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공저 : 정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정초
관심작가 알림신청
鄭招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이다. 본관은 하동(河東)이고, 자는 열지(悅之)이며, 정희(鄭熙)의 아들이다. 태종 5년(1405) 문과에 급제하고, 태종 7년 중시에 합격했다. 이조판서·대제학을 지냈다. 세종 초의 과학 사업에 중요한 소임을 맡아 정인지(鄭麟趾)·정흠지(鄭欽之)와 함께 『대통통궤(大統通軌)』를 연구하고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을 편찬했으며, 간의대(簡儀臺)를 제작, 설치하는 일을 관장했다. 또한 왕명에 의하여 『농사직설(農事直說)』 『회례문무악장(會禮文武樂章)』 『삼강행실도』 등을 편찬했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공저 : 변효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변효문
관심작가 알림신청
卞孝文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초명은 변계문(卞季文)이며, 자는 일민(一敏)이다. 변경(卞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변빈(卞贇)이고, 아버지는 판윤(判尹) 변남룡(卞南龍)이며, 어머니는 영문하부사 염제신(廉悌臣)의 딸이다. 태종 14년(1414) 알성 문과에 을과 3등으로 급제, 내외직을 지낸 뒤 직제학을 거쳐 세종 10년(1428) 봉상시소윤(奉常寺少尹)을 지냈다. 세종 21년 판내섬시사(判內贍寺事)를 거쳐 그 이듬해 첨지중추원사가 되었으나, 이전에 회령대후(會寧待候)로 재직 시에 귀화한 여진인들의 의복지급사건에서 죄를 지은 사실로 의금부·사헌부 등의 탄핵을 받아 세종 23년(1441) 파직되었다. 세종 25년 첨지중추원사로 복직되어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왔으나, 태종 때의 죄인이었던 이속(李續)의 손자인 이인휴(李仁畦)를 통신사 수행 시 대동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았다. 세종 26년 『오례의주(五禮儀注)』를 상정(詳定)했다. 정초와 함께 『농사직설』을 편찬했다.

역주 : 이병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주 : 이병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 신정동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석사?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 역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저서 및 논문〉?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3(고려편)』, 『高麗後期 寺院經濟 硏究』, 『高麗時期 寺院經濟 硏究』?1?2, 『농사직설 역해』, 『고려시기 사냥꾼 楊水尺과 定住 社會』, 『高麗時期 生態環境 硏究』, 『高麗時期 家門 硏究』(공저), 『아틀라스 한국사』(공저), 『조선전기 불교사 연구』(공저), ?高麗時期 寺刹의 數的 推移?, ?조선전기 도자기 수공업의 편제와 운영?, ?高麗後期 農地開墾과 新生村?, ?고려 현종대 사상과 문화정책?, ?고려시기 벽란도의 ‘해양도시’적 성격?, ?조선전기 琉球國 농업의 이해?, ?고려 현종대 진휼정책과 권농정책?, ?조선시기 동물의 수적 변동과 그 의미? 외 다수

이병희의 다른 상품

한국 불교사, 고려

한국 불교사, 고려

36,000

'한국 불교사, 고려'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전기 사원경제 연구

조선전기 사원경제 연구

28,000

'조선전기 사원경제 연구 ' 상세페이지 이동

고려시기 생태환경 연구

고려시기 생태환경 연구

39,000

'고려시기 생태환경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고려시기 사냥꾼 양수척과 정주 사회

고려시기 사냥꾼 양수척과 정주 사회

21,000

'고려시기 사냥꾼 양수척과 정주 사회' 상세페이지 이동

아틀라스 한국사

아틀라스 한국사

32,400 (10%)

'아틀라스 한국사' 상세페이지 이동

고려시기 사원경제 연구 2

고려시기 사원경제 연구 2

50,000

'고려시기 사원경제 연구 2' 상세페이지 이동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세트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세트

198,000 (10%)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