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이시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시백
관심작가 알림신청
70~80년대가, 오늘날 정겨운 이야기로 둔갑하지만 사실 그 속은 슬픔과 억울함이 넘쳐흐르는 시대라는 것을 저자는 인식한다. 이를 역사소설의 형식 대신 날카로운 풍자와 해학으로 그려내는게 특징적이다.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나 중앙대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1988년 『동양문학』 소설 부문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현재 경기도 수동면 광대울 산중에서 주경야독하고 있다. 그동안 펴낸 작품으로 장편소설 『나는 꽃도둑이다』(2013), 『종을 훔치다』(2010) , 소설집 『갈보 콩』(2010) 과 자유 단편소설집 『890만 번 주사위 던지기』(2006), 연작소설집 『누가 말을 죽였을까』(2008) 『벌레들』(공저),『응달 너구리』 장편소설 '사자클럽 잔혹사'(2013), 산문집 '당신에게, 몽골'(2014) 이 있다. 제1회 권정생 창작기금과 2012 아르코 창작기금을 받은 바 있으며 거창평화인권문학상(2014), 11회 채만식 문학상(2014)을 수상했다.

이야기를 듣기 좋아하는 증조부와, 이야기하기를 즐거워하는 부친의 역사적 사명을 이어받아 어쩔 수 없이 이야기 보따리를 메고 떠돌아다니는 이야기 보부상. 공식적으로는 소설가이나 정신적으로는 유목민을 자처하는 이시백은 스스로 말하기를, 한번 걸리면 평생 몽골의 초원과 황막을 헤매게 되는 치유불가한 ‘몽골 바이러스’의 숙주라 밝히고 있다. 요즘은 역병으로 발이 묶여, 초원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그리움을 유튜브 채널 [몽골가는길]로 풀고 있다.

이시백의 다른 상품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 꿈결에도 스미는 그리운 이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 꿈결에도 스미는 그리운 이름

16,200 (10%)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 꿈결에도 스미는 그리운 이름' 상세페이지 이동

아프리카 버스

아프리카 버스

13,300 (5%)

'아프리카 버스' 상세페이지 이동

용은 없다

용은 없다

12,600 (10%)

'용은 없다' 상세페이지 이동

유목의 전설

유목의 전설

18,000 (10%)

'유목의 전설'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 기침 소리

코로나19 기침 소리

10,800 (10%)

'코로나19 기침 소리' 상세페이지 이동

이해 없이 당분간

이해 없이 당분간

10,800 (10%)

'이해 없이 당분간' 상세페이지 이동

응달 너구리

응달 너구리

11,700 (10%)

'응달 너구리' 상세페이지 이동

당신에게, 몽골

당신에게, 몽골

12,600 (10%)

'당신에게, 몽골'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진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진택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했다.
민예총 부회장.
1985년 극단 `연희광대패` 설립
1995년 극단 `길라잡이` 상임연출 겸 예술감독
2006년 3월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부회장
한국 마당극의 창시자. 서울대 외교학과 재학 시절 김지하 시인의 영향으로 탈춤과 연극을 통해 문화운동을 펼쳤고, 동양방송(TBC) PD 시절에는 정권진 선생으로부터 `심청가`를 사사받으며 판소리를 익혔다. 1985년 마당극 전문극단 연희광대패를 창립한 후 꾸준히 민족예술운동을 꾸려왔다. 1980년 이장호 감독의 `바람불어 좋은 날`에서 상여객으로 얼굴을 내밀었다. 이후 그는 이 감독의 `낮은데로 임하소서`와 `과부춤`의 각색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방송국 프로듀서로 재직하였으나, 1981년 TBC가 KBS로 통폐합되어 강제 해직된 후, 문화운동가이자 명창으로 활동 중이다. 전통연희에 바탕을 둔 민중연극인 ‘마당극운동’을 전개함으로써 ‘문화운동’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출했으며, 시대와 역사를 담아내는 새로운 ‘창작판소리’를 실현했다. 민족예술과 민중예술의 지평을 확장함과 동시에 민주화운동에 기여했으며, 새로운 창작판소리 열두 바탕을 만드는 작업을 시작하여 <백범 김구> <남한산성> <다산 정약용> <윤상원가> <세계인 장보고> <전태일> 등의 판소리 사설을 창작해 공연했다.

[필모그래피]

천년학(2007)|주연배우

임진택의 다른 상품

애국가 논쟁의 기록과 진실

애국가 논쟁의 기록과 진실

15,000

'애국가 논쟁의 기록과 진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