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8월 13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0쪽 | 376g | 135*195*21mm |
ISBN13 | 9791166831270 |
ISBN10 | 1166831272 |
출간일 | 2021년 08월 13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0쪽 | 376g | 135*195*21mm |
ISBN13 | 9791166831270 |
ISBN10 | 1166831272 |
제1회 넥서스 경장편 작가상 대상 수상작 “단 하루라도 존중받는 몸으로 살고 싶다” 신선한 감수성과 생동감 넘치는 문체로 심사위원 전원의 추천을 받은 권여름의 첫 장편소설! 건강하게 살을 빼준다는 ‘유리 단식원’. 이곳에 모인 사람들은 저마다의 절박한 사연을 갖고 있다. 그 중심에 주인공 양봉희가 있다. 연달아 실패한 입시와 취업. 그 모든 원인은 뚱뚱한 몸에 있었다. 봉희는 어쩔 수 없이 대학 입학도 미룬 채 반도체 회사 생산라인에 들어간다. 2교대의 피로한 삶에서 유일한 낙은 친구들과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 80kg대의 몸은 서서히 불어 100kg에 육박했고, 체중계의 숫자가 주는 커다란 무게감은 점점 봉희를 압박한다. 봉희는 그 즉시 사직서를 내고 유리 단식원을 찾아간다. 봉희에게 유리 단식원은 안전한 곳이다. 살을 빼면서 처음으로 자신을 인정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스태프로서 또 다른 성취감을 맛보게 해준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리 단식원에서 ‘Y의 마지막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봉희의 이 안전한 세계는 점점 금이 가기 시작한다. 봉희의 팀원인 운남이 주인공으로 뽑히면서 승승장구할 날만 기다리고 있는 줄 알았는데, 그녀가 첫 촬영을 앞두고 사라진 것이다. 프로그램 주인공은 운남에서 아이돌 연습생 홍안나로 교체된다. 하지만 봉희는 여전히 운남이를 찾아 헤매고, 건강하게 살을 빼준다던 ‘유리 단식원’을 향한 의심은 점점 커지는데……. '넥서스 경장편 작가상'의 첫 대상 수상작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는 유리 단식원이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살을 빼야 하는 절박한 사람들의 이야기로서, 요즘 시대 ‘몸’이 어떤 의미인지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시의성 있는 주제로 심사위원 전원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다. 소설은 다이어트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줄 뿐 아니라, 사회에 만연한 신드롬과 같은 이 현상에 대한 위험한 부작용을 정확하게 포착해내고 있다. 더불어 시시각각 변화하는 인물의 내면 풍경을 세밀한 필치로 묘사해 동시대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
작가의 말 1. 사라지는 마술 2. 그 사람을 안다고 믿는 일 3. 다시 유턴 4. 균열, 미세하고 분명한 5. 지금 그게 중요해요, 응? 6. 처음, 사과 7. 질문의 시작 8. 짜릿한 축제 속으로 9. 남은 자들 10. 가장 높이, 오래 뜨는 해 |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 / 권여름
(“단 하루라도 존중 받는 몸으로 살고 싶다”)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것을 중시하는 시대를 살아가다보니,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미의 기준에 맞춰 자기 자신과 타인을 평가하고, 그 평가가 개인의 행복을 좌우하기도 한다. 예뻐야 모든 것이 용서되는 세상에, 우리가 생각하는 정상체중은 이제 더 이상 정상이 아니다. 하물며 정상의 범주에서 훨씬 벗어나면,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이 땅에서 존중 받고 살아가기가 쉽지 않다.
단 한 번도 본 적 없는 낯선 얼굴들이 무신경하게 뱉은 한마디. “돼지 년아, 적당히 처먹어.”
(내 생의 다이어트-43쪽 )
실력으로는 당연히 자신이어야 하는데, 늘어나는 몸무게와 실패는 늘 비례한다. 그렇게 상처받은 몸이 절실함으로 바뀌어 찾은 단식원에서, 새로운 인생을 발견했다고 믿고 살아가는 코치 양봉희에게, 가장 믿음직스러운 회원인 운남이 “Y의 마지막 다이어트” 촬영을 앞두고 사라진다.
