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08월 10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
파일/용량 | EPUB(DRM) | 52.37MB ? |
ISBN13 | 9791190488273 |
발행일 | 2021년 08월 10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
파일/용량 | EPUB(DRM) | 52.37MB ? |
ISBN13 | 9791190488273 |
Part 1. 0~3세 1차, 10대에 2차 평생 두 차례 격변을 통한 뇌 발달 01. 1차 격변기에 잘 발달된 뇌가 ‘사춘기 뇌’를 지탱한다 -영·유아기에 이루어야 하는 세 가지 발달 과업 -두뇌 신경망의 3분의 1 정도만 완성된 채 태어나는 인간 -신경세포의 가지치기를 통해 만들어지는 뇌 -유·소아기에 만들어지는 습관의 중요성 02. 아이와 부모의 애착이 만드는 뇌 건강 -스킨십으로 만들어지는 행복 호르몬 옥시토신 -공감과 사회성의 열쇠, 거울 뉴런 시스템 -이성과 감정의 균형과 절제를 이루는 대상회 03. 놀이하는 뇌가 학습하는 뇌를 만든다 -뇌의 회로를 만드는 상상력과 음악의 힘 -도파민, 몰입하는 뇌 -세로토닌, 정서적 안정감을 가진 뇌 04. 10대 격변기를 겪어야 하는 아이의 뇌 준비시키기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대처 능력 길러주기 -행복에 꼭 필요한 도덕성, 아동기에 잘 발달시키기 -10대의 뇌를 대하는 데 필요한 부모의 자세 전환 -유·소아기 부모와의 관계가 건강한 사춘기 뇌 발달의 방향을 결정한다 -부모 의존과 독립의 중간, 10대의 뇌 Part 2. 10대 뇌의 지각변동, 엄청난 변화 가능성 01. 폭발적 뇌의 발달, 생애 두 번째 기회 -뇌가 급격하게 발달할 두 번째 기회이자 위기 -0~3세 뇌의 1차 지각변동, 그리고 10대 뇌의 2차 지각변동 -발달 과정 중 오히려 취약해지는 전두엽의 기능 -‘중2병’은 내 아이의 두뇌가 발달하고 있다는 증거 02. 공포와 불안의 뇌 영역을 건드리는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 -신체 변화와 정서 자극을 동시에 일으키는 사춘기 테스토스테론 -공격성도 자기 보호를 위한 본능적 능력 -서열과 영역 싸움에 대한 본능적 반응도 어른이 되기 위한 과정 03. 10대 뇌의 이탈, 달라도 너무 달라진 내 아이 -마음 건강에 취약해지는 시기 -가장 힘겨운 10대의 ‘반항성’과 ‘공격성’ 파헤치기 -10대 후반, 인지 발달과 도덕성 발달의 희망적 시기 04. 내 아이만 유독 이상한 이유가 뭔가요? -10대 뇌의 혼란기, 아이마다 반응이 다른 이유 -사춘기 행동을 읽는 키워드 1. 애착 -사춘기 행동을 읽는 키워드 2. 자율성 -사춘기 행동을 읽는 키워드 3. 기질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주는 ‘훈련’ 05. 미루어도, 피해도 안 되는 ‘위기의 시기’ -표현되어야 하는 위기 -모라토리엄, 위기를 미루면 위기가 없어질까? -‘자기 것’을 찾는 10대의 본능 -10대의 뇌를 키우는 방법, 시간과 공간 허용하기 -공부 아니면 딴짓? 10대 지적 호기심의 폭발 -지적 계발 외의 많은 것이 희생되는 시기 06. 영·유아기보다 더 애착 관리가 필요한 시기 -부모 자녀 간 애착의 민낯이 드러나는 시기 -아이의 삶을 결정하는 애착과 기질 -영·유아기에 깊은 애착 관계를 형성하지 못했다면 -10대 자녀의 문제 행동을 고민하는 부모라면 Part 3. 내 아이가 낯설어졌다, 이상한 뇌와 상처받은 뇌 01. 이상한 건가? 아픈 건가? 