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3년 09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32쪽 | 554g | 135*215*30mm |
ISBN13 | 9788956056937 |
ISBN10 | 8956056935 |
발행일 | 2013년 09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32쪽 | 554g | 135*215*30mm |
ISBN13 | 9788956056937 |
ISBN10 | 8956056935 |
한국어판 서문 간결하고 명료한 빅 히스토리 _데이비드 크리스천 추천사 내가 빅 히스토리를 좋아하는 이유 _빌 게이츠 1 빅 히스토리란 1-1 빅 히스토리란 무엇인가? 1-2 우리는 무엇이 진실인지 아닌지 어떻게 아는가? 2 빅뱅 2-1 우리의 우주관은 어떻게 변해왔는가? 2-2 빅뱅에서 무엇이 나타났는가? 3 별과 원소 3-1 별은 어떻게 생성되었는가? 3-2 별은 우리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4 태양계와 지구 4-1 지구는 어떻게 생성되었는가? 4-2 초기 지구는 어떻게 생겼는가? 5 생명 5-1 생명은 무엇인가? 5-2 생명은 어떻게 시작했으며 변화했는가? 5-3 지구와 생물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6 초기 인류 6-1 우리의 조상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6-2 무엇이 인간을 독특하게 했는가? 6-3 최초의 인간은 어떻게 살았는가? 7 농경과 문명 7-1 농경은 왜 매우 중요한가? 7-2 최초의 도시는 어디에서 그리고 왜 출현했는가? 8 확장과 상호연결 8-1 세계는 어떻게 서로 연결되었는가? 9 가속 9-1 변화는 어떻게 가속하게 되었는가? 9-2 현대 세계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10 미래 10-1 미래에 복잡성은 어떻게 증가할 것인가? 옮긴이의 말 도판의 출처 |
인간은 과연 혼자서 스스로 이 세상의 삶을 살아냈을까.
아니면 우주의 먼지보다도 못한 미물임에도 불구하고 말하려고 하는 존재일까.
현대 과학은 내가 배우던 시기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음에도
그 당시보다 엄청난 발전을 이루어냈고 지금도 달려간다.
우주 또한 느끼지 못하지만 지금도 엄청난 속도로
서로 간의 거리가 계속해서 멀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우주는커녕 지구에 대한 지식조차 부족한
나를 돌아보면 왠지 모르게 쓸쓸해진다.
지구사 혹은 거대사로 바라볼 용기, 전체를 조망해보는 것은
극히 지엽적이고도 협소한 생각과 세계관을 넓힐 수 있는 기회이다.
빌 게이츠가 지원하는 빅 히스토리라는 학문의 프로젝트
장엄한 우주의 역사를 다 알 수 없어도
알아가야 하고 우리가 왜 존재하는지를
살펴볼 방법이지 않을까?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는 내용은
지루한 수업이 아닌 재미있는 교양의 시간이 되리라 믿으며
최근에 우주에 흥미가 생겨서 읽어보았어요. 우주의 기원부터 차근차근 읽어본건 처음이였습니다. 과학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 그런지 내용이 훌훌 읽히진 않았어요. 그래도 재밌게 읽었습니다. 내용이 무척 흥미로웠어요. 빅뱅부터 시작하여 별과 행성의 탄생, 생물의 등장, 인류의 문명이 발전하는 과정이 연혁적으로 서술되어있습니다. 읽으면서 철학적인 생각도 많이 들더라구요. 끝도 모르는 넓은 우주에서 아등바등 살아가는 인간 사회가 회의적으로 느껴지기도 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비롭고 벅찬 감정을 느꼈어요. 누군가 우주의 역사에 관한 책을 찾는다면 추천해주고 싶네요!
우리는 우리의 선조에 대해 많이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것도 꽤 많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주로 몇 가지 종류의 증거에 근거한다. 화석은 우리의 선조가 어떻게 생겼는지, 그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했는지를 알려준다. 화석은 우리에게 그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놀랄 만큼 많이 알려준다. 유전학적 연대측정은 유전자를 비교한 자료에 기반을 둔다. 우리는 유전자 연대측정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우리가 화석에서 얻은 증거를 검토하여 연대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