그동안 잘 알고 있다고 믿은 그녀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게 전혀 없음을 깨닫게 된다. 뭔가 석연치 않은 느낌을 떨치지 못하고, 운남을 찾을 작은 단서를 찾던 중, 개업 기념품인 손톱깎이키트(축 개업 천왕봉 산채 비빔밥)를 발견하고 지리산을 헤매지만, 그녀의 행방을 도무지 알 수가 없다. 그러다가 우연히 알약 하나를 발견하게 되어 “구유리 힐링센터”에 의문을 품기 시작한다.
이렇게 이 책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는 단식원을 둘러싸고 구유리 원장, 양봉희 코치, 수련생인 소운남(본명은 강미). 세 사람을 중심에 두고, 양봉희의 시선으로 단식원의 실태와 그렇게 해서라도 스스로 살을 뺄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 반드시 존중 받아야 할 몸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디까지 처참하게 망가질 수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제목만 보고 얼핏 다이어트 하는 방법이 나와 있으리라고 생각하면 조금 실망할 수도 있다. 이 책≪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는, 다이어트와 더불어 우리의 소중한 “몸”에 더욱 초점이 맞춰져 있다. 세상이 많이 변해서 이제는 자연스럽게 페미니즘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은 성폭력에 취약하고, 남성에 비해 더 많이 상품화되고 있는 것 또한 여전하다.
자신의 몸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존중하며, 다이어트와는 무관하게 살고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그만큼 대부분의 사람들은 날씬한 몸을 갖고 싶어 한다. 꼭 예쁘기 만해서 그런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아무리 당당하게 살아가려고 해도 예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애초부터 제대로 된 공정한 경기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언제나 몸에서 자유롭고 싶었지만 늘 실패했다고 고백하며, ‘과연 몸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은 가능할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저자의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는 제 1회 ‘넥서스 경장편 작가상’에서 ‘심사위원의 만장일치’로 대상을 수상하며, 이 땅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우리 몸의 진정한 가치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코치님, 나는 살고 싶었나 봐요.”(내 생의 다이어트-279쪽 )
존중받으며 죽고 싶어 단식원에 들어왔다는 운남에게서 받은, “코치님, 나는.”으로 끝나는 메일을 수없이 읽으며, 봉희는 나름대로 해답을 찾아간다. ‘단 하루’라도 존중 받으며 살고 싶어 하는 그녀들의 울부짖음을 따라가며, 진정 소중한 게 무엇인지 다함께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이번이 정말 마지막이야.’
‘이번엔 정말 끝을 보고 말거야.’
사는 동안 가장 많이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하는 것이 다이어트였다. 이제는 거의 반체념 상태지만 여전히 체중계에 오르면 주먹을 불끈 쥐고 다이어트를 외치게 된다. 이렇다보니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란 제목을 보는 순간, 관심을 안 가질 수가 없었다. 다 읽고 나면 정말 다이어트에 성공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책을 읽게 되었다.
소설은 유튜브에서 방송으로 유명한 유리 단식원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생방송 ‘Y의 마지막 다이어트’의 주인공 운남이 실종되는 것에서 시작된다. 자칫하면 방송이 무산될 위기에 운남을 담당했던 양봉희 코치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운남을 찾는다. 하지만, 운남을 찾으려 할수록 꽤 오래 함께 했음에도 운남에 대해 아는 것이 하나도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름도 주소도 연락처도 모두 거짓인 운남. 유리 단식원에 있었던 소운남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다. 봉희는 유일한 단서인 운남의 방에서 발견한 라이터에 적힌 식당을 찾아 지리산으로 향한다. 그곳에 가면 운남을 만날 수 있을까
또 먹니,
뱃살 나온 것 좀 봐,
저러니 여태 이러고 살지.
