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7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596쪽 | 152*225*35mm |
ISBN13 | 9791165529659 |
ISBN10 | 1165529653 |
출간일 | 2021년 07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596쪽 | 152*225*35mm |
ISBN13 | 9791165529659 |
ISBN10 | 1165529653 |
중국 역사에는 갖가지 통치이념과 덕(德), 의(義), 충(忠)의 인생철학이 흐르고 있다. 천 개에 육박하는 제후국들과 수천 명의 인물들이 명멸한 대하역사를 지닌 광대한 중국. 우리들은 중국에 대해 진정으로 알고 있다 말할 수 있는가? 인문학의 보고, 중국 역사를 새롭게 재구성한 저자 양승국의 『열국영웅전』을 이 책을 통해 만나 보기 바란다. |
제9장 유랑공자流浪公子 1. 곡옥찬진(曲沃簒晉) - 분국 곡옥(曲沃)이 본국 당진(唐晉)의 국권을 찬탈하다 - 2. 위복립비(違蔔立妃) - 점괘를 무시하고 여희를 정비로 세운 진헌공(晉獻公) - 3. 소리장도(笑裏藏刀) - 웃음 속에 칼을 감추다 - 4. 일국삼공(一國三公) 오수적종(吾誰適從) - 한 나라에 군주가 셋이니 나는 누구를 따라야 하는가! - 5. 여희야곡(驪姬夜哭) - 잠자리에서의 눈물로 부자지간을 이간시키는 여희 - 6. 완고지가(?枯之歌) - 완고의 노래를 듣고 태자를 버리는 이극 - 7. 밀봉계(蜜蜂計) - 꿀과 벌로 신생을 함정에 빠뜨리는 여희 - 8. 조중방독(?中放毒) - 제사고기에 독을 풀어 신생을 모함하다 - 9. 신생자살(申生自殺) - 여희의 모함에 빠져 죽음을 택하는 신생 - 10. 중이분적(重耳奔翟) - 적(翟) 땅으로 망명하는 공자 중이 - 11. 탁고순식(託孤荀息) - 어린 세자의 후사를 순식에게 맡기는 진헌공 - 12. 양시고주(兩弑孤主) - 당진의 어린 두 군주를 시해하는 이극 - 13. 이오쟁위(夷吾爭位) - 뇌물을 바쳐 당진의 군주 자리를 다툰 이오 - 14. 망은부의(忘恩負義) - 은혜를 잊고 신의를 버린 진혜공 - 15. 욕가지죄(欲加之罪) 하환무사(何患無辭) - 죄를 주려고 하는데 구실이 없겠는가? - 16. 구시혜공(仇視惠公) 환현신생(幻見申生) - 혜공을 원수로 여기던 호돌이 신생의 환영을 보다 - 17. 여극간모(呂?奸謀) - 여이생과 극예의 간사한 음모로 함정에 빠지는 당진의 대부들 - 18. 일망타진(一網打盡) - 반대파를 일망타진하는 혜공 - 19. 부항부비(不亢不卑) - 격하지도 비굴하지도 않은 태도로 진목공을 설복하여 자신의 군주를 석방시킨 여성 - 20. 천노무고(遷怒無辜) 천살경정(擅殺慶鄭) - 패전의 분풀이로 애꿎은 경정을 죽이다 - 21. 타피추살(?避追殺) 중이유망(重耳流亡) - 자신을 살해하려는 발제(勃?)를 피해 열국 사이를 유랑하는 중이 - 22. 할고담군(割股啖君) - 허벅지의 살로 국을 끓여 주군의 허기를 채운 개자추 - 23. 