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7년 03월 03일 |
---|---|
쪽수, 무게, 크기 | 442쪽 | 188*257mm |
ISBN13 | 9788925411507 |
ISBN10 | 8925411504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발행일 | 2017년 03월 03일 |
---|---|
쪽수, 무게, 크기 | 442쪽 | 188*257mm |
ISBN13 | 9788925411507 |
ISBN10 | 8925411504 |
제4판을 펴내면서 / ⅲ 제3판을 마무리하면서 / ⅵ 제2판을 내면서 / ⅷ 머리말 / ⅹ 시작하는 장 ·교직과정 이해의 기초 제1절 인간의 삶과 교육…………………………………………………………………………… 3 1. 인간의 성장과 삶 / 3 2. 교육의 개념 / 5 제2절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교직과정… …………………………………………………… 8 1. 교육활동과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8 2. 교육학의 탐구영역과 교직과정 / 11 제3절 교육과정과 효과적 교수·학습…………………………………………………………… 14 1. 교육과정의 구성 / 14 2. 교수·학습의 과정 / 15 제4절 교직과목으로서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성격………………………………… 17 1. 교육방법 / 17 2. 교육공학 / 18 3. 교직과목으로서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성격 / 19 제Ⅰ부 ·학교학습과 좋은 수업의 이론적 기초 제1장 교육적 의사소통, 수업계획, 수업매체 활용의 기초 25 제1절 의사소통, 수업계획, 수업매체의 관계…………………………………………………… 26 1. 인간과 교육적 의사소통 / 26 2.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 29 3. 교육적 의사소통을 위한 수업계획과 매체 / 30 제2절 수업계획의 필요성과 과정………………………………………………………………… 33 1. 교육계획과 수업계획의 필요성 / 33 2. 수업계획 과정과 주요 활동 / 35 제3절 좋은 수업을 위한 의사소통의 기초……………………………………………………… 37 1. 설명 / 37 2. 질문 / 40 3. 공감적 소통과 민주적 수업문화 / 44 제4절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수업매체의 활용………………………………………………… 48 1. 의사소통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 48 2. 효과적 의사소통을 위한 교수·학습매체의 활용 / 50 제2장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기초 55 제1절 학교학습과 교수·학습의 기초…………………………………………………………… 56 1. 학교학습과 교수·학습의 기본 성격 / 56 2. 교수·학습과정과 수업사태 / 58 3.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관련 이론 / 61 제2절 수업심리학: 교수·학습이론……………………………………………………………… 62 1. 행동주의 교수·학습이론 / 62 2. 인지주의 교수·학습이론 / 64 3. 구성주의 이론과 교수·학습 / 66 제3절 의사소통과 매체 이론……………………………………………………………………… 70 1. 의사소통이론 / 70 2. 매체 관련 이론 / 75 제4절 혁신의 보급과 변화관리 이론… ………………………………………………………… 77 제5절 일반체제이론… …………………………………………………………………………… 80 제3장 좋은 수업과 수업전문성에 대한 이해 85 제1절 ‘좋은 수업’의 개념과 특징………………………………………………………………… 86 1. ‘좋은 수업’의 개념 / 86 2. ‘좋은 수업’의 특징 / 88 제2절 ‘좋은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 ……………………………………………………… 90 1. 교사의 역할 / 90 2. 교사전문성 / 91 제3절 교사의 수업전문성………………………………………………………………………… 93 1. 효과적인 교육방법 실천 / 93 2. 수업전문성 일반기준 / 94 제4절 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평가… …………………………………………………… 99 1. 교사평가의 이론적 기초 / 99 2. 교사평가의 기본원칙과 세부지표 / 100 제4장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개념과 역사적 기초 105 제1절 교육방법의 개념………………………………………………………………………… 106 제2절 교육방법의 변천과정…………………………………………………………………… 109 제3절 교육공학의 개념………………………………………………………………………… 111 제4절 교육공학의 발전과정과 탐구영역……………………………………………………… 117 1. 