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7월 08일 |
---|---|
쪽수, 무게, 크기 | 639쪽 | 220*285mm |
ISBN13 | 9788963032702 |
ISBN10 | 8963032701 |
출간일 | 2021년 07월 08일 |
---|---|
쪽수, 무게, 크기 | 639쪽 | 220*285mm |
ISBN13 | 9788963032702 |
ISBN10 | 8963032701 |
전통미술과 근현대미술 연구자 44명이 참여, 한국미를 대표하는 문화재 10점을 중심으로 공동의 연구주제로 풀어낸 『DNA: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은 동명의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전시 도록으로 발행되었다. 전시는 성스럽고 숭고하다 聖, 맑고 바르며 우아하다 雅, 대중적이고 통속적이다 俗, 조화로움으로 통일에 이르다 和 를 중심으로 기획되어 본 도록도 각 범주의 특색에 따라 구성되었다. 미술사학자, 문화재 전문가의 논고와 칼럼 등과 전시에 출품된 작품 도판 등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살아있는 국보와 보물과 함께 역동적으로 소개되는 한국 근현대 미술을 감상하며 지난 과거의 미감과 현대 작업에서 발견되는 전통과 현대의 미학을 찾아보고 연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시공간 등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한 논고는 ‘한국미의 원형’과 만나는 길잡이로서 좋은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 |
008 발간사 / 윤범모 |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010기획의 글 / 배원정 |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논고 026 한국 근현대미술에서 ‘전통’ 홍선표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명예교수, 한국미술연구소 소장 034근대 한국미론의 씨줄과 날줄 최공호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 아카이브1 040 1910-1920년대 고서화 보존과 계승의 주역들 최경현 |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Ⅰ. 聖 Sacred and Ideal 050 논고 20세기 전반 한국미술의 전통 인식과 전승문제 정형민 | 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고구려 고분벽화 086 염원의 미술, 고구려 고분벽화와 사신도 김진순 |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090 20세기 한국미술에 호명된 고구려 고분벽화 송희경 |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초빙교수 통일신라 석굴암 132 등석굴기(登石窟記), 석굴암에 이르는 길 한재원 |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136 근대적 석굴암 인식의 형성 과정 주수완 | 우석대학교 유통통상학부 교수 142 칼럼 사진가의 시선에 담긴 석굴암 김계원 | 성균관대학교 미술학과 교수 고려청자 176 ‘전통’의 상징, 고려청자 다시 보기 장남원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장 180 청자, 새로운 계승의 항해를 위하여 엄승희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연구교수 깊이읽기 200 논고 한국 근현대 미술품 수장가들과 전통 인식의 확산 김상엽 | 국외소재문화재단 미국사무소장 206 칼럼 조선미전이 ‘만들어 낸’ 전통의 가치 안현정 | 성균관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 212칼럼 시대의 형(形)과 정신 기록하는 박물관 목수현 | 미술사학자 Ⅱ. 雅 Elegant and Simple 218 논고 한국적 정체성 확립의 준거틀로서의 전통: 1950~1960년대 한국미술가들을 중심으로 김이순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교수 겸재 정선과 진경산수화 250 겸재 정선의 금강산도가 지닌 역사적 의미 고연희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 254 동시대의 겸재, 진경산수, 그리고 금강산 송희경 |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초빙교수 260 칼럼 전통에 대한 새로운 접근, 수묵화 운동 김경연 | 이응노미술관 책임연구원 추사 김정희와 문인화 286 조선 후기 문인화와 김정희의 시선 김현권 |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292 전위미술론을 대표하는 ‘문장’ 문인들의 전통관 박계리 | 국립통일교육원 교수 296 칼럼 20세기 후반 수묵채색화의 문인화 지향 장준구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학예실장 조선백자와 달항아리 334 조선 후기 백자문화의 특징, 대형 백자원호 박정민 |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조교수 338 달항아리에 담긴 ‘전통’과 ‘해석’의 미학 배원정 |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깊이읽기 344 논고 미술을 통해 추구된 전통과 정체성 찾기 김현권 |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356 칼럼 소색으로 직조된 근대의 백색담론 최공호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 360 칼럼 단색화의 전통 인식과 실제 정무정 | 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아카이브2 366 전통으로 민족적 자존감 구성하기: 『개벽』의 정치에서 『문장』의 미학으로 서유리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책임연구원 Ⅲ. 俗 Decorative and Worldly 374 논고 전통과 그 시대적 공감: 1970년대와 1980년대의 한국미술 김영나 |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단원 김홍도와 풍속화 394 김홍도 풍속화: 신화 탄생의 궤적을 따라 김소연 |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398 김홍도를 찾아서: 현대 풍속화에 대한 단상 조인수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 402 칼럼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제작 경위 박혜성 |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혜원 신윤복과 미인도 416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 김지혜 | 건국대학교 강사 422 현대의 미인도, 그 가능성에 대해서 조인수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 불화 454 불화, 채색으로 풀어낸 경전 김정희 | 원광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458 근현대기 불화의 파격을 이끈 화승들 최엽 | 동국대학교 강사 민화 474 민화의 전통과 조형 세계 윤진영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 478 생명력 있는 전통 언어, 민화 조은정 |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초빙교수 깊이읽기 522 논고 민속≒전통’ 문화의 정치성 남근우 |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 528 칼럼 민중의 삶에서 정신의 가치를 찾은 민중미술 김현화 | 숙명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532 칼럼 전통에 색 입힌 근현대 채색화 부흥 강민기 |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외래교수 538 칼럼 전통 가구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시도 김미라 |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아카이브3 542 신문·잡지를 통해 본 광복 이후의 전통미술 인식 이광표 | 서원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Ⅳ. 和 Dynamic and Hybrid 558 논고 1990년대 이후 전통에 대한 인식 정현 | 인하대학교 조형미술학과 교수 587 비평 천상에 오르려는 욕망의 상징, 「서봉총 금관」 이송란 | 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594 비평 승천을 염원하는 금령총 「기마인물형 토기」 박천수 |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 경북대학교박물관 관장 깊이읽기 612 칼럼 변화하는 전통, 새로운 전통 노유니아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 616 칼럼 한국적 건축 양식의 오늘을 묻다 한동수 |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619 부록 전통건축 이미지가 활용된 사례 한양대학교 동아시아건축역사 연구실 제공 636 논고 한국 미론의 실체와 향후 전개를 위한 제언 민주식 | 중국 루쉰미술대학 특별초빙교수, 전 영남대학교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