알기 힘든 10대의 뇌 -10대의 상처받은 뇌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청소년기에 울리는 경고음, 정신 건강 문제의 시작 -한계를 넘나드는 멘탈, 자극하지 말고 관리해 주세요 02. 이해 못 할 아이의 행동, ‘왜’에 집착하지 마세요 -‘왜’가 목적이 되면 벌어지는 일 -해결 방법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전문의의 도움에 대한 흔한 오해 03. 10대의 공격성과 내 아이의 특이성이 만났을 때 -공격성이 큰 아이들의 세 가지 특성 -폭력을 정당화하는 자기합리화가 반복되면 -또래 압력으로 기름을 붓는 청소년기 공격성 -아이의 반항을 무시한 부모의 선택이 만든 비극 04. 게임, SNS 중독이 가져오는 인지 왜곡의 문제 -온라인 세상, 무한한 가능성 vs 과도한 자극 -전두엽이 취약해지는 10대의 뇌, 중독에 위험 -온라인 중독에 빠지기 쉬운 네 가지 요인 -게임 중독을 병으로 진단하나? -활동 시간이 너무 부족한 아이들 -10대의 게임 욕구, 어디까지 수용할까? -무한한 가능성과 위험성이 공존하는 온라인 세상 -낮은 자존감을 게임으로 보상받으려는 아이들 -‘좋아요’ 인정 욕구가 커질수록 외로워지는 가상공간 -‘덕질’, 내 아이가 팬심에 빠져 산다면 -관계가 좋은 부모는 10대 자녀와 ‘잘 싸우는’ 부모입니다 05. 기분장애, 불안장애 등 10대의 정서 문제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10대 우울증과 자살 시도, 자해 문제 -10대의 우울증,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0대 우울증의 2차적 문제 -오해되기도 하는 애도 반응과 우울증 -우울증도 유전될까? -10대 우울증, 꼭 약을 먹어야 하나요? -10대 아이들의 불안장애 06. ‘관리’라는 장기전에 들어서는 10대의 신경발달장애 -유·소아기와 10대의 신경발달 문제의 차이 -새로운 길,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야 할 때 -ADHD를 가진 아이, 학업보다 소통을 선택하세요 Part 4. 폭풍 속 ‘10대의 뇌’를 건강하게 지키기 위한 부모의 역할 01. 부모에게서 좌절감을 느끼지 않도록 -문을 쾅 닫은 아이, 믿어 주세요 -“내가 알아서 할게” 응원해 주세요 -반항하는 아이, 계속 대화하세요 -부딪히고 좌절하는 10대, 부모만은 완충 역할을 02. 자녀에 대한 기존 생각과 태도를 바꿔야 -‘또래문화’를 알아야 소통이 됩니다 -‘괴물이 된 듯한 아이’에게도 회복력이 있습니다 -사춘기 자녀와 중년의 부모가 만났을 때 03. 건강한 관계를 위해 부모를 돌아보아야 -나는 왜 아이의 마음을 받아주지 못할까? -부모의 애착과 기질, 그리고 자존감을 돌아볼 때 04. 아이의 ‘상처받은 뇌’에 개입해야 하는 순간 -10대 자녀가 보내는 경고 신호 -누구나 상처받은 뇌가 될 수 있다 -생각의 오류를 잡아주는 조기 개입의 필요성 -뇌가 아프다는 것, 정신적 문제를 치료한다는 것 05. 내 아이 건강한 뇌를 위해 할 것, 하지 말아야 할 것 -‘자녀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지키세요 -스트레스에 대항해 ‘멍 때리는 시간’의 여유를 주세요 -생각의 흐름을 잡아 주세요 -아이의 수면 시간을 확보하려 노력하세요 -자녀의 성교육은 전문가에게 맡기세요 -청소년이 된 우리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게 하세요 -친구 같은 부모지만 권위는 지키세요 -함부로 판단하지 말고 자주 비난하지 마세요 -아이의 일상에 ‘편견 없이’ 동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