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약한 나는 잊어. 완벽한 내가 될 거야.” 당신의 성격을 ‘완벽하게’ 바꿔 드립니다! 정체성을 뒤흔드는 질문, 놀라운 SF 동화의 등장 ★웅진주니어 문학상 장편 부문 우수상 수상작★ 제12회 웅진주니어 문학상 장편 부문 우수상 수상작 『모두가 원하는 아이』가 출간되었다. 과거의 아픈 기억으로 말문을 닫은 열두 살 주인공이 어린이를 세상의 기준에 딱 맞는 ‘완벽한’ 아이로 만들어 준다는 새미래 정신성형 연구소에 보내져 자신이 진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는 이야기다. 개인의 욕구와 목적에 맞추어 성격을 구입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설정과 정체성에 대한 묵직한 주제 의식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어린이 독자들에게 ‘나는 누구인가?’라는 철학적인 질문을 던진다. 일러스트레이터 하루치는 감각적인 장면 구성으로 가까운 미래 사회의 모습을 아름답게 구현했다. |
1. B5호 발표 날 2. 우리는 친구일까 3. 쇼룸의 메리 재인 4. 중앙 센터의 뒤뜰 5. 빨간 지붕 탑에서 6. 구름다리를 건너며 7. 눈부신 중앙 센터 8. 회색 방에서 생긴 일 9. 한밤중에 만난 사람 10. 두 갈래 길 11. 모두가 원하는 선택 12. 구름 모양 젤리 13. 맞춤 버튼 설계실에서 14. 기억의 조각들 15. 목소리를 내야 하는 순간 16. 우리가 함께라면 17. 달리는 이 순간 작가의 말 |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약간 반성도 하게 만든 책이다.
아이는 물론 재미있게 읽은 것 같다. SF적인 상상력이 아이 머릿속에 흥미롭게 들어간 것 같다.
나는 아이를 읽힌 후 읽었는데, 내가 아이에게 어떤 걸 바라고 있나, 어떤 걸 강요하고 있나, 아이가 바라는 건 뭔가, 그건 과연 순수하하게 아이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나, 물론 환경의 영향도 없지 않겠고, 그렇지만 어른의 개입은 아이를 지켜주는 데까지만, 나머지는 아이의 선택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등등의 생각을 하게 됐다.
조금 전개가 급하게 이루어진 것 같은 감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재미있었다.
요즘 MBTI 성격유형 검사가 유행이다. 어떤 성격이 좋고 싫은 게 아니라
성격을 알고 성격에 맞는 학습 활동을 제시하자는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은 참으로 다행이다.
방학이나 연휴가 되면 성형외과에 쌍거플수술부터 전신성형까지 외모 성형 수술예약이 꽉 찬다고 한다.
이제 이 책에서는 정신까지 어른 취향대로 때로는 또래가 부러워서 수술을 하려고 한다.
<모두가 원하는 아이>
한 때 엄친아, 엄친딸이 유행어였다.
엄마 친구 아들, 딸은 전교1등에 전교학생회장이고, 외국어고등학교에 가고, 연예인이고, 국가대표이고, ...
하지만 모두 똑같다면 얼마나 이 세상은 각박할까?
나는 엄마 아빠가 이렇게 말해 주길 바랐다.
우리 재희가 정신성형 받는 걸 원하지 않아요.
우리 재희는 지금 이대로 충분해요.
- 82쪽 -
나를 위한다는 말 안 믿어.
전부 어른들을 위한 거잖아.
- 98쪽 -
ㅁ선택 정신성형 진행 절차 및 수술 결과에 대해 연구소에 책임을 묻지 않는다. (84쪽)
나쁜 기억은 다 잊는 게 좋을까?
그림책 <진짜 내 소원>
동화책 <페인트>, <걱정 세탁소> 등을 연관해서 함께 읽어도 좋을 것 같다.
서로 달라서 아름다운 세상
있는 그대로의 나를 존중받고 존중하는 세상이 되는 데
이 책이 한 걸음 나아가게 할 것 같다.
우리는 늘 새해소망과 다짐으로 변화된 나를 꿈꾼다.
어찌보면 그 이면에는 나에 대한 불만과 더 나아질 나에 대한 기대가 공존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러한 것들이 기술로, 돈으로 해결될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과연 나아질까? 책 속에 나오는 새미래 정신성형연구소에서 말하는 것처럼 새미래가 되는 것일까?
아이들에게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늘 강조하여 말하는 어른의 모습에서 혹시 아이들의 지금 모습을 부정하고 어른이 원하는, 사회가 원하는 특정한 모습이 되어야 한다고 강요하던 것은 아닐까?
여러가지 의문을 남긴 채 강렬한 핑크색 표지의 책은
나는 지금 최선을 다해 뜨거워지기로 한다.
라는 강렬한 문장을 남긴채 결말을 맺는다.
아이들에게 일어난 일은 어떻게 마무리될지 아직 알 수 없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는 우리를 변화시킬 힘을 우리 내면에 갖고 있으며, 그것은 그 어떤 외부요소로도 강제될 수도, 강제되어서도 안된다는 점이다.
오늘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돌아오면 이유없이 꼭 안아줘야겠다.
나는 있는 그대로의 너를 응원한다고.
<웅진주니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