중이망제(重耳亡齊) - 제나라로 들어가 망명생활하는 중이 일행 - 24. 승취견부(乘醉遣夫) - 부군에게 술을 먹여 세상으로 내보낸 제강 - 25. 봉상만인(鳳翔萬?) - 우리에서 빠져나온 봉황이 하늘 높이 비상하다 - 26. 중동변협(重瞳騈脇) - 겹눈동자와 통갈비의 체형 - 27. 희부기처식인(僖負羈妻識人) - 영걸을 알아보고 후일을 대비한 희부기의 현처 - 28. 송양증마(宋襄贈馬) - 중이 일행을 후대하고 말을 선물하는 송양공 - 29. 예금미연지전(禮禁未然之前) - 예란 화란을 미연에 방지하는 행위다 - 30. 초왕향지(楚王饗之) - 초성왕이 공자중이 일행을 위해 연회를 열어 후대하다 - 31. 보은삼사(報恩三舍) - 장차 초군과 만나 싸움을 하게 되면 삼사의 거리를 후퇴하여 대왕의 은혜를 갚겠습니다 - 32. 중이입진(重耳入秦) - 진목공의 부름에 응하여 섬진국에 들어간 중이 - 33. 회영중혼(懷?重婚) - 섬진의 공자들과 두 번 혼인하는 진목공의 딸 회영(懷?) - 34. 호돌피살(狐突被殺) - 진회공에게 살해되는 호돌 - 35. 철수개화(鐵樹開花) - 때가 되면 쇠막대기에도 꽃이 피는 법이다 - 36. 위양지정(渭陽之情) - 섬진의 세자 앵(?)이 환국하는 외숙과 위양의 노래를 부르다 - 37. 투벽맹하(投璧盟河) - 벽옥을 물속에 던져 노신들과 영화를 같이 누리겠다고 하수의 신에게 맹세하는 진문공 - 38. 여극투항(呂?投降) - 공자 중이에게 휘하의 군사를 들어 투항하는 여성과 극예 - 제10장 진문칭패晉文稱覇 I - 유랑공자가 패자의 자리에 올라 천하를 호령하다 - 1. 친수면화(親讐免禍) - 시인 발제를 용서하여 목숨을 구한 진문공 - 2. 야분공궁(夜焚公宮{) - 진문공을 살해하기 위해 야음을 틈타 공궁을 불태우는 여·극(呂?) 일당 - 3. 유살반적(誘殺叛賊) - 반란을 일으킨 여·극을 왕성으로 유인하여 주살하는 진목공 - 4. 기강지복(紀綱之僕) - 3천의 기병을 보내 당진국의 기강을 바로잡은 진목공 - 5. 관용두수(寬容頭須{) 안정진국(安定晉國) - 재물을 훔쳐 도망친 두수를 용서하여 나라를 안정시키다 - 6. 조희취의(趙姬取義) - 정실과 적자의 자리를 남에게 양보하여 부덕의 모범을 보인 진문공의 딸 조희 - 7. 폐부개통자(肺腑開通者) - 폐부(肺腑)를 개통하여 깨닫게 하는 자를 일등상으로 하다 - 8. 무절천공(無竊天功) - 하늘이 이룬 공을 탐하지 말라! - 9. 면상분지(綿上焚志) - 면상산의 화염 속에 절개를 태운 개자추 - 10. 한식절(寒食節) - 익히지 않은 찬 음식으로 개자추의 절개를 기리다 - 11. 무용이류이멸동성(毋用異類而滅同姓) - 이족을 끌어들여 동족을 멸하지 말라! - 12. 호총통간(?寵通姦) - 왕의 총애를 믿고 형수와 간통하는 태숙대(太叔帶) - 13. 축형도수(逐兄?嫂) - 형을 쫓아내고 형수를 훔친 주나라의 태숙대 - 14. 몽진거정(蒙塵居鄭) - 난을 피해 정나라로 몽진하는 주천자 - 15. 근왕도패(勤王圖覇) - 천자의 복위를 도와 패업을 도모하는 진문공 - 16. 수신항원(守信降原) - 신의를 지켜 원읍의 항복을 받아내다 - 17. 