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8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152쪽 | 212g | 120*205*10mm |
ISBN13 | 9791187789345 |
ISBN10 | 1187789348 |
출간일 | 2021년 08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152쪽 | 212g | 120*205*10mm |
ISBN13 | 9791187789345 |
ISBN10 | 1187789348 |
‘처음’은 마음에 남는다-‘첫’ 영화의 추억 모든 경험에는 ‘처음’이 있다. 첫걸음마, 자전거 처음 타던 날, 처음 마신 술…. 물론 첫사랑도 있다. 첫사랑을 떠올리면 알 수 있듯이, 첫 번째는 두 번째, 세 번째보다 더 의미 있거나 적어도 마음에 남는 경우가 많다. 영화를 본다는 경험도 그럴 것이다. 이 에세이집에서 열 명의 작가들은 자신의 첫 영화를 이야기한다. 첫 영화는 글자 그대로 ‘인생 첫 영화’일 수도 있고, 그 영화 이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친 ‘첫 인생 영화’일 수도 있다. 인생에서 처음으로 영화를 만났던 순간-주인공의 표정, 대사, 함께 본 사람, 극장까지의 거리 풍경, 극장의 푹신한 의자와 팝콘 냄새, 비디오 대여점의 높은 선반, TV 방영을 기다리는 시간 등-을 기억하는 것은, 영화를 즐기는 새로운 방식이며 내 지난날을 추억하는 흥미로운 방식일 것이다. “누군가에 대해 좀 더 알고 싶다면 처음 극장에서 본 영화를 물어보라. 이야기 중에 그를 이루는 구성 성분 중 ‘씨앗’을 보게 될지도 모르고 그가 자란 시대의 얼굴, 문화의 흐름이 ‘같이’ 따라와 개인의 풍경을 보여 줄 수도 있을 테니까.” p.132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서초동 사는 잉그리드 버그만 김상혁 〈늑대와 춤을〉 가족 시네마 유재영 〈라 붐〉 〈라 붐 2〉 참 얄궂은 프랑스 양파 수프 이명석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영화를 ‘말한다’는 것. 그 기분 좋은 무력함에 관하여 송경원 〈미이라〉 우물 이야기 김남숙 〈신밧드의 대모험 호랑이 눈깔〉 그날 만났던 괴물들을 또다시 만나다 박사 〈인디아나 존스〉 모험이 날 그렇게 했다 이다혜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라이온 킹〉 〈라이온 킹〉 〈십계〉 〈우뢰매〉 처음 본 것들의 꼬리를 잡고 서효인 〈패왕별희〉 우리 안에 머물러 우리를 만드는 것들 박연준 〈페드라〉 여전히 봄이어서 꽃 몸살을 앓는 너에게 강수정 |
"극장에서 처음 본 영화가 뭔지 기억해?" 요 며칠 친구들을 만날 때마다 물었다. (중략) 평범한 질문에 비해 친구들의 대답은 흥미로웠다. 그들이 대답한 영화 제목은 각자의 나이나 세대를 실감케 했고(오, 이 영화 개봉했을 때 그 나이였단 말이지?) 당시의 풍속이 떠올랐으며, 시대를 뚫고 성장한 자의 '취향의 시작점'을 감지하게 만들기도 했다. 재미있는 건 처음 본 영화와 그걸 회고하는 방식, 영화에 대한 감상이 묘하게 '현재 그의 모습'과 어울린다는 점이었다. 마치 극장에서 처음 본 영화가 사람의 성격(그리고 미래)을 예고하기라도 하는 것처럼 느꼈다. (127쪽)
그렇다면 나의 첫 영화는 무엇일까. 10인의 작가가 참여한 영화 에세이집 <마음의 일렁임은 우리 안에 머물고>를 읽었다면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질문이다. 이 책은 강수정, 김남숙, 김상혁, 박사, 박연준, 서효인, 송경원, 유재영, 이다혜, 이명석 등이 필자로 참여했다. 이 책에서 첫 영화는 글자 그대로 태어나서 처음 본 영화일 수도 있고, 처음으로 영화관에 가서 본 영화일 수도 있고, 둘 다 아니지만 영화를 보기 전과 후의 삶이 크게 달라진 '인생 영화'일 수도 있다. 그런 영화가 당신에게는 있나요. 있다면 무엇인가요...
나의 경우 '영화'라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본 최초의 영화는 <파워 오브 원>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기억이 안 나지만 주인공 소년이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하는 장면들이 지금까지도 잔상으로 남아있다. 줄거리를 찾아보니 남아공에 사는 영국인 소년이 독일계 소년들한테 괴롭힘을 당한 후 권투를 배우면서 국적과 인정을 뛰어넘은 우정을 나누고 인종차별 철폐 운동에 앞장서는 이야기라고. "극장에서 처음 본 영화가 사람의 성격(그리고 미래)을 예고하"는 것 같다는 박연준 시인의 말이 얼추 맞는 것 같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