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08년 05월 19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6쪽 | 446g | 153*224*20mm |
ISBN13 | 9788959751389 |
ISBN10 | 8959751383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발행일 | 2008년 05월 19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6쪽 | 446g | 153*224*20mm |
ISBN13 | 9788959751389 |
ISBN10 | 8959751383 |
프롤로그 성장을 했는데 행복은 왜 뒷걸음인가 Ⅰ 여자가 행복해야 남자가 행복하다 _ 사랑과 결혼의 행복지수 01 대한민국 행복비례식_ 돈 : 건강 : 사랑 : 일 = 1 : 1 : 2 : 2 02 불리한 사회구조로 여성은 남성보다 8% 덜 행복하다 03 결혼은 남성에게 남는 장사이지만 여성에게는 잘해야 본전이다 04 여성은 결혼으로 손해 보는 4% 행복을 남편의 돈으로 채운다 05 미혼여성의 행복절정기는 40대 후반부터 약 10년간이다 06 골드미스는 줄어드는 4% 행복을 아까워한다 07 현명한 여자는 4% 행복을 채워주는 남자와 결혼한다 08 이혼자들은 이혼은 긍정하지만 재혼은 부정한다 09 동거하는 남성이 사회로부터 받는 불이익은 9%, 여성은 15%이다 10 배우자의 사랑을 얻는 데 돈의 효과는 여자가 남자보다 1.8배 크다 11 달마다 하던 섹스를 주마다 하면 연간 5만 달러어치의 행복을 얻는다 12 저소득 가정의 출산장려금은 연 976만 원 이상이어야 한다 13 아내는 남편의 가사분담률 19%를 32%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14 현재 행복한 부부의 가사분담률은 ‘남편 : 아내=40 : 60’이다 15 남편의 행복을 극대화하는 이상적인 가사분담률은 ‘남편 : 아내=48 : 52’이다 16 남편은 가사분담을 통해 연간 최고 1165만 원어치의 행복을 얻는다 17 최적의 가사분담을 하는 남편은 7%뿐이다 18 남편이 집안일을 49분 더 하면 남편은 1만 원, 아내는 3만 원의 행복을 얻는다 19 맞벌이 남편의 가사분담률을 22%에서 46%로 올리면 부부행복은 연간 884만 원어치 올라간다 20 남편의 자존심은 가구소득 4000만 원이 넘으면 드러난다 21 연 가구소득 1억 원이 넘을 때 돈을 위한 맞벌이는 행복에 부정적이다 22 친정부모와 같이 사는 여성은 돈 때문에 14% 더 행복하다 23 돈 못 버는 남편은 시부모, 시형제보다 3% 못마땅하다 Ⅱ 우리는 왜 돈에 집착하는가 _ 돈의 행복지수 01 압구정동 아파트의 행복 02 대한민국은 경제와 불행이 동반성장하는 기형사회이다 03 경제수준은 2만 달러, 행복수준은 6000달러 04 소득만족도의 실체 1) 소득이 늘어도 만족도는 떨어지고 있다 2) 돈과 행복은 비례하지만 최고 부자가 가장 행복한 것은 아니다 3) 남성 우월적인 사회 여건으로 여성은 돈이 더 필요하다 4) 동일한 소득수준에서 고학력자의 소득만족도가 높다 05 돈 없어도 행복한 사람, 돈 있어도 불행한 사람은 1000명당 4명이다 06 신체수명은 79세이지만 행복수명은 겨우 38세이다 07 소득은 늘었는데 가족만족도는 떨어지고 이혼은 늘고 있다 08 억대 연봉자는 행복하지만 돈에 집착하는 순간 불행해진다 09 연 가구소득 1억 원이 넘을 때 돈을 위한 맞벌이는 행복에 부정적이다 10 돈폐인이 불행의 바이러스다 11 우리는 매몰환상의 포로다 12 대한민국에서 매몰환상의 주인공은 1% 부자들이다 13 임금보다 노동 조건과 시간이 행복의 관건이다 14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돈에 집착하는가 Ⅲ 행복한 나를 디자인하라 _ 나의 행복지수 01 연령별 행복지수, 남성은 선진국형, 여성은? 02 20대 후반 여성 실업자는 또래 행복수준의 82%이다 03 실업자는 돈 때문에 24%, 체면 때문에 76% 불행하다 04 적정 수준의 실업급여는 720만 원이냐, 5419만 원이냐 05 직업 선택 시 남성은 안정성, 여성은 수입을 가장 중시한다 06 ‘바르게 살자’를 뽑아내고 ‘바르게 마시고 바르게 피우자’로 바꾸자 07 저소득이며 흡연하는 기혼여성이 음주 횟수를 월 2~3회로 줄이면 행복이 28% 올라간다 08 흡연은 행복을 4% 태워버린다 09 자기합리화는 금연의 장애물이다 10 아침밥을 먹는 남자는 거르는 남자보다 2% 행복하다 11 일반주택 셋집에 살던 사람이 아파트를 구입하면 행복이 8% 올라간다 12 행복은 수치가 아닌 실천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에필로그 ‘최대’가 아닌 ‘최적’을 찾는 삶의 지혜 Happy Tips! 행복의 정의 행복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행복이 만들어지는 과정 행복을 돈으로 환산하는 방법 남편 후보 싸가지 테스트 방글라데시는 불행한 국가다?! 비누아투는 가장행복한 나라가 아니다?! 카네만의 행복 개념 심리학은 행복의 원조학문 행복경제학의 역사 물부족국가설의 진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