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3년 12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96쪽 | 715g | 152*225*30mm |
ISBN13 | 9791195176113 |
ISBN10 | 1195176112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출간일 | 2013년 12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96쪽 | 715g | 152*225*30mm |
ISBN13 | 9791195176113 |
ISBN10 | 1195176112 |
교육심리학 텍스트나 교원임용고시에 단골로 등장하는 비고츠키에 대한 기존의 해석과는 달리, 그의 심리학의 아이디어를 인간 생활의 일상적 사례와 서민적 언어를 통해 전달하는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저자의 지평과 입장의 그물망을 완전히 벗어나 어딘가에 따로 존재하는 객관적인 ‘비고츠키’가 아니라 저자의 관심, 역사, 고민, 희망, 좌절, 수난 속에서 걸러진 비고츠키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
|
프롤로그 Part 1 비고츠키 만나기 Chapter 1 비고츠키를 만나기 위한 준비운동, 첫 번째 ‘눈먼 자들의 나라’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나 어느 쪽이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 Chapter 2 비고츠키를 만나기 위한 준비운동, 두 번째 과학에는 국경이 없지만 과학자에게는 조국이 있다? 비고츠키 아이디어와 신행동주의 관점, 무엇이 다른가 Chapter 3 비고츠키를 만나기 위한 준비운동, 세 번째 ‘비고츠키 숲’에서 길 잃은 자들의 세인트버나드를 자청하며 마르크스와 비고츠키의 질문 : ‘비중추적 자기상’의 추구 ‘중추적(근대적) 자기상’의 정체 마르크스의 인간관 마르크스의 역사주의 〈도라에몽〉 작가에게 한 수 배우기 평소에 잘 놀라는 사람은 마르크스와 비고츠키를 쉽게 만날 수 있다 비고츠키의 인간관 피부를 넘어 확장하는 정신 매개된 행위 Part 2 비고츠키와 친해지기 Chapter 1 사회적 구성주의, 한국에 들어와서 고생이 참 많구나 ① 남성/여성은 사회·문화적 사이보그와 관계없는 거죠? 사회·문화·역사적 실천의 산물로서 성별 여성인 체하는 것 : 일상적인 달성으로서 성별 성별을 본다는 것의 의미 Chapter 2 사회적 구성주의, 한국에 들어와서 고생이 참 많구나 ② 교수-학습 이론으로 둔갑한 사회적 구성주의의 슬픈 현실 사회적 구성주의를 공부하는 것은 그동안 배운 것을 버리는 것 사회적 구성주의를 만나기 위해 버려야 할 것들 ① 사회적 구성주의를 만나기 위해 버려야 할 것들 ② Chapter 3 사회적 구성주의, 한국에 들어와서 고생이 참 많구나 ③ 말은 곧 행위다 말과 행위를 별개로 보다니! 옳음(사실)과 적절함 행위에 묻혀 있는 말(발화) 말은 투명하지도 중립적이지도 않다 Chapter 4 ‘개’의 ‘개다움’의 의미 중앙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관계로 전환 개체와 사회·문화의 불가분성 사람은 어떤 존재인가 Chapter 5 나는 엄마한테 사탕을 받은 적이 없는데?! Chapter 6 왜 ‘사회 속의 마음’인가 텔레비전이라는 사회 사회라는 공간에서 디자인된 것들 디자인된 먹을거리 디자인된 물 Chapter 7 ‘비고츠키 사회’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몇 가지 자원 Part 3 비고츠키 풀기 Chapter 1 메타포로 만나는 비고츠키 심리학자는 탐정이어야 한다 ‘불멸의 아이’가 아니라 ‘역사적인 아이’ ① ‘불멸의 아이’가 아니라 ‘역사적인 아이’ ② Chapter 2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지 말고 물로 분석하라 Chapter 3 활동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으로서 도구의 메타포 삼각형의 도식 색 금지 과제 활동 시스템의 중요성 Chapter 4 구체와 추상의 이분법을 넘어서 ‘세포’로 중앙아시아 연구 대분수령이론, 또는 문화증폭기설 변질된 상황학습이론, 구체지상주의를 넘어서 Part 4 비고츠키의 변주곡들 Chapter 1 비고츠키라는 그랜드피아노 집에 들여 놓기 Chapter 2 사회·역사적 인공물로서 환경 Chapter 3 깁슨의 어포던스와 생태학적 적소로서 상황 Chapter 4 실험실과 일상의 생태학적 적소에서 우리의 행위는 어떻게 다른가 바텐더는 어떻게 칵테일을 만드는가 브라질 거리의 아이들은 어떤 수학을 쓰는가 유제품을 어떻게 포장할 것인가 계량컵과 칼만 있으면 학교 수학은 필요 없다! 능력과 무능력, 두 가지 얼굴을 가진 아이 Chapter 5 마리의 요리 만들기 마리는 어떻게 요리를 만들게 되었나 ‘능력’과 ‘학습’, 다시 생각하기 능력의 그림자가 없는 표정 심리학과 상식은 ‘마리의 요리 만들기’를 학습으로 보는가 구체적인 문화적 실천들의 분석 문화적 실천으로서 학습 다시 정의하기 Chapter 6 누가 혜정이를 능력이 없다고 하는가 Chapter 7 협력적 과정으로서 인지 VS 협력의 교육학 Chapter 8 문화심리학으로 바라본 세계 : 디자인된 현실 컵의 손잡이는 현실을 바꾼다 수업이라는 디자인 지능검사가 보여 주는 현실 에필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