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04년 06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592쪽 | 393g | 크기확인중 |
ISBN13 | 9788955591293 |
ISBN10 | 8955591292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발행일 | 2004년 06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592쪽 | 393g | 크기확인중 |
ISBN13 | 9788955591293 |
ISBN10 | 8955591292 |
머리말 1. 역사학의 대상 1. 단지 허구가 아닌 이야기일 뿐 인간적인 사건/사건과 자료/사건과 차이 개별화/자연과 역사/진실한 사건 역사는 불구의 지식이다 2. 모든 것은 역사적이다. 그러므로 역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역사의 부정합성/공백투성이인 역사의 속성 비-사건적인 것이라는 개념/사실은 절대적인 크기를 갖지 않는다 역사의 확장/대문자 역사는 한계관념이다 역사는 현세에서 진행된다/어떤 사실이 역사적인가? 3. 사실도, 실측도도 아닌 줄거리들 줄거리의 개념/원자적인 사실이란 없다 사건의 장의 구조/하나의 예: 에베르제티즘 실측도 관념 비판/역사적 명목론 역사학적 서술의 문제/일관된 종합의 어려움 4. 종별적인 것에 대한 순수한 호기심으로 역사가의 한마디: "그것 참 흥미로운데" 베버: 역사는 가치들에 대한 관계 문제의 근원: 베버와 니체 역사적 흥미/소설의 기원과의 비교 역사는 종별적인 것과 밀접히 관련된다 역사 지식의 정의/인간사와 자연사 역사는 개별화하지 않는다 역사의 헌장/역사서술의 두 가지 원칙 덧붙이는 글: 가치론적 역사 5. 지적인 활동 의식은 역사를 모른다/역사주의적 변동은 없다 역사 지식의 목적/잘못된 문제: 역사의 기원 역사 장르의 탄생/실존주의적 개념화 역사적 카타르시스 2. 이해 6 줄거리를 이해하기 '설명하다'의 두 가지 의미 이해하기와 설명하기/원인이라는 잘못된 관념 '심층의' 역사/우연, '물질' 그리고 자유 물질인: 마르크스주의 목적인: 심성과 전통 우연과 심층적 원인 역사에는 대체적인 윤곽이 없다/역사에는 방법이 없다 역사가의 존재론/역사에 있어 추상 하나의 예: 그리스의 종교 분석틀: 우언집(愚言集) 7. 이론·유형·개념 이론의 한 가지 예/이론은 줄거리의 요약일 따름이다 역사 속의 유형성/유형은 개념이다 비교사/그것은 하나의 발견술이다/개념 하나의 예: 헬레니즘 민족주의 개념의 세 가지 종류 역사학적 개념 비판 집합체/분류용 개념/변전과 개념 덧붙이는 글: 이념형 8. 인과성과 소급추정 인과성이냐 소급추정이냐 현세적 인과성/그것은 불규칙적이다 그것은 불명확하다/소급추정 소급추정의 기초/소급추정은 '종합'이다 '방법'은 임상적 경험이다/역사적 객관성의 두 가지 한계 원인 또는 법칙, 기예 또는 과학 논리 실증주의에 있어서의 설명 논리 실증주의 비판 역사는 과학의 초안이 아니다 이른바 역사의 법칙들/역사는 서술이다 개입으로서의 과학/역사는 결코 과학적이지 않을 것이다 과학의 유일한 자리: 의도하지 않은 효과 덧붙이는 글: 일상성과 계열화 9. 의식은 행위의 근원에 있지 않다 타자에 대한 이해 우리는 사람들이 목적을 가진다는 사실을 안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이 어떤 목적인지는 모른다 역사에서의 가치판단이란…… ……간접 화법의 가치 판단이다 이데올로기와 실재의 이원론에…… ……구체적인 다원성을 대신한다 의식은 행위의 열쇠가 아니다 심성 관념 비판/결의론: 네 가지 예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역사학의 주요난점 3. 역사학의 진보 10. 질문지의 연장 점진적인 개념화/감지의 불균등한 어려움 역사적 토픽/전근대사회들의 토픽 비-사건적 역사/사료의 시각에 맞선 투쟁 현실과의 대조확인 작업(recension)으로서의 역사 역사지식의 진보/어떤 의미에서 역사는 예술작품이라 할 수 있는가 잊혀진 것: 박인방증/데생의 예술로서의 역사 11. 현세와 인간과학 과학적 사실과 체험된 사실/인문학의 현상황 인간과학의 가능성/인간과학은 실천론이다 왜 역사학은 과학을 열망하는가/본질들의 잡음 역사학이 과학으로부터 기대할 것은 별로 없다 하나의 예: 경제이론과 역사학 또다른 예: 부의 분배 역사적 진실과 과학적 진실 12. 역사학, 사회학, 완전한 역사학 과학적 역사학의 조건들/그것은 왜 불가능한가 사회학에는 대상이 없다/사회학은 하나의 서술일 따름이다 사회학의 불안/사회학은 거짓 연속성이다. 사회학은 역사학이거나 혹은 수사학이다 사회학은 역사학에 대한 너무 협소한 개념 덕에 생겨났다 역사학을 불구로 만드는 두 가지 규약 "일반" 지리학의 예/완전한 역사학은 사회학을 비워버린다 베버의 역사서 부록: 역사학을 혁신한 푸코 폴 벤느 연보 주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