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0명)

이전

저 : 원용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원용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 1세대 학자로 미디어와 한국 사회 안팎에 관한 주요 의제를 제기해왔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영상문화학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저서로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텔레비전 비평론』, 『광고 문화 비평』, 『한국 언론 민주화의 진단』, 공저로 『PD 저널리즘』, 『아메리카나이제이션』, 『The Korean Wave: Evolution, Fandom, and Transnationality』 등이 있다.

원용진의 다른 상품

메가플랫폼 네이버

메가플랫폼 네이버

22,000

'메가플랫폼 네이버' 상세페이지 이동

텔레비전 비평론

텔레비전 비평론

21,000

'텔레비전 비평론'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서드 라이프

19,800

'서드 라이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석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석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그르노블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 보르도 3대학 언론정보학과 부교수를 지낸 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미디어 정경의 변화와 세계 속 한류 소통의 구조를 아이돌, 젠더 등 다양한 키워드로 풀어냈다. 대표 저서로는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풀하우스, 강남스타일, 그리고 그 이후』, 『드라마의 모든 것』이 있으며, 「한류연구의 지식연결망 분석」, 「미디어 콘텐츠의 유통과 진화: 디지털 문화와 인터넷 시대의 픽션과 스토리텔링 전략」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홍석경의 다른 상품

디지털 시대 영상 문화와 윤리

디지털 시대 영상 문화와 윤리

24,000

'디지털 시대 영상 문화와 윤리' 상세페이지 이동

BTS 길 위에서

BTS 길 위에서

14,400 (10%)

'BTS 길 위에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정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정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과정을 마친 후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이후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객원교수와 공공행정학부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예리하고 날카로운 분석력을 기반으로 문화정책, 문화행정에 관한 다수의 글을 발표했다. 수준급 기타연주 실력을 보유해, 유튜브 채널도 운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행정론: 이론적 기반과 정책적 과 제』, 『21세기를 위한 문화와 문화정책』, 『스크린쿼터의 추억』, 『정책학 입문』 등이 있다.

김정수의 다른 상품

문화 행정론

문화 행정론

32,000

'문화 행정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류웅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류웅재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학회 기획이사, [한국방송학보] 편집위원,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이론]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저로 『소통하는 문화기획론』, 『작은 문화콘텐츠 만들기』 등이 있으며, 「신한류(新韓流)의 담론정치-주요일간지 한류 보도에 관한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연구의 정치경제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모색 : 한류의 혼종성 논의를 중심으로」 등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류웅재의 다른 상품

작은 문화콘텐츠 만들기

작은 문화콘텐츠 만들기

16,500

'작은 문화콘텐츠 만들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휘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휘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문화예술경영전공 객원교수.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예술경영·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내 영화 온라인 부가시장의 유통구조 합리화 방안」, 「한류지수의 개선과 정책 활용도 제고방안」, 「국제문화교류 진흥을 위한 한국문화원의 법적 위상 재정립 방안」, 「문화외교와 국제문화교류 부문 조율기능 확보의 쟁점과 과제」 등 문화산업, 문화외교, 문화교류와 관련한 여러 이슈를 조명해왔다. 2010년부터 국회입법조사처 문화정책 담당 입법조사관을 지냈으며, 킹스칼리지 런던 문화미디어창조산업과 객원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문화융합연구소 부소장을 거쳐 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문화예술경영 객원교수를 맡고 있다.