수사각적(授詞却敵) - 유하혜(柳下惠)의 지혜를 빌려 적군을 격퇴시킨 전희 - 18. 치자혜안(稚子慧眼) - 어린 동자 위가(蔿賈)의 혜안 - 19. 호학지장(好學之將) 방능용병(方能用兵) - 학문이 깊은 장수만이 용병을 잘할 수 있다 - 20. 벌위파조(伐衛破曹) - 위나라를 정벌하고 조나라를 격파하여 옛날의 원한을 갚다 - 21. 폭시발묘(暴尸發墓) - 시체를 성루에 전시하자 무덤을 파서 대항하다 - 22. 반손분사(盤?焚死) - 저녁밥을 바쳐 받은 은혜가 빌미가 되어 불에 타 죽은 희부기 - 23. 상벌분명(賞罰分明) - 전힐을 죽이고 위주를 파면하여 상벌을 분명히 밝힌 진문공 - 24. 궤모격장(詭謀激將) - 당진군의 중군원수 선진이 속임수로 적장을 격분시키다 - 25. 퇴피삼사(退避三舍) - 초군에게 삼사의 거리를 양보하여 신의를 지킨 진문공 - 26. 성복대전(城?大戰) - 성복에서 천하의 패권을 놓고 건곤일척의 싸움을 벌이다 - 27. 탐공패적(貪功敗績) - 공을 탐해 군사를 잃고 패전한 초장 성득신 - 28. 자옥자살(子玉自殺) - 패전의 책임을 지고 자살한 성득신 - 제11장 진문칭패晉文稱覇 II 1. 위자필벌(違子必罰) - 령을 위반한 자는 반드시 벌을 주어 경계로 삼다 - 2. 수건명당(修建明堂) - 명당을 세워 천자를 부르다 - 3. 상벌약명(賞罰若明) 사방가행(四方可行) - 상벌이 분명하면 천하를 다스릴 수 있다 - 4. 천견참언(?犬讒言) - 아첨이 먹히지 않자 오히려 어진 숙무(叔武)를 모함하는 위나라의 공자 천견(?犬) - 5. 천토주맹(?土主盟) - 천토의 땅에서 천자를 모시고 맹주가 되는 진문공 - 6. 의심암귀(疑心暗鬼) - 천견(?犬)의 참언에 미혹되어 어진 동생 숙무를 살해한 위성공 - 7. 하양수근(河陽受覲) - 천자를 하양으로 불러 제후들의 조현을 받게 한 진문공 - 8. 군신대옥(君臣對獄) - 신하가 그의 군주를 향해 옥사를 벌이다 - 9. 국군유죄(國君有罪) - 군주가 유죄판결을 받다 - 10. 차조귀신(借助鬼神) 조백복위(曹伯復位) - 귀신의 힘을 빌려 군주의 자리에 복위하는 조백(曹伯) - 11. 가짐사석(假?赦釋) - 가짜 짐독으로 위성공을 석방시키는 지혜로운 영유 - 12. 위후복위(衛侯復位) - 또다시 동생을 죽이고 두 번째 복위하는 위성공 - 13. 숙첨자구(叔詹自救) - 팽살형에 임하여 자신의 목숨을 구한 정나라의 숙첨 - 14. 현불초지간(賢不肖之間) 부자불상급(父子不相及) - 현인과 불초는 부자지간이라 해서 전해지지 않는다 - 15. 가의결전(假意決戰) 광적퇴군(?敵退軍) - 거짓으로 결전을 청하여 초군을 기망하고 무사히 철군한 당진의 장수 양처보 - 제12장 일비충천一飛沖天 일명경인一鳴驚人 - 한번 날기 시작하면 하늘을 뚫고 한번 울기 시작하면 세상을 놀라게 하리라! - 1. 피격찰기(被激察機) - 고모를 격분시켜 기밀을 알아낸 초나라 태자 상신(商臣) - 2. 웅장난숙(熊掌難熟) - 곰발바닥 요리는 쉽게 익지 않는다 - 3. 초목도패(楚穆圖覇) - 정과 진 두 나라를 정벌하여 당진의 패권에 도전하는 초목왕 - 4. 초맹궐맥(楚盟厥?) - 주원의 제후들을 궐맥으로 불러 맹회를 주재하는 초나라 - 5. 