18-19세기 감각적 실학주의 / 117 2. 20세기 초반 수업의 과학화 운동 / 119 3. 수업매체의 발전과정 / 119 4. 교육공학의 탐구영역 / 126 제Ⅱ부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접근 제5장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139 제1절 수업설계의 개념과 기본원리…………………………………………………………… 140 1. 수업설계의 개념 / 140 2. 수업설계의 기본원리 / 142 제2절 수업설계 이론…………………………………………………………………………… 144 1. 수업설계 이론의 개념과 특징 / 144 2. 가네의 수업조건이론 / 145 3. 메릴의 내용요소제시 이론 / 148 4. 롸이겔루스의 정교화 이론 / 150 5. 켈러의 동기설계이론 / 153 제3절 수업설계의 일반적 절차………………………………………………………………… 156 1. 수업설계의 5단계 / 156 2. 단계별 설계 활동 / 157 제4절 수업설계 모형…………………………………………………………………………… 158 1. 수업설계 기본모형 / 158 2. 수업설계 모형의 종류 / 159 3. 수업설계 모형의 특성 / 167 제5절 체계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 168 1. 교수·학습과정안 / 168 2. 교수·학습과정안 형식과 내용 / 169 제6장 교육방법과 교사주도 수업 175 제1절 교과내용 전달과 교육방법의 의미… ………………………………………………… 176 1. 교과내용 전달로서 교육방법 / 176 2. 교육방법의 의미 / 177 제2절 교육방법의 분류와 유형………………………………………………………………… 178 1. 교육방법의 탐구 및 분류 / 178 2. 교육방법의 분류 / 179 제3절 교육방법의 선정과 활용………………………………………………………………… 182 1. 교육방법 선정 기준 및 고려사항 / 182 2. 의사소통 유형과 교육방법의 활용 / 184 제4절 교사중심 교육방법……………………………………………………………………… 188 1. 직접교수 / 189 2. 개념획득 / 192 제7장 학습자중심 교육방법 197 제1절 구성주의와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방법……………………………………………… 198 1. 지식기반사회와 교수·학습 관점의 변화 / 198 2. 구성주의적 교육방법의 기본 전제와 수업설계에서의 시사점 / 199 3. 구성주의와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방법 / 200 제2절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 설계… ………………………………………………………… 202 제3절 문제중심학습… ………………………………………………………………………… 204 1. 문제중심학습의 역사적 배경과 개념 / 204 2. 문제중심학습의 특징 / 206 3. 문제중심학습의 절차 / 207 제4절 자기주도학습… ………………………………………………………………………… 209 1. 자기주도학습의 역사적 배경 및 개념 / 209 2.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소 / 211 3. 자기주도학습의 절차 / 213 제5절 자원기반학습… ………………………………………………………………………… 215 1. 자원기반학습의 개념 및 배경 / 215 2. 자원기반학습의 특징 및 절차 / 216 제6절 협동학습… ……………………………………………………………………………… 218 1.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징 / 218 2. 협동학습 수업모형 / 220 제7절 창의적 문제해결과 육색사고모자……………………………………………………… 225 1. 창의적 문제해결 / 225 2. 육색사고모자 기법 / 228 제8장 전달수단과 학습자원으로서 교수·학습매체 231 제1절 교수·학습매체의 개념과 기능………………………………………………………… 232 1. 교수·학습매체의 개념 / 232 2. 교수·학습매체의 기능과 효과 / 233 제2절 교수·학습매체의 역할과 분류………………………………………………………… 235 1. 교수·학습매체의 역할 / 235 2. 교수·학습매체의 분류 / 236 제3절 교수·학습매체의 선정과 활용………………………………………………………… 241 1. 매체의 선정기준 / 241 2. 효과적 매체 선정과 활용을 위한 ASSURE 모형 / 243 제4절 효과적인 매체활용을 위한 매체소양 교육…………………………………………… 245 1. 매체활용을 위한 기본능력 / 245 2. 