외모공화국 한국에서 살찐 사람들은 칭찬보다 비난의 대상이 된다.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은 상대의 마음 대신 겉모습만 보려 한다. 심지어는 내가 내 몸을 바라볼 때조차 거울이 아닌 유리창 앞에 선다.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는 거울이 아니라 실제보다 크게 부풀려 보이는 유리창 앞에서 타인의 시선으로 내 몸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것은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나를 보는 일이다. 그만큼 우리는 자신을 바라보는 일에 서툴다. 그냥 나는 나일뿐인데, 살이 쪄도 나이고, 비쩍 말라도 나인데. 내가 갖고 싶은 나는 정작 지금의 내가 아니다.
사라진 운남의 자리는 금세 아이돌 연습생으로 채워졌다. 건강한 다이어트를 추구한다는 말과 달리 방송을 위해 일부러 살을 찌우고 식욕억제제를 먹이는 구유리 원장을 보며 봉희는 유리단식원의 실상을 알게 된다.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다. 그런 사람들의 마음을 잘 아는 이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다. 결코 낯설지 않은 모습들이다. 우리가 사는 도시를 유리창에 비춰 보는 것 같다.
언제쯤 우리는 유리가 아닌 거울에 비춰 보고 싶어질까? 나 또한 언제부터인가 거울 앞에 서기를 꺼려했다. 아마 소설의 주인공들과 같은 이유에서였을 것이다. 내가 다시 거울 앞에 서게 되는 때는 언제일까? 내가 나를 사랑하게 되면 거울 앞에 서게 되지 않을까?
책을 덮으며 그런 생각을 했다. 자꾸 들여다보고 사랑의 주문을 외다보면 머잖아 내 몸도 아름다워지지 않을까. 비록 군살과 주름으로 가득한 내 몸이지만, 사랑해주고 싶어졌다. 그렇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조금쯤 나를 사랑하게 되었고 때문에 조금 더 행복해졌다. 그러니 당신도 이 책을 읽고 자신을 사랑하는 마법에 빠지기를 바란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블로그 https://blog.naver.com/goodeye2001/222500575563
취업준비생들이 활동하는 한 인터넷 카페에 충격적인 면접 후기 글이 올라왔다.
지원한 회사에서 면접 제의를 받고 면접장에 갔는데, 면접관으로부터 외모 지적을 당했다는 것이다.
작성자는 회사 대표와 직원이 들어와 면접 질문을 하던 중
"살이 왜 찐 거냐"고 물으며 "사는 데 불편한 거 없냐"는 질문을 했다고 털어놨다.
나의 몸이 말랐던, 뚱뚱하던 간에 그것은 창피한 것이 아니라,
사랑하고 아껴야하는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모두들 머릿 속으로 알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우리의 몸은 '외모도 스펙'이라는 사회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질 수가 없다.
이 소설은 제1회 넥서스 경장평 작가상 대상 수상작이다.
원래 제목은 <Y의 마지막 다이어트>라고 알고 있었는데 출판하면서
지금의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로 변경이 되었다.
한강 작가님이 '채식주의자'에서,
1. 욕망과 관습으로서의 몸,
2. 저항과 자유로서의 몸,
3. 1인칭 남자에서 3인칭 '그녀'로서의 시선이라는
세 가지 코드를 통해 인간이 자신도 모르게 행해지는 잔인한 폭력의 중심에 서있음을 폭로했던 것처럼,
이 책을 통해 권여름 작가님이 유리 '단식원' 운영 주제와 입소생,
강사들의 욕망과 갈등이라는 코드를 통해 다이어트 산업에 대한 비판을
얼마나, 어떻게 이루어나갈지 궁금증을 가지고 책의 첫 장을 넘겼다.
어느 날 어느 유명 단식원에서 '운남'이라는 이십대 여성이 말도 없이 사라진다.
잘 나가는 유튜버와 단식원의 콜라보로 진행된
'Y의 마지막 다이어트'라는 컨텐츠의 주인공이나 다름 없던 운남.
