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10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76쪽 | 816g | 185*257*16mm |
ISBN13 | 9791191198256 |
ISBN10 | 1191198251 |
발행일 | 2022년 10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76쪽 | 816g | 185*257*16mm |
ISBN13 | 9791191198256 |
ISBN10 | 1191198251 |
머리말 이 책은 어떻게 공부할까요? 엔트리 사용법 참고 자료 내려받기 한 걸음,데이터 과학과 친해지기 _13 01장. 데이터 과학은 무엇일까요? _14 02장. 데이터 과학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_20 03장. 우리 모두 데이터 과학자! _24 두 걸음,엔트리 기반 데이터 과학 _29 04장. 두 걸음 준비운동! _30 05장. 사람들은 봄에 어떤 종류의 노래를 즐겨 들을까요? _41 06장.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은 어디일까요? _59 07장. 소풍은 몇 월에 가는 것이 좋을까요? _91 08장. 어느 지역으로 배추 수확을 도와드리러 갈까요? _112 세 걸음,공공데이터 기반 데이터 과학 _133 09장. 세 걸음 준비운동! _134 10장. 또래 친구들의 평균 키는 얼마일까요? _138 11장. 어느 구에 사람이 가장 많이 살까요? _167 12장. 모기는 몇 월에 가장 많이 보일까요? _199 13장. 어느 지역 해수욕장으로 여행을 추천해줄까요? _230 14장. 놀이공원은 언제 가야 사람이 가장 적을까요? _254 15장. 우리 집에서 가까운 학교는 어디일까요? _276 네 걸음,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과학 _299 16장. 네 걸음 준비운동! _300 17장. 어떤 사이즈를 신으면 좋을까요? _304 18장. 2050년에 우리나라 인구수는 얼마일까요? _332 19장. 데이터 과학자가 되어볼까요? _364 해답 |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빅데이터의 시대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인터넷만 연결되면 언제나 데이터에 접속 할 수 있는 시대인 만큼
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공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해진 시대인 것 같습니다.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발견하는 학문인 데이터 과학은 목적에 알맞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발견한 가치에 데이터 과학자의 경험이나 지식을 더해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고 합니다.
<10대를 위한 데이터 과학 With 엔트리>에서는 일상의 문제를 데이터로
해결하는 방법들을 엔드리를 기반으로 데이터 과학에 대해 자세히 배울 수 있는 책입니다.
최근 아이가 발명 교육을 받으며 엔트리를 접해보면서 굉장한 관심을 보였는데요.
일상 속의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 엔트리로 복잡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재미있는 저자의 강의를 따라하며 데이터 과학을 엔트리로 경험할 수 있는 실전 과학책입니다.
특히 컴퓨터교육 교수님과 현 교사 선생님들의 저서로 더욱 신뢰가 가는데요.
엔트리를 이용해 코딩은 물론 데이터 분석부터
인공지능 프로그램까지 제작까지 공부할 수 있습니다.
책을 읽으며 만나는 질문을 통해 문제해결력을 키우고,
생활 속 문제를 데이터 과학으로 해결해보며 데이터 분석력을 길러주고 창의적 사고력을
이용해 멋진 결과물을 낼 수 있으니
데이터 과학에 관심이 있고, 엔트리에 흥미와 관심이 있다면
<10대를 위한 데이터 과학 With 엔트리>를 꼭 한번 만나 보시길 추천합니다. ^^
[출판사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 견해로 작성한 글입니다.]
우리 일상은 수많은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어요.
5G 인터넷, 스마트폰, 사물인터넷과 같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 과학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어요.
이 책은 청소년들을 위한 엔트리 기반의 데이터 과학을 다루고 있어요. 데이터 과학이 무엇인지부터 차근차근 설명해주고, 데이터 과학의 절차를 학습하고 데이터 과학자가 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해준다는 점에서 친절한 데이터 과학 입문서라고 할 수 있어요. 일반적인 이론서보다는 쉽고 재미있게 구성되어 있어요. 청소년 눈높이에 맞는 예시와 쉽고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이라 좋은 것 같아요.
