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2년 02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8쪽 | 434g | 152*225*20mm |
ISBN13 | 9791189970079 |
ISBN10 | 1189970074 |
출간일 | 2022년 02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8쪽 | 434g | 152*225*20mm |
ISBN13 | 9791189970079 |
ISBN10 | 1189970074 |
지금, 당신의 고민은 무엇인가? 현대를 살아가는 누구나 “돈”에 대한 걱정을 갖고 있다. 특히 초고속으로 100세 시대를 맞은 우리나라는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불안감이 더 크다. 저출산 세계 1위 국가인 데다가 코로나19 팬데믹이 겹치면서 심리적인 빈곤감과 위기감까지 더하고 있다. 그래서 직장을 다니면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대학 진학 대신 일찌감치 창업의 길로 접어드는 청년들도 있고, 여윳돈이 있으면 저축보다 투자를 먼저 생각한다. |
004 추천의?글 “앞으로?무얼할까?”에?대한?답을?찾다-시사저널?대표?권대우서문 006 서문 공격이?최선의?방어다 012 책을?읽기에?앞서 023 프롤로그 먼저,?돈과?친해져야?한다 1. 누가, 왜 읽어야 하는가 2. 무엇이 담겨 있는가 3. 일과 돈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부터 갖자 제 1 부 투 자 제1장 시대적?이슈를?알고?시작하자 050 1. 지구온난화와 ESG 055 2. 코로나19 사태와 위기 극복 060 3. IT의 영향력 확대 065 4. 금융완화정책과 자산가격의 급등 079 5. 가상화폐 제2장 인생의?경제?항목을?이해하자 087 1. 돈에 대한 지식, 부의 원천과 그것을 쌓는 방법 102 2. 일반인의 금융투자 정석 117 3. 금융투자 접근 방법론의 필요성 132 4. 투자의 또 다른 측면 제3장 돈은?무엇이고?어떻게?대해야?하는가 139 1. 신용과 화폐 144 2. 돈의 속성 146 3. 돈을 종잇조각으로 만들어 버리는 인플레이션의 위력 148 4. 암호화폐 151 5. 부의 축적에 도움이 되는 돈에 대한 습관 162 6. 유대인들의 투자 교육과 생활 방법 제4장 부의?실체는?무엇인가 167 1. 부를 계산하기 위해 알아둘 개념들 171 2. 인적/ 물적자본, 무형/유형자산 175 3. 부와 행복 관련 공식 177 4. 한국에 살고 있는 부자 관련 통계 180 5. 부를 쌓기 위한 매일의 준비 제5장 투자의?실제를?공부하자 187 1. 주식 개별 종목 투자에는 고배당성장주로 투자한다 189 2. 펀드투자는 성과의 지속성을 보고 결정하라 191 3. 부동산 196 4. 비상장기업투자(AC ,VC) 201 5. 로보어드바이저 203 6. 가상화폐 제 2 부 창 업 제6장 급여자와?사업자,?결국은?선택하게?된다 213 1. 급여자로서 직장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225 2. 자유계약직(프리랜서) 227 3. 인생 3모작과 청년창업 233 4. 사업의 의미_ 생계 원천과 자아실현 236 5. 사업 소유주가 평생 현역이 가능한 이유 239 6. 경영학의 투자 판단 기준과 사업 241 7. 학업과 직업, 창업을 연결해 성장하는 사례-리서치알음 최성환 대표 제7장 지식기반서비스?분야?창업 247 1. 우리나라 창업 문화의 문제점 249 2. 좋은 창업이란 준비된 창업이다 251 3. 사업에는 꿈이 있어야 한다 255 4. 창업과 창업자를 구분하라 257 5. 장년층 창업의 핵심 259 6. 지식기반서비스 분야의 창업 265 7. 창업을 위해 갖추길 권하는 것 268 8. 지식기반서비스 창업 사례 -웨이브릿지 오종욱 대표 제8장 성패와?마음가짐은?서로?영향을?주고받는다 276 1. 성공해도 겸손, 실패해도 겸손이 답 280 2. 다시 일어서는 방법 285 에필로그 |
월급을 받고, 저축만 해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직장인인 나에게 늘상 하는 말이다.
예전과 다르게 월급 중 일부를 차곡차곡 저축을 해서 노후를 준비하기란 쉽지 않다.
투자도 해야 하고, 은퇴 전 노후에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창업도 해야 한다.
추천 글 중
p4. ‘투자’와 ‘창업’을 별개로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투자를 해서 돈이 모이면 그것을 기반으로 삼아서 창업을 하고,
창업을 해서 운영하는 동안에도 끊임없이 투자를 하면서 살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공감이 가는 문구였다.
투자를 통해 밑천을 만들고, 창업을 해서 돈을 벌면 다시 투자한다.
톱니바퀴처럼 맞아 떨어져서 많은 부를 축척하고 싶은 많은 사람이 갖고 있는 마음이 든다.
이러한 부를 축척 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투자와 창업에 노력을 하고 있다.
책도 읽으며 공부도 하고, 강의를 찾아 듣기도 하고,
창업 아이템 등 공부하기 바쁘다.
앉아서 저절로 얻어지는 것이 없는 세상이다
#김과장! 이렇게 돈 벌어 오너가 되어라.