삼년불비(三年不飛) 삼년불명(三年不鳴) - 3년 동안 둥지에 앉아서 날지도 울지도 않은 새 - 6. 소종대곡(蘇從大哭) - 죽음을 각오하고 간하여 초장왕을 깨우친 초나라의 대부 소종 - 7. 문정규주(問鼎窺周) - 구정의 무게를 물어 천자의 자리를 넘본 초장왕 - 8. 신전경군(神箭驚軍) 사언제공(詐言除恐) - 신전으로 동요된 군심을 유언(流言)으로 안정시키다 - 9. 신궁시기(神弓試技) - 목숨을 걸고 궁술을 겨루는 초나라의 신궁(神弓) 양요기(養繇基)와 투월초 - 10. 부도취팽(不逃就烹) - 죽음을 피해 도망가지 않고 팽살형을 자청한 투극황(鬪克皇) - 11. 절영대회(絶纓大會) - 관끈을 끊어 신하를 보호하다 - 12. 일인지지(一人之智) 엄무궁재사(掩無窮才士) - 혼자만의 지혜는 무궁한 재사들의 앞길을 막는다 - 13. 매사지보(埋蛇之報) - 양두사를 땅에 묻은 선행으로 화를 복으로 만든 손숙오(孫叔敖) - 14. 손숙오치업(孫叔敖治業) - 손숙오가 초나라의 영윤이 되어 치세를 이루다 - 15. 식지전동(食指顫動) 필상이미(必嘗異昧) - 식지가 떨리면 진미를 맛보게 된다 - 16. 상원구역(嘗??逆) - 자라탕을 맛보려다가 군주를 시해한 정나라의 공자송 - 17. 정국칠목(鄭國七穆) - 정나라에 칠목이 일어나 공실의 우환을 잉태하다 - 18. 혜전탈우(蹊田奪牛) - 밭을 밟아 농작물을 좀 해쳤다고 소까지 빼앗으면 되겠는가? - 19. 당교보은(唐狡報恩) - 절영대회에서 받은 장공의 은혜를 갚은 초나라의 장군 당교 - 20. 정백복초(鄭伯服楚) - 초장왕의 위엄과 신의에 정나라가 복종하다 - 21. 오참헌책(伍參獻策) - 당진군과의 결전을 주장하여 초장왕을 패자의 자리에 올린 오참 - 22. 유수부종(有帥不從) - 기강이 해이해져 대장의 명을 따르지 않는 당진군 - 23. 조삼와사(調三窩四) 좌관성패(坐觀成敗) - 진·초를 이간시켜 싸우게 하여 승자를 따르려는 정나라 - 24. 일전중록(一箭中鹿) 예퇴추병(禮退追兵) - 사슴을 잡아 예물로 바쳐 추격병을 물리친 진·초(晉楚) 두 나라의 장수들 - 25. 종속망사(縱屬亡師) - 장수들의 방종으로 초군에게 대패한 당진군 - 26. 우맹의관(優孟衣冠) 탁우오주(托優悟主) - 우맹이 손숙오의 의관을 입고 연극으로 군주를 깨닫게 하다 - 27. 정소송롱(鄭昭宋聾) - 정나라는 시세에 밝아 안전하고 송나라는 귀머거리와 같아 죽임을 당할 것이다 - 28. 비아망야(鄙我亡也) 벌아야망(伐我也亡) - 굴해도 망하고, 정벌을 당해도 어차피 망할 바에야 나라의 자존심을 살려야 합니다 - 29. 의석해양(義釋解揚) - 죽음을 무릅쓰고 사명을 완수한 해양을 석방하다 - 30. 역자위식(易子爲食) 해골위찬(骸骨??) - 당진국의 구원군을 기다리며 자식을 바꿔 잡아먹고 해골을 주워 땔감으로 삼으면서 초군에게 항거하다 - 31. 등상겁장(登床劫將) - 침상에 올라 적장을 위협하여 화의를 이끌어 낸 송나라의 화원 - 32. 우맹곡마(優孟哭馬) - 우맹이 초장왕의 애마를 위해 곡을 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