효과적 매체활용을 위한 ‘매체소양’ 교육 필요성 / 247 제Ⅲ부 ·교육환경의 변화와 효과적 수업실천의 새로운 접근 제9장 효과적 교수·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실천 253 제1절 교수·학습의 과정… …………………………………………………………………… 254 1. 교육과정의 해석과 수업의 준비 / 254 2. 수업의 절차 / 255 제2절 학습자 특성과 수업의 개별화… ……………………………………………………… 257 1. 학습자 특성과 개인차 / 257 2. 교수의 개별화 / 259 제3절 학습부진 학생과 융·복합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 263 1.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학습전략 / 263 2. 융·복합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 267 제4절 반성적 성찰을 통한 교수설계와 수업실천…………………………………………… 270 1. 반성적 성찰기법을 통한 교수설계 능력 향상 / 270 2. 반성적 수업실천 방법 / 272 제10장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의 융합 275 제1절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276 1. 인성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 276 2. 인성교육의 방법 / 277 제2절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의 관계…………………………………………………………… 279 1. 교과교육에서 인성교육 / 279 2. 교과교육에서 인성교육 융합 / 281 제3절 교과와 연계된 인성교육의 융합 원리………………………………………………… 282 1. 인성역량과 교과 연계 인성교육 / 282 2. 교과 연계 인성교육의 융합 원리 / 285 제4절 인성교육 융합수업의 실천……………………………………………………………… 288 1. 인성교육 융합수업의 준비 / 288 2. 인성교육 융합수업의 실천 / 289 제11장 학습자 이해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매체의 활용 297 제1절 교수·학습매체의 설계·제작 원리… ………………………………………………… 298 1. 교수메시지 설계 개념 / 298 2. 메시지 설계의 기본원리 / 299 3. 보편적 학습설계 / 303 제2절 인쇄매체의 효과적 활용………………………………………………………………… 307 1. 인쇄매체의 설계 원칙 / 307 2. 인쇄매체 활용의 장·단점 / 307 제3절 멀티미디어의 효과적 활용……………………………………………………………… 309 1.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 309 2. 멀티미디어의 평가 / 311 제4절 효과적 매체 활용의 실천 사례………………………………………………………… 313 제12장 디지털기술의 진화와 수업혁신 319 제1절 인터넷과 웹의 교육적 활용… ………………………………………………………… 320 1.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과 한계 / 320 2. 월드와이드웹의 특성 및 교육적 활용 / 322 제2절 학습 테크놀로지의 활용………………………………………………………………… 327 1. e-학습의 활용 / 327 2. m-학습의 활용 / 330 3. 가상현실 / 332 4. 증강현실 / 335 5. 소셜미디어의 활용 / 336 6. u-학습의 활용 / 339 제3절 거꾸로 교실……………………………………………………………………………… 342 1. 거꾸로 교실과 거꾸로 배움 / 342 2. 거꾸로 교실 모형 / 344 3. 거꾸로 교실의 실행 / 346 제4절 디지털 학습매체의 활용과 수업혁신… ……………………………………………… 348 1. 디지털 매체활용을 통한 수업의 내실화 / 348 2. 학습환경 변화를 통한 수업혁신 / 349 마무리하는 장 ·수업혁신을 위한 학교교육의 과제 제1절 사회변화와 학교교육의 과제…………………………………………………………… 353 1. 사회변화와 교육 / 353 2. 사회변화와 학교교육의 과제 / 356 제2절 디지털 학습공간의 활용과 학교교육의 미래………………………………………… 359 1. 디지털 학습공간으로의 변화 / 359 2. 디지털 학습매체의 활용과 교육의 미래 / 363 제3절 새로운 교육적 의사소통과 교사역할… ……………………………………………… 370 1. 매체융합과 새로운 교육적 의사소통 / 370 2. 교육공학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 / 372 참고문헌 375 찾아보기 393 부 록 1 405 교수·학습과정안 예시 / 405 부 록 2 423 지식기반 디지털 정보사회와 교육공학: 과제 견본용 / 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