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08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460쪽 | 818g | 150*220*30mm |
ISBN13 | 9791155401903 |
ISBN10 | 1155401905 |
발행일 | 2021년 08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460쪽 | 818g | 150*220*30mm |
ISBN13 | 9791155401903 |
ISBN10 | 1155401905 |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4 [2018]
14,250원 (5%)
감사의 말 들어가는 글: 삶이라는 질문은 정답이 아닌 표현을 기다린다 1장. 생각할 수 있는 세계 중 최악의 세계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1788~1860 삶의 참을 수 없는 비참함 | 끔찍한 소음이 들리는 철학 | 세계의 진정한 본성과 우리 존재의 핵심 | 고통과 죽음 속에서 신뢰할 만한 위안 | 죽어도 죽지 않는다고 확신하는 이유 | 의지를 부정함으로써 존재하지 않는 법 | 최악인 동시에 최선인 세계 2장. 나로 존재하지 못한다는 절망 쇠렌 키르케고르 1813~1855 ‘기독자’가 된다는 것 | 심미적 생활양식, 삶을 즐긴다는 것 | 윤리적 생활양식, 삶을 선택한다는 것 | 종교적 생활양식, 부조리에 대한 믿음 | 절망, 죽음에 이르는 병 | 침묵함으로써 ‘자기 자신’이 되는 법 3장. 서로 복잡하게 뒤엉킨 신의 공포와 경이 허먼 멜빌 1819~1891 삶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환영 | 설선 위에는 심장이 없다 | 해수면 아래 헐떡이는 호랑이의 심장 | 방울뱀의 치명적 아름다움 | 진정한 불의 자식처럼 | 합리적으로 광대 노릇하기 4장. 더 이상 사랑할 수 없다면 그곳은 지옥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1821~1881 무엇도 중요하지 않다 | 인간은 이를 죽일 수 있는가? | 2 곱하기 2는 5 | 우리가 이웃을 사랑할 가능성 | 바보 성자가 발견한 아름다운 것들 | 영원은 구석구석 거미가 득실거리는 곳 5장. 피할 수 없는 모든 것의 끝 레프 톨스토이 1828~1910 어떻게 살 것인가? | 우리를 갈기갈기 찢어버리기만을 기다리는 죽음이라는 용 | 탈출구는 어디에 있는가? | 믿음, 내면의 판사가 하는 말을 듣는 능력 | 부서지기 쉬운 삶의 의미 | 두 종류의 사랑 6장. 위험한 삶이 가져다주는 즐거움 프리드리히 니체 1844~1900 “신은 죽었다” | 말인의 행복에는 딱히 가치가 없다 | 선악을 넘어선 탁월한 파괴자 | 연민이라는 마지막 질병 | 성스럽고도 건전한 이기심 | 모든 좋은 것은 웃고 있으니, 무거움의 영을 피하라 | 무슨 일이 일어나든 지금의 삶을 사랑하라 7장. 구체적인 세계의 극적 풍성함 윌리엄 제임스 1842~1910 ‘의미 있음’의 실질적인 현금 가치 | 울타리 밑에 숨겨둔 뼈다귀가 가져다주는 황홀감 | 건강한 정신과 병든 영혼 | 자정의 고뇌에서 대낮의 믿음으로 | 신앙을 가질 권리 | 위험 없는 세계의 끔찍함 8장. 진정 삶을 살았다고 할 만한 유일한 삶 마르셀 프루스트 1871~1922 죽음을 극복하는 예술의 위력 | 사랑이라는 끔찍한 속임수 | 욕망이 불러일으키는 역설 | 끊임없이 죽어가는 자아 | 같은 강물에 발 두 번 담그기 | 보이지 않는 것을 탐구하는 사람들 | 시간 너머로 존재하는 법 9장. 언어의 경계를 넘어서려는 가망 없는 투쟁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1889~1951 별이 되고 싶었지만 지상을 벗어나지 못한 | 철학의 본질과 용도 | 삶이라는 수수께끼와 수수께끼의 소멸 | 이방인 같은 삶 |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과정으로서의 윤리학 | 언어의 의미는 살아가는 방식 속에 있다 | 의심할 수 없는 것들 10장. 세계의 부드러운 무심함 알베르 카뮈 1913~1960 원하는 것과 얻는 것 사이의 괴리 | 자유가 부여한 나쁜 소식과 좋은 소식 | “그래서 어떡하란 말인가?” | 의미 없는 세상에서 의미 창조하기 | 부조리는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견디는 것 | 삶이라는 한계 안에서 반항하라 나오는 글: 요약할 수 없는 음악 작품 주석 |
삶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일종의 지침서 같은 느낌이 든다.
10명의 사상가들의 삶에 대한 의미를
알기 쉽게 풀어주는 해설서 같기도 하고
때론 내용이 어렵기도 해서
몇번이고 다시 곱씹어 보면서
내가 살아가고 있는 삶에 대입도 해보면서
잘못된 점이 있으면 고쳐 나가게 되는 점은
책을 통해서 가장 크게 얻은 점이 아닐까 싶다.
방대한 내용으로 인해 자칫 지루해 질 수 있으나
챕터별로 다른 느낌도 있어서
읽어나가는데 큰 무리가 없다.
큰 깨달음을 얻어간다기 보다는
삶과 죽음에 대해 기존의 생각과는
약간 다르게 받아 들일수 있겠단 방향제시 정도면
충분하단 생각이다.
미하엘 하우스켈러 의 왜 살아야 하는가를 읽고 리뷰 씁니다.
산 기억이 안 나는데 선물로 준 듯해요..
집에 있어서 읽긴 했는데 난해하네요.
삶이 힘들고 지칠 때 위로와 힘을 주는 글을 많이 읽어 그런 내용인가 했는데.. 이 책은 다릅니다.
삶의 가치와 삶을 좀 더 관조적으로 보고 철학적으로 해석합니다.
삶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내애 하는 것이네요.
많은 생각을 하며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