저 : 정정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정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문화기획평가연구소 소장. 이화여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국제정치학 석사를, 비교정치학 박사를 마쳤다.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문화예술연구실 실장을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대학원 겸임교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집행위원,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전문위원, 전주문화재단 대표이사로 활동하면서 중앙 및 국제교류 활성화에 힘써왔다. 「국제문화교류 진흥방안」, 「문화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개발 연구」, 「‘한류’에 있어서의 인문학의 활용방안」, 「한·중·일 문화교류 협력관계 비교분석과 전망」 등을 연구했으며, 2020년 3월부터는 한국문화기획평가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 : 김성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성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 뉴욕대학교에서 예술경영학과 석사를, 경희대학교에서 경영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아시아문화전당 극장 초대 예술감독, ‘페스티벌 봄’의 창설 및 예술감독을 지냈으며, 백남준아트센터 개막축제 ‘스테이션 2’ 예술감독, 국제현대무용제 ‘모다페’ 감독을 역임했다. 다원예술잡지 [옵:신]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다양한 동시대 예술의 형식과 관점을 국내에 소개하는 한편, 젊은 예술가들의 작품 제작과 국제활동 지원을 바탕으로 한국 동시대 예술을 위한 담론 생산에 기여해왔다.

저 : 최효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효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새공공영상문화유산 정책포럼 연구위원. 파리1대학 사학과와 프랑스 국립방송연구소(Institut National de l’Audiovisuel Sup) 영상유산 관리학과(Audiovisual Heritage Management)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영상문화의 아카이빙에 대한 국가별 사례와 다양한 이슈를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국내 공공영상아카이브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과제 : 프랑스 INA FRAME 영상아카이브 국제연수 참가를 통해 살펴본 해외 동향 분석」(단독), 「국내 '공공 방송·영상 아카이브'의 핵심자원 수집 범위에 관한 연구 : 방송법의 방송편성규제를 중심으로」(공저) 등이 있다.

저 : 현은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현은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시카고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조직이론 전략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히토츠바시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A Structural Approach to Freelance Careers in Cultural Industries」(단독), 「문화예술 분야의 보상형 크라우드펀딩 성공 결정요인: 소셜 커뮤니케이션 활동 효과를 중심으로」(공저) 등 의 연구를 통해 우리가 몸담고 있는 여러 형태의 크고 작은 조직이 어떤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지 탐구하는 데 정성을 쏟고 있다.

편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국가 간 문화교류를 통해 해당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2003년에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제문화교류 전담기관입니다.
해외 한류커뮤니티 지원, 민관 협력 해외사회공헌, K-컬쳐 페스티벌 등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 사업과 더불어 지역 우수 문화교류 콘텐츠 발굴 지원, 개도국 문화지원 역량 강화,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 양성, 주한외교단 문화교류 네트워킹, 수교계기 행사 등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통해 우수한 한국문화를 세계의 많은 이들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39개국 43개 지역의 해외통신원 운영으로 세계 속 한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한편, 국내외 현장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일도 빼놓지 않습니다. 『한류백서』, 『해외한류실태조사』, 『한류의 경제적 효과 연구』, 『글로벌 한류 트렌드』, 『한류NOW』 등 연간·분기·격월간 조사연구 간행물 발간으로 꾸준하고도 폭넓게 글로벌 문화 흐름을 진단합니다. 도서의 깊이에 사안의 시의성을 더한 『한류에서 교류로』(정책서), 『한류, 다음』(권역특서), 『모음』(월간 해외문화정책 동향)은 한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한류를 지지하는 또 하나의 방법입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다른 상품

한류, 다음 : 영어권 편

한류, 다음 : 영어권 편

15,000

'한류, 다음 : 영어권 편' 상세페이지 이동

2021 한류백서

2021 한류백서

19,000

'2021 한류백서' 상세페이지 이동

2020 한류백서

2020 한류백서

19,000

'2020 한류백서' 상세페이지 이동

2019 한류, 다음

2019 한류, 다음

15,000

'2019 한류, 다음' 상세페이지 이동

한류백서 2019

한류백서 2019

19,000

'한류백서 2019' 상세페이지 이동

한류백서 2018

한류백서 2018

19,000

'한류백서 2018' 상세페이지 이동

한류 리소스북 2018

한류 리소스북 2018

17,000

'한류 리소스북 2018'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