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등저 : 방민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방민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5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1994년 『창작과 비평』 제 1회 신인 평론상을 수상하면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문학 평론집으로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2018),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2007), 『행인의 독법』(2005), 『문명의 감각』(2003), 『납함 아래의 침묵』(2001),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2000)가 있다.

2001년 『현대시』로 시창작 활동을 시작했고 시집으로 『숨은 벽』(2018), 『내 고통은 바닷속 한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2015),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2010)가 있다. 2012년 『문학의 오늘』에 「짜장면이 맞다」를 발표하면서 소설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로 『대전스토리, 겨울』(2017), 『연인 심청』(2015)이 있으며 창작집으로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답함』(2015)이 있다.산문집으로 『서울문학기행』(2017), 『명주』(2002)가 있다.

한국문학 연구서 『이상 문학의 방법론적 독해』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산문집 『서울문학기행』 『명주』 등 다수를 펴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방민호의 다른 상품

구보의 구보

구보의 구보

63,000 (10%)

'구보의 구보' 상세페이지 이동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16,200 (10%)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상세페이지 이동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27,000 (10%)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상세페이지 이동

한흑구의 삶과 문학

한흑구의 삶과 문학

16,200 (10%)

'한흑구의 삶과 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설악무산의 문학, 그 깊이와 넓이

설악무산의 문학, 그 깊이와 넓이

10,800 (10%)

'설악무산의 문학, 그 깊이와 넓이'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30,000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상세페이지 이동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11,700 (10%)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18,000 (10%)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최인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최인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崔仁勳
전근대적인 상황과 양대 이데올로기의 틈새에서 끊임없는 화두를 던진 전후 한국현대문학의 대표 작가. 근대성에 대한 관심,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 그리고 새로운 형식의 탐구를 바탕으로 “신이 죽은 시대, 신화가 사라진 시대에 신비주의와 소재주의에 빠지지 않고 자기의 방법론으로 개발한 내면성 탐구의 절정”에 선 작가 최인훈.

1936년에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나서 8.15 해방 이후 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사하여 그 곳에서 중학교를 다녔다. 이어 원산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6.25 전쟁이 발발하자 월남하여 목포고등학교를 거쳐서 서울대 법대에 재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1959년 『자유문학』에 「그레이구락부전말기」와 「라울전」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이 두 작품은 관념과 현실, 그리고 자아와 세계의 대립 구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최인훈 소설에서 나타나는 현실인식의 기본적인 구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후 「9월의 다알리아」, 「우상의 집」, 「가면고」 등을 발표하였고 1960년 11월에 『새벽』에 중편소설 「광장」을 발표하였다.

「광장」은 최인훈 소설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소설로서 남북한 이데올로기를 동시에 비판한 최초의 소설이자 전후문학을 마감하고 1960년대 문학의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광장」은 4.19 혁명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생각하지 않고서는 논의되기가 어려울 만큼 1960년대의 사회적인 상황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소설이다. 작품의 프롤로그에 해당한 부분에서 작가는 “구정권 하에서라면 이런 소재가 아무리 구미에 당기더라도 감히 다루지 못하리라는 걸 생각하면 저 빛나는 사월이 가져온 새 공화국에 사는 작가의 보람을 느낍니다”라고 서술하고 있을 정도이다. 작가가 말하고 있듯이 「광장」은 바로 1960년대의 분위기가 만들어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광장」 이후 최인훈은 「회색인」, 「서유기」, 「총독의 소리」 연작,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 등 많은 소설을 발표하였다. 각 소설마다 환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새로운 형식과 자아와 현실에 대한 성찰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 사변적인 내용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오랜 동안 소설 창작을 중지하고 희곡 창작에 전념하기도 하였는데 희곡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등의 작품은 한국의 신화적인 세계를 통해서 민족의 본성을 탐구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994년에는 자기 존재의 실존적 의미를 탐구한 자전적인 장편소설 「화두」를 발표하여 이산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았다. 동인문학상과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 중앙문화대상 예술부문 장려상, 서울 극평가그룹상 등 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1979년에 문학과지성사에서 『최인훈 전집』을 출간하였다.1977년부터 2001년 5월까지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퇴임 이후에도 명예교수로 예우받았다. 2018년 사망한 뒤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하였다.

최인훈의 다른 상품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D세트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D세트

126,450 (10%)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D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현대희곡선

한국 현대희곡선

12,600 (10%)

'한국 현대희곡선' 상세페이지 이동

달과 소년병

달과 소년병

15,300 (10%)

'달과 소년병' 상세페이지 이동

광장/구운몽

광장/구운몽

12,600 (10%)

'광장/구운몽' 상세페이지 이동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8,100 (10%)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상세페이지 이동

바다의 편지

바다의 편지

22,500 (10%)

'바다의 편지' 상세페이지 이동

길에 관한 명상

길에 관한 명상

11,700 (10%)

'길에 관한 명상' 상세페이지 이동

유토피아의 꿈

유토피아의 꿈

12,600 (10%)

'유토피아의 꿈'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