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1명)

이전

저 : 이희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희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아이오와 대학University of Iow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와 정체성의 문제, 테크놀로지와 일상의 삶과 윤리적 가치의 문제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한다. 저서로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공저), 『Medi@sia: Global Mediation in and out of Context』(공저),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은유들』(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테크놀로지의 몸』, 『인간의 인간적 활용』(공역), 『자연과 미디어』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서술」,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젠더화된 목소리」,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이희은의 다른 상품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10,500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 상세페이지 이동

젠더와 미디어 경험

젠더와 미디어 경험

14,000

'젠더와 미디어 경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예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예란
관심작가 알림신청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진행되는 커뮤니케이션 문화와 사회 현상에 대해, 특히 주체의 윤리학과 감수성의 사회적 실천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친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와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칼리지에서 수학했다. 책으로는 《마음의 말》, 《말의 표정들》, 《미디어와 공동체》(공저), Routledge Handbook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in Asia(공저) 등이 있으며 다양한 지면을 통해 여러 편의 글을 발표했다.

김예란의 다른 상품

저널리즘 모포시스

저널리즘 모포시스

11,000

'저널리즘 모포시스' 상세페이지 이동

인터넷, 신화를 넘어 공공성으로

인터넷, 신화를 넘어 공공성으로

16,800

'인터넷, 신화를 넘어 공공성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애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애라
관심작가 알림신청
어른이 되고 나서도 늘 십대들의 성장소설이나 성장 드라마에 끌렸고, 대학원에 들어가면서부터는 본격적으로 십대들과 놀고, 시간을 보내고, 또 이들을 연구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십대 여성의 디지털 노동과 ‘소녀성 산업’에 관한 연구》로 여성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변화에 따른 여성의 일과 문화, 정치 참여 그리고 성별 관계에 관한 젠더 분석이 주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청소년과 청년 세대의 디지털 문화, 디지털 성폭력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함께 지은 책으로 《원본 없는 판타지》,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소녀, 설치고 말하고 생각하라』(공저),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해』(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탈코르셋’, 겟레디위드미: 디지털경제의 대중화된 페미니즘〉, 〈기술매개 성폭력의 ‘실질적’ 피해와 그 의미〉 등이 있다.

김애라의 다른 상품

디지털 심미안

디지털 심미안

13,300

'디지털 심미안' 상세페이지 이동

원본 없는 판타지

원본 없는 판타지

17,500

'원본 없는 판타지' 상세페이지 이동

페미니즘 교실

페미니즘 교실

8,400

'페미니즘 교실' 상세페이지 이동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9,800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상세페이지 이동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해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해

8,050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종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종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강사로 젠더, 청년 세대, 아이돌 문화와 문화산업, 미디어 테크놀로지 영향력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신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어바나?샴페인 캠퍼스) 동아시아연구소에서 방문학자를 지냈다. 책으로는 『아이돌 연습생의 땀과 눈물』, 『문화산업의 노동구조와 아이돌』,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공저), 『디지털 페미니즘』(공저), 『서드라이프』(공저) 등이 있다.

이종임의 다른 상품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20,000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AI와 더불어 살기

20,640

'AI와 더불어 살기'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서드 라이프

15,840

'서드 라이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백지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지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 박사과정이다.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공저, 2018)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방송 뉴스가 재현하는 성범죄 피해 여성 이미지에 대한 키프레임 분석: 가상물, 자료화면을 통한 피해자다움의 재생산과 익명-실명 보도의 차이를 중심으로”(2021),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의 의제화와 조직화 과정을 중심으로”(2018) 등이 있다

백지연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22,4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혜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혜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문화예술미디어융합원 선임연구원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연구이사를 맡고 있다. 저서로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공저, 2018)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미디어 융·복합 환경에서의 영상 제작 교육 전략 수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2019),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의 의제화와 조직화 과정을 중심으로”(공저, 2018) 등이 있다.

강혜원의 다른 상품

AI와 더불어 살기

AI와 더불어 살기

20,640

'AI와 더불어 살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보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보라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을 졸업하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동노동, 인정체계, 연대 네트워크, 지식생산 등 온라인 공간에서 발견되는 현상의 문화적 의미를 길어 올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건강과 먹거리를 둘러싼 미디어 지식의 문제(「건강 먹거리 담론의 수용에 관한 연구」), 팬 문화 내부의 역학과 사회적 의미(「20대 여성 팬덤의 감정 구조와 문화 실천」), 소셜미디어상의 이미지가 생산되는 맥락(「SNS상의 이미지 생산과 의미에 관한 연구」) 등에 대한 논문을 썼다. 함께 쓴 책으로는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2018), 『The Korean Wave: Evolution, Fandom, and Transnationality』(2017)가 있다.

강보라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22,4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AI와 더불어 살기

20,640

'AI와 더불어 살기' 상세페이지 이동

나만 잘되게 해주세요

나만 잘되게 해주세요

9,800

'나만 잘되게 해주세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희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희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로 문화 연구, 미디어와 젠더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TBS 교통방송 PD를 거쳐 국가인권위원회 공보담당관실에서 일했다. 책으로는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공저),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디지털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TV 광고의 어린이?청소년 재현 문제와 대안적 사유”(2021),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과 문화콘텐츠의 여성주의적 비평의 토대”(2022) 등이 있다.

한희정의 다른 상품

미디어 문해력의 힘

미디어 문해력의 힘

18,000

'미디어 문해력의 힘'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22,4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20,000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