저자는 금융투자업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어릴 때부터 학습하여 자신이 맞는 투자법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소득과 투자 소득을 늘리는 방법을 소개해주고 있다.
첫 번째로, 돈을 다루는 마음가짐부터, 나만의 철학을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두 번째로 투자를 위해서는 세상의 이치와 흐름을 공부하며 알아야 한다.
단기가 아닌 장기적인 투자, 그리고 복리의 마법 등을 들으며
투자의 기본부터 투자의 실제까지 투자의 정석을 배울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경제적 용어도 많이 알면 다다익선이라고 생각하고 싶다.
세 번째로 일정금액의 투자금이 모아지면 사업계획을 통해 창업을 구체화해본다.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 그리고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이 관건이 것 같다.
창업도 용기가 필요하다.
또한 생계 수단이 아닌 나의 자아 실현을 위해 창업을 해야 한다는 말이
나를 또 한 번 용기를 나게 해주는 것 같다.
지금이 늦었다고 생각하지 않아야겠다.
그래도 조금 더 일찍 긍정적인 투자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시작해 본다면
더 편하고 안락한 인생을 즐길 수 있지 않을까,
저자의 글 속에서 많은 부분을 배우며 찾을 닫는다.
[시사저널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2명이다
아마 차문현저자가 '투자'부분을 작성한 것 같고
신상훈저자가 '창업'부분을 작성한 것 같다.
다른 저서와 마찬가지로,
투자와 사업은 부자가 되는데 중요한 요소로 꼽는다.
그리고 최대한으로 수입을 모으고, 절약하고
그런 모습을 자녀에게 물려주고
모은 돈으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 책에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차문현저자는
앞부분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투자는 인덱스펀드로 어렵지 않게 시작하라고 말이다.
또한 부동산 투자도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지가(땅값)의 상승이 주가지수의 상승보다 더 빨랐다고 데이터로 이야기해주고 있다.
저자는, 다른 사람과 다르게 이야기한다
다른 책에서는
나이가 들 수록 위험자산에 투자하지 않고 안전하게 투자하라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차문현저자는
나이가 들 수록 투자의 경험이 쌓이고
그만큼 공부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더욱 위험한 투자도 가능하다고 이야기한다.
주식투자는
주가지수투자 - 상장주식투자-비상장주식투자-사업 등으로 심화되어가듯이
부동산투자도
주택-상가투자-사무용건물-공장 등 특수투자-토지로 심화되어간다고 본다.
(부동산에 대한 투자순서?를 알려주셨다 ㅎㅎ
물론 사람마다 방법과 순서는 다르겠지만)
나는 지금 현재 교육대학원에 다니고 있는데
다니고 있으면서도, 이게 과연 옳은 길인가
내가 또 다른 길로 가게 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한켠에 있다.
저자는 학사 학위 과정도
순수하게 등록금만 보면 3-4천만원정도가 드는데
웬만한 직장의 1년 연봉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려먼서
1년치 연봉 정도로 인생의 중요한 경력을 만들 수 있다면
그것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런 관점은 처음 접해보았다.
내가 이 길을 더 나아갈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저자의 이런 관점에 안심을 더할 수 있었달까..
저자는 부를 쌓기 위한 매일의 준비로
1. 아침에 30분 걷기
(지금 열심히 도전하고 있는데! 얏호)
2. 10분 일기
(더 열심히 써야겠다 ㅠ)
3. 밀러드풀러의 부자되는 방법
:매일의 수입을 적고 평가한다
를 하라고 이야기한다
다들 가계부를 쓰면서 지출을 평가하라고 하는데
수입을 적고 평가하라니..!
공부 잘하면 성공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좋은 직장에 들어가서 성공하는 시대도 이미 지났다. (물론 예외도 있지만)
학벌과 개인의 스펙이 성공, 부의 축적을 장담할 수 없는 무한 경쟁의 시대가 아닌가 싶다.
아무리 열심히 공부하고 직장생활을 해도 내집 마련이 이렇게 어려운 세상이 오다니.
대체 지금의 우리 세대도 노후가 불안정한데, 우리 자녀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40대인 내가 읽어도 늦지 않은 것일까.
그동안 나의 경제 관념은 개나 주긔...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돈을 모으고 또 지혜롭게 쓰고 버는 사람들도 있구나... 라는 생각에 현타가 오기도 했다.
직장생활은 한계가 있음은 확실하다.
N잡러들이 이제는 드물지 않다.
앞으로 부의 축적을 위해, 노후 대비를 위해 어떠한 방법을 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혜와 노하우, 저자의 견해가 담겨있다.
돈을 버는 대표적인 방법은 투자와 창업.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우리의 자녀에게 어떻게 돈에 대해 가르쳐야 하는지,
창업은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저자만의 식견과 아이디어들이 담겨있다.
부의 축적과 관련된 자기계발서 - 부의 추월차선,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이웃집 백만장자 등과 같은 책이라고 보면 되겠다. 조금 더 우리나라 실정과 현 세대에 맞게 customizing 된...
재테크 방법도 서로 너무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더욱 갈피를 잡기 힘든 요즈음,
돈에 대한 관념과 투자, 창업에 대한 올바른 마음가짐에 대해 배우고 싶다면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