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3명)

이전

저 : 위성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위성락
관심작가 알림신청
魏聖洛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외교부에 들어갔다. 36년간 외교관으로 근무하는 동안, 주로 미국과 북핵 관련 업무에 종사하였다. 북미 국장 겸 6자회담 차석 대표, 주미 대사관 정무공사, 한반도 평화 교섭 본부장 겸 6자회담 수석 대표를 역임하였다. 한반도 평화 교섭 본부장으로 있던 시기에 두 차례에 걸쳐 남북 비핵화 회담을 이끌어, 2012년 미국과 북한 간 윤일 합의(2·29 합의)에 기여하였다. 젊은 시절에는 북핵, 4강 외교 주무로서 소련과의 수교 업무를 맡았다. 그가 제안하고 교섭한 한·소 영사처 설치 방안은 한·소 수교를 앞당기는 데 기여하였다. 그는 북핵, 4강외교 업무와 우수 보고서 작성으로 각각 대통령상과 외무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는 주러시아 대사를 끝으로 퇴직하였다. 서울대 외교학과에서 강의하였고 외교 안보 문제에 관해 언론에 기고 활동을 하고 있다.

위성락의 다른 상품

한국의 선택

한국의 선택

23,000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외교 업그레이드 제언

한국 외교 업그레이드 제언

17,100 (10%)

'한국 외교 업그레이드 제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동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동복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토통일원 남북대화사무국 국장(1980~1982)
삼성항공산업 대표이사 부사장(1987~1988)
국회의장 김재순 비서실 실장(1988~1990)
국가안전기획부 제1특별보좌관(1991~1993)
제15대 자유민주연합 국회의원(1996~2000)

이동복의 다른 상품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34,000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병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병효
관심작가 알림신청
Byung-hyo Choi,崔秉孝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72년 외무고시에 합격하였다. 군 복무 후 1974년 1월 외무부에서 근무를 시작하였다. 1976-77년에는 영국문화원 장학금으로 Oxford University(Merton College)에서 외교관 과정(Foreign Service Programme)을 수료하였다. 36년간 외교부에 근무 후 2009년 12월 말 정년퇴임할 때까지 포르투갈, 네팔, 영국, 폴란드, 뉴질랜드, 태국(공사 겸 “국제연합 아·태경제사회이사회” 한국 상임대표)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근무하였다. 국무총리실과 인천광역시(국제관계 자문대사)에서도 근무하였으며 외교부에서 동구과장, 안보정책심의관, 감사관 등을 역임하였다. 2002-2005년 駐노르웨이대사 겸 아이슬란드대사, 2006-2008년 駐로스앤젤레스 총영사를 역임하였다. 노르웨이 수교훈장 대십자장과 대한민국 홍조근정훈장을 수령하였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고, 은퇴 후에는 우석대학교, 순천향대학교(아세아학부), 한양대학교(국제학부) 등에서 국제정치, 외교 관련 과목을 10년간 강의하였다. 저서로는 “외교문서작성법(Diplomatic Correspondence)”(영문, 국립외교원)이 있다.

최병효의 다른 상품

그들은 왜 순국해야 했는가

그들은 왜 순국해야 했는가

22,800 (5%)

'그들은 왜 순국해야 했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편 :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외교사연구센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외교사연구센터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는 2011년 외교사연구센터를 설립하여 한국외교사의 체계적 연구를 진행 중이며, 과거 우리 외교사에 대한 고찰이 미래 한국외교의 방향설정에 중요한 지적 토대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전개 중다. 외교사연구센터는 공식외교문서의 연구와 병행하여 외교문서에 상세히 기록되지 못한 외교 현장의 생생한 설명과 분석을 외교 현장을 누빈 외교관의 구술기록 형식으로 정리한 ‘한국외교 구술기록총서’ 발간을 진행 중에 있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외교사연구센터의 다른 상품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34,000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상세페이지 이동

남북한 UN 동시가입

남북한 UN 동시가입

35,000

'남북한 UN 동시가입'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