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7명)

이전

등저 : 전우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전우택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우택은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교수 겸 연세동곡의학교육원 원장이며, 한국의학교육학회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연세의대를 졸업하였다. 1989년 정신건강의학 전문의 자격, 1994년 연세대학교에서 의사박사학위(정신의학)를 취득하였다. 1994년부터 연세의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고,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사회의학과(Department of Social Medicine)와 하버드 난민 프로그램(Harvard Program of Refugee)에서 fellow로 활동하였다. 정신과 영역에서는 주로 사회정신의학 영역에서 연구를 하여 탈북자, 난민, 사회적 트라우마, 북한과 통일에 대한 연구들을 하였으며, 한국자살예방협회 이사장,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민간위원, 한반도평화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는 연세의대 의학교육학과로 소속을 옮겨 의학교육학과 교수 및 학과장으로 활동하면서 정신과학교실 및 인문사회의학교실 겸무교수로 있어왔다. 의학교육 학술지인 『의학교육논단』의 편집인 및 대한의학회 교육이사, 한국의학교육학회 의학교육지원단(MERCI)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통일 관련 대표저서로는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단독, 2000),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단독, 2007), 『웰컴 투 코리아』(공동저자, 2006), 『통일 실험, 그 7년』(대표편저자, 2010), 『통일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대표편저자, 2015),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대표편저자, 2016), 『트라우마와 사회치유』(대표편저자, 2019),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대표편저자, 2019, 2021), 『평화와 반평화』(대표편저자, 2021), 『통일보건의료의 미래』(대표편저자, 2023) 등이 있다. 의학교육 관련 대표저서로는 『사회의학 연구방법론』(단독, 1999), 『의료의 문화사회학』(대표편저자, 2002), 『의학적 상상력의 힘』(대표편저자, 2010), 『인문사회의학』(대표편저자, 2010), 『예비의료인을 위한 진로선택 가이드북』(대표편저자, 2006, 2014), 『의학교육의 미래』(1판, 단독, 2016) 등이 있다. 의료선교 관련 저서로 『의교선교학』(대표편저자, 2004), 『땅 끝의 아침』(대표편저자, 2007) 등이 있고, 그 외 『정신의학과 기독교』(대표편저자, 2020)가 있다.

전우택의 다른 상품

한반도 보건의료, 생명을 살리는 담대한 도전

한반도 보건의료, 생명을 살리는 담대한 도전

25,000

'한반도 보건의료, 생명을 살리는 담대한 도전' 상세페이지 이동

의학교육의 미래

의학교육의 미래

15,000

'의학교육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22,000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

25,000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와 반평화

평화와 반평화

20,000

'평화와 반평화' 상세페이지 이동

생명

생명

10,450 (5%)

'생명' 상세페이지 이동

독일 통합과 한국

독일 통합과 한국

25,000

'독일 통합과 한국' 상세페이지 이동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18,000 (10%)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박명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박명림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로서 정치학, 사회인문학, 평화학, 한국학, 동아시아국제관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인간평화와 치유 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 박사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연구 교수(1994-1999), 하버드대학교 하버드-옌칭 연구소 협동 연구학자(1999-2001), 프랑스고등사회과학원과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2013-2014)로 재직하였다.

박명림의 다른 상품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3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2' 상세페이지 이동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1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1

25,000

'김대중의 사상과 정치 1' 상세페이지 이동

독립, 호국, 민주의 미래와 보훈의 가치

독립, 호국, 민주의 미래와 보훈의 가치

11,700 (10%)

'독립, 호국, 민주의 미래와 보훈의 가치' 상세페이지 이동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18,000 (10%)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큰글자책)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큰글자책)

35,000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6.15의 해법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6.15의 해법

13,000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6.15의 해법'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22,800 (5%)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상세페이지 이동

대통령의 책 읽기

대통령의 책 읽기

16,200 (10%)

'대통령의 책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임정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임정택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 교수. 1998~2016년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장으로서 영화, 디자인, 문화콘텐츠, 디지털미학, 문화정책 및 기획, 과학기술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으로 인문학의 지평을 확장하는 연구를 수행하면서 지식의 융합을 실천해왔다. 주요 저서로는 『상상, 한계를 거부하는 발칙한 도전』, 『논쟁: 독일통일의 과정과 결과』(공편), 『세계영화사강의』(공저), 『바퀴와 속도의 문명사』(공저), 『시각기계의 문명사』(공저), 『인문학자, 과학기술을 탐하다』(공저) 등이 있다.

임정택의 다른 상품

상상, 한계를 거부하는 발칙한 도전

상상, 한계를 거부하는 발칙한 도전

11,700 (10%)

'상상, 한계를 거부하는 발칙한 도전' 상세페이지 이동

시각기계의 문명사

시각기계의 문명사

20,000

'시각기계의 문명사'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 영화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동아시아 영화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10,000

'동아시아 영화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상세페이지 이동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12,000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신보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신보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기초연구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건학자로서 몸과 마음에 공유된 기억으로 새겨지는 사회적 트라우마가 개인과 집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사회적 트라우마를 사회를 통해 치료하고 치유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주요하게 연구하고 있다. 이 외에도 통일 의료, 북한이탈주민, 북한, 갈등?화해학, 평화학 등을 주요 관심 연구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현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연구위원, 통일보건의료학회 총무간사이다. 주요 저서로는 『트리우마와 사회치유』(역사비평사, 2019),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박영사, 제2판, 2021) 등이 있다.

신보경의 다른 상품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22,000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손인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손인배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한반도 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로서 통일,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남북보건의료협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지표, 지수 개발 작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반도 번영의 경제적 귀결을 관심 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한반도평화연구원 행정팀장,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간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연구위원, 23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위원이다. 저서로는 『트리우마와 사회치유』(역사비평사, 2019)가 있다.

손인배의 다른 상품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18,000 (10%)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22,000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