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9월 01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
파일/용량 | EPUB(DRM) | 16.09MB ? |
ISBN13 | 9791189092238 |
출간일 | 2021년 09월 01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
파일/용량 | EPUB(DRM) | 16.09MB ? |
ISBN13 | 9791189092238 |
“그리스도교의 신론은 순전히 ‘그리스도교적’이기만 한 적이 결코 없었다.” 서구인들의 신 이해는 그들의 문학, 역사, 철학, 문화에 깊이 스며 있다. 따라서 서구 문명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신과 종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현대 그리스도교 신학에 이르기까지 3천여 년 동안, 신에 대한 인식은 주변 환경 및 시대의 흐름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해 왔다. 따라서 유대교-그리스도교 역사에는 (단일하지 않은) 다양한 신 이해가 존재하며, 각각의 이해 방식은 당대의 사회문화적 현실과 상관관계가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신론들’ 사이의 연관성 및 ‘역사적 현실’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그리스도교의 신 이해를 살핀다. 다시 말해, 유대교-그리스도교가 신을 인식한 방식을 ‘역사주의적으로’ 제시한다. 하나의 고정된·일관된 신 이해 방식을 따르지 않고, 신에 대한 인식이 시대에 따라 어떤 사건 및 흐름과 상호 작용하며, 어떤 내용으로 변천해 왔는지를 통찰력 있게 기술한다. |
서문 1. 유대교와 유일신론의 발전 ? 야웨신 ? 야웨의 패배? 2. 헬레니즘과 그리스도교의 출현 ? 헬레니즘과 만나는 유대인 ? 묵시론의 자극 ? 예수와 그의 추종자들 3. 고전 그리스도교 전통의 전제들 ? 이원론의 도전들 ? 신론의 구축 4. 그리스도론과 삼위일체 교리 ? 그리스도는 신이었나? ? 어떻게 신은 셋인가? ? 정통적 입장 5. 중세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 ? 신비주의와 동방 그리스도교 ? 이성과 계시 ? 토마스의 종합 6. 개신교 종교개혁 ? 노리치의 줄리안과 신의 선하심 ? 마르틴 루터와 은혜로운 신 ? 장 칼뱅과 신의 영광 7. 계몽주의와 근대 ? 이성의 신 ? 현대 신학의 탄생 ? 절대정신으로서의 신 ? 종교에 대한 비판 8. 20세기 ? 칼바르트의 그리스도 중심주의 ? 폴 틸리히와 궁극적 관심 ? H. 리처드 니버의 철저한 신앙 ? 새로운 도전과 의제들(과정 신학 / 해방 신학 / 흑인 신학 / 페미니스트 신학 / 몰트만의 삼위일체론 / 카우프만?신으로서의 창조성 / 구스타프슨의 신중심주의) 9. 결론 더 읽을거리 감사의 말 찾아보기 |
책 소개는 정말 읽고 싶은 책이었나, 사실 표지는 이게 새로 나온책인가 그냥 예전에 나왔던 책인가 싶은 그런 느낌이 들었다. 그래도 종이책이 아니기에, 그리고 책소개가 담고 있는 내용이 너무 읽고 싶은 내용들이었기에 그냥 구매했습니다.
담고 있는 내용은 기본적인 내용들 입니다. 그런데 그 기본을 잘 돌아보는 것을 통해서 알고 있는 것을 다시 되새기고 기초를 닦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책은 지난 3천년 정도 역사 속에서 '신'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쌓아온 인간의 질문들과 그 질문들 속에서 감춰지지 않고 드러나는 하나님의 존재와 존엄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신학적인 결에 있어서 개혁주의와는 다소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고 할 수 있겠지만) 신인식이라는 인간의 본능에 가까운 궁금증에 대해서 당대희 사회적 배경, 문화 철학, 사고 방식등을 고려하여 대답하고 알려주는 이 책은 '과연 신이 무엇인가?' '그 존재는 어떠한가?' 같은 물음들에 대해서 개별적인 궁금증과 물음을 해결 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책이라, 두고두고 가끔식 되뇌이기 아주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특히나 대부분의 논의에 있어서 책이 제공하고 있는 짧은 관점들은 신학적 관점에서 가장 필요한 내용들을 요약해 놓은 것이라 이정도들만 잘 기억해놓고, 보다 상세한 것들 관련 자료들을 통해서 찾아보고 기초위에 벽돌을 쌓아가는 재미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