건강한 단식을 통해 건강하고 날씬한 몸을 이뤄낸 성공 케이스로 세상에 공개되기 바로 직전에
그는 왜, 어떤 이유로 사라진 것일까?
이에 단식원은 발칵 뒤집힌다.
코치인 봉희는 운남의 방을 뒤지다가 알약 하나를 발견하고
그녀가 사라지기 전날 보였던 이상 행동을 떠올린다.
단식원에서는 사라진 운남을 대신해 'Y'의 역할을 해줄 사람으로
봉희의 팀원이었던 안나를 선출하고,
프로그램 재촬영을 위해 의도적으로 안나를 단식원에서 퇴소시켜 다시 살이 찌게 만든다.
그리고 마치 처음인양 안나가 다이어트를 위해 다시 단식원을 찾게되면서 프로그램 촬영이 진행된다.
그런데 먹은 게 없으니 토할 것도 없어야 하는 운남이 변기를 잡고 구토한 밤,
봉희의 세계에 “미세하고 분명한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안전하고 건강한 세계라 여겼던 이 단식원에 대한 맹목적 믿음에 오싹한 실금이 그어진다.
밝혀진 '알약'의 정체와 함께 단식원이 제공하는 다이어트 프로그램의 문제가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 소설은 우리 사회의 '다이어트 산업'의 일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단식원에서 등장인물들은 점차 살이 빠진다.
정작 그들의 마음은 점점 무너져가지만 누군가는 미처 알아채지 못하고,
또 누군가는 알고도 모른채한다.
봉희에게 다이어트는 자신의 건강을 위한 것이 아닌
낮은 신분에서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이었다.
사회의 비만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다이어트 산업의 규모도 커지고 있다.
SNS에 자신의 몸매를 과시하고 자랑하는 것은
어느새 일상이 되어버린지 오래이며,
다이어트는 더 나은 건강과 미모를 원하는 많은 사람들의 목표가 되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사람의 몸을 외부의 기준으로 재단하고,
타인에게 ‘좋아요’와 ‘팔로우’ 수로 평가받고 평가하며,
그런 시선을 이용해서 '제 2의 운남들'을 만들어내는
각종 다이어트 광고들이 인스타그램과 같은 각종 플랫폼에 범람하고 있다.
조금 비판적으로 생각해보면 다이어트 산업이 지나치게 커진 것은 아닐까?
어쩌면 우리는 비만의 기준을 지나치게 높게 잡고 있을지도 모른다.
둘레길을 벗어나 어두워진 거리를 걸으면서도 꿈속의 운남은 떠나지 않았다.
민박집에 도착해 잠들 때까지의 운남의 목소리가 머릿속을 떠다녔다.
죽기 위해 들어간 단식원에서 다시 절망했던 운남.
절망했다는 건, 무언가 꿈꿨다는 것일까?
그런 자각이 일자 마침내 '코치님,나는' 다음 문장이 완성되었다.
"코치님, 나는 살고 싶었나 봐요."
봉희의 눈이 질끈 감겼다.
- 『내 생의 마지막 다이어트』 p279,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
우리는 다른 사람의 몸에 대해서 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는 감수성을 발휘하기보다
평가하는 말을 쉽게 내뱉는다.
이 책에서는 사회의 현실을 묘사하면서 우리에게 문제를 자각하도록 돕는다.
생동감 있는 책의 서술은 마치 소설 속 이야기가 눈앞에 있듯 생생하게 펼쳐지도록 만들고
입체적인 캐릭터들은 책 속 등장인물들이 세상에 정말로 존재한다고 생각하도록 이끈다.
책 속의 공간은 창작된 공간인 동시에 한국사회 혹은 현대사회의 한 부분이다.
단순히 다이어트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통제와 억압을 받으며 살고 있는 우리 사회의 모든 이들이
나를 사랑하고 아끼며 어디서든 당당하게 행동할 수 있길,
스스로를 존중하는 삶을 살아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