이 책에는 데이터 과학 전문가인 구구 박사와 호기심 많은 친구들인 정은이와 하은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여 각 장마다 배워야 할 내용들을 소개하고 설명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크게 세 가지 단계인 [스스로 생각해요 - 함께 따라해요 - 창의적으로 만들어요] 라는 단계별 학습으로 엔트리를 활용한 문제해결방법을 익힐 수 있어요. 엔트리에는 우리가 데이터 과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데, 엔트리 웹사이트로 들어가 [만들기] 메뉴 안의 [작품 만들기]를 눌러 편집 화면으로 들어가면 [데이터 분석] 이 있어서 수집한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어요. 차트 기능으로 5가지 그래프(막대, 선, 원, 점, 히스토그램)을 제공하므로 데이터 분석 블록들을 활용하여 재미있는 응용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어요.
책에 나온 문제들은 "사람들은 봄에 어떤 종류의 노래를 즐겨 들을까요? /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은 어디일까요? / 소풍은 몇 월에 가는 것이 좋을까요? / 어느 지역으로 배추 수확을 도와드리러 갈까요? ..." 와 같이 일상적인 궁금증들인데 데이터 과학을 알면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어요. 각 장에 나오는 미션을 해결하다 보면 데이터 과학의 매력에 점점 빠져드는 것 같아요. 예비 데이터 과학자가 되어 마지막 장까지 깔끔하게 미션을 완수해보면 자신의 적성을 확인할 수 있어요. 정은이와 하은이의 질문으로 시작된 미션들, 결국 데이터 과학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질문을 가지는 것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어요. 엔트리와 함께 즐거운 데이터 과학 수업을 받은 것 같아요.
빅데이터는 'V' 로 시작하는 5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양(Volume),속도(Velocity),다양성(Veracity),가치 (Value)로 5개의 V 라고 하여 5V 라고도 해요. 그럼 이 다섯 가지 특징을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해요.
첫 번째는 방대한 데이터의 양(Volume) 이에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이전보다 쉽게 수집할 수 있게 되었어요. 따라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면서 데이터의 활용범위도 함께 넓어졌어요.
두 번째는 새로운 데이터가 만들어지는 속도(Velocity)예요. 우리가 스마트폰과 인터넷으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거나 검색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는 계속 만들어져요. 이처럼 데이터는 다양한 곳에서 빠르게 생산되고 있어요.
세 번째는 데이터의 형태가 다양(Variety)해요. 데이터의 형태는 숫자뿐만 아니라 이미지,음성 등 다양한 형태가 있어요.
네 번째로 데이터는 타당성(Veracity)을 가져야 해요. 많은 양의 데이터에는 정확하지 않거나 분석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데이터도 있어요. 이러한 데이터들은 데이터 분석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어요.
다섯번째는 데이터로 가치를 끌어내는 것(Value)이에요.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의사결정을 내리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등의 가치를 끌어낼 수 있어요.(-19-)
2020년 1월 9일 데이터 3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고, 2020년 8월 5일 데이터 3법이 본격적으로 시행에 들어가게 된다. 그로 인해 국가나 개인이 만들어낸 , 공공데이터를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확보하였으며, 산업 전반에 빅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키워나갈 수 있었다. 그동안 시행규칙에 따르자면,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빅데이터가 제4차산업혁명을 주도할 것이라는 생각이 미치게 되었고,우리는 새로운 과학적 이해와 가치를 만들었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간의 소비패턴, 행동 패턴, 이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알파고를 통해 고객의 삶과 소비를 편리하게 해준다.
이 과정에, 10대 청소년에게 필요한 것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IT 소양이다.청소년이 베우는 교과 과정에 꼭 필요하다., 이것은 그동안 우리가 추구해왔던 데이터 활용을 넘어서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기준이 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의 활용이 커진다.빅 데이터의 양과 속도, 다양성, 타당성, 가치를 검증하고, 그것을 어떻게 인공지능이 인식할 수 있는 요령 , 엔트리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 알고리즘과 딥마인드에 대한 이해,분석, 실제로 엔트리를 이해함으로서, 알고리즘을 이해할 수 있다. 변수와 상수, 함수와 데이터 과학과 데이터 수학을 동시에 검증해 나가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책은 실제 공공데이터를 각 통계사이트에서 구하고, 그 데이터를 어떻게 정규화하는지, 정규화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전 과정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분류하면서,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 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