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이덕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덕일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德一
숭실대학교 사학과와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8년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를 창립한 이래 우리 사회 양대 사대주의 역사관인 조선 후기 노론사관과 조선총독부 식민사관을 해체하는 한 길을 걸어왔다.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등의 저서를 통해 남한 강단사학의 노론사관을 비판했고,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우리 안의 식민사관》 등을 통해 남한 강단사학의 정설인 조선총독부 식민사관을 비판했다. 현재 《조선왕조실록 1~5》(10권까지 근간)을 집필 중에 있고,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해역), 《신주사기》 등 수많은 저서가 있다. 황국사관을 추종하는 역사학자들은 임나를 가야로 보고, 그 임나를 야마토왜가 지배하고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였다고 주장하는데, 《조선사편수회 식민사관 비판 Ⅱ- 임나일본부는 일본열도에 있었다》는 임나일본부는 한반도 남부에 없었고 일본열도에 있었음을 밝혀내어 황국사관의 논리적 모순을 조목조목 밝혀 해체한 책이다.

이덕일의 다른 상품

조선사편수회 식민사관 비판 2

조선사편수회 식민사관 비판 2

17,100 (10%)

'조선사편수회 식민사관 비판 2' 상세페이지 이동

환단고기에서 희망의 빛을 보다

환단고기에서 희망의 빛을 보다

18,000 (10%)

'환단고기에서 희망의 빛을 보다'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왕조실록 5

조선왕조실록 5

16,200 (10%)

'조선왕조실록 5' 상세페이지 이동

사기, 2천 년의 비밀

사기, 2천 년의 비밀

19,800 (10%)

'사기, 2천 년의 비밀'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왕조실록 4 세조 예종 성종

조선왕조실록 4 세조 예종 성종

16,200 (10%)

'조선왕조실록 4 세조 예종 성종' 상세페이지 이동

금기어가 된 조선 유학자, 윤휴

금기어가 된 조선 유학자, 윤휴

16,200 (10%)

'금기어가 된 조선 유학자, 윤휴'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사편수회 식민사관 비판 1

조선사편수회 식민사관 비판 1

17,100 (10%)

'조선사편수회 식민사관 비판 1' 상세페이지 이동

윤휴와 침묵의 제국 (큰글자도서)

윤휴와 침묵의 제국 (큰글자도서)

43,000

'윤휴와 침묵의 제국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병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병기
관심작가 알림신청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독립신문』의 사장 및 육군주만참의부 참의장을 지낸 독립운동가이자 『한국독립사』의 저자인 조부 김승학과 『한국민족총사고』의 저자인 부친 김계업에 이어 3대째 역사의 가학을 잇고 있는 지은이는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사의 정체성을 바로잡는 연구와 저술에 전념하며 왜곡되고 감춰진 우리 역사의 이면을 드러내는 시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켜왔으며, 식민사관과 사대사상을 넘어선 한국사 본류 찾기를 필생의 과업으로 삼고 있다. 현재 대한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위원장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전문위원으로 재직하며 활발한 저술과 강연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이한응의 외교활동과 국제정세」(2009), 「의열단원 우산 남정각의 독립운동」(2010), 「신흥무관학교와 만주독립군」(2011), 「단기연호와 대한민국임시정부」(2012) 등이, 대표 저서로 『가락국의 후예들』(역사의아침, 2008), 『국외 3.1운동』(공저, 독립기념관, 2009), 『김동삼』(역사공간, 2012), 『산성으로 보는 5000년 한국사』(공저, 예스위캔, 2012) 등이 있다.

김병기의 다른 상품

이병도·신석호는 해방 후 어떻게 한국사학계를 장악했는가

이병도·신석호는 해방 후 어떻게 한국사학계를 장악했는가

17,100 (10%)

'이병도·신석호는 해방 후 어떻게 한국사학계를 장악했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독립운동에 뛰어든 실천하는 유학자, 김창숙

독립운동에 뛰어든 실천하는 유학자, 김창숙

10,800 (10%)

'독립운동에 뛰어든 실천하는 유학자, 김창숙'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사

14,400 (10%)

'대한민국 임시정부사'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