크와 수행성??(2015, 공저) 등이 있다.

김병선의 다른 상품

장소감의 상실 2 큰글씨책

장소감의 상실 2 큰글씨책

35,000

'장소감의 상실 2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장소감의 상실 1 큰글씨책

장소감의 상실 1 큰글씨책

35,000

'장소감의 상실 1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장소감의 상실 1

장소감의 상실 1

24,800

'장소감의 상실 1 '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