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3년 02월 03일 |
---|---|
쪽수, 무게, 크기 | 516쪽 | 1044g | 197*246*25mm |
ISBN13 | 9791192404325 |
ISBN10 | 1192404327 |
발행일 | 2023년 02월 03일 |
---|---|
쪽수, 무게, 크기 | 516쪽 | 1044g | 197*246*25mm |
ISBN13 | 9791192404325 |
ISBN10 | 1192404327 |
추천의 글 _4 책 소개 _8 제1부 범죄학의 기초 제1장 범죄학의 의의 제1절 범죄학의 정의 및 특성 _28 I. 사회현상으로서의 범죄, 그리고 범죄학 _28 II. 체계적인 탐구 _30 III. 연구를 통해 축적된 지식체계 _33 제2절 범죄학의 연구영역 _40 I. 범죄학의 확장성과 이 책에서의 기술범위 _40 II. 범죄 현상, 범죄 원인, 범죄 대책 _42 III. 소결 _47 제3절 범죄학의 연구방법 _50 I. 연구방법의 의의 _50 II. 이 책에서의 기술범위 _52 III. 과학적 연구의 추론 과정 _55 IV. 추론의 타당도 _59 V. 과학적 연구의 실제: 데이터 수집 과정을 중심으로 _63 제2장 범죄 현상: 범죄의 개념 및 실태 제1절 범죄의 개념 _86 I. 형식적 의미 vs. 실질적 의미 _87 II. 합의적, 갈등적, 상호작용주의적 시각 _90 III. 두 분류법 정리 _95 제2절 범죄 데이터 수집방법 _99 I. 경찰의 공식 데이터 _100 II. 설문조사 데이터 _102 III. 우리나라의 범죄 데이터 수집방법 _105 IV. 데이터 수집방법과 관련된 방법론적 이슈들 _107 제3절 범죄의 실태: 범죄 현황 및 추세 _111 I. 범죄 현황과 관련된 패턴 _113 II. 범죄 추세와 관련된 패턴 _120 III. 범죄의 패턴 정리 그리고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소고 _129 제4절 범죄의 예측 소개 _132 제3장 범죄학의 발달과정(역사) 제1절 범죄학 루프 _141 I. 범죄학 루프의 개념 _141 II. 범죄학 루프의 구성요소: 맥락과 이론을 중심으로 _144 제2절 범죄학의 3대 관점 _156 I. 고전주의 _159 II. 실증주의 _161 III. 비판주의 _174 제3절 현대범죄학 소개 _186 제2부 범죄학 이론 제4장 고전주의 범죄학과 합리적선택 관점 제1절 고전주의 범죄학 _193 I. 등장 배경 _193 II. 베카리아와 벤담 _195 III. 정책적 함의 _201 IV. 쇠락 및 부활 _201 제2절 합리적선택 관점 _206 I. 합리적선택 관점의 의의 _206 II. 억제이론 _208 III. 상황적 접근 소개 _224 제5장 특성이론과 생물사회학적 관점 제1절 특성이론 _238 I. 등장 배경 _238 II. 주요 이론 및 학자 _241 III. 요약 및 정책적 함의 _253 IV. 쇠락 및 부활 _255 제2절 생물사회학적 관점 _263 I. 쌍생아 연구와 입양아 연구: 유전의 영향 시사 _264 II. 행동유전학 _267 III. 분자유전학과 뇌신경과학 _269 IV. 유전자와 환경이 범죄에 이르는 과정 _275 V. 소결 _280 제6장 사회구조적 관점 제1절 사회생태학과 사회해체이론 _290 I. 시카고학파 _291 II. 사회생태학과 사회해체이론 _294 III. 정책적 함의 _300 IV. 쇠락 _301 V. 부활: 생태학적 관점 _302 제2절 긴장이론(아노미이론) _314 I. 뒤르켐 _315 II. 머튼의 긴장(아노미)이론 _323 III. 메스너와 로젠펠드의 제도적아노미이론 _330 IV. 소결 _335 제3절 문화적일탈이론 _336 I. 코헨의 일탈하위문화이론 _339 II. 클로워드와 올린의 차별기회이론 _341 III. 정책적 함의 _344 IV. 사회구조적 관점 정리 _349 제7장 사회과정적 관점 제1절 사회학습이론 _365 I. 서덜랜드의 차별접촉이론 _365 II. 에이커스의 차별강화이론과 사회학습이론 _370 III. 사이크스와 마짜의 중화(기술)이론 _376 IV. 정책적 함의 _381 제2절 사회통제이론 _381 I. 시카고학파의 통제이론들 _383 II. 허쉬의 사회유대이론과 자기통제이론 _389 III. 현대의 통제이론들 _395 IV. 정책적 함의 _399 제3절 일반긴장이론 _401 I. 개관 _401 II. 주요 내용 _402 III. 평가 _405 IV. 사회과정적 관점 정리 _406 제8장 비판주의 제1절 요점 정리 _417 I. 등장 배경 _417 II. 갈등적 시각: 패러다임의 대전환 _420 III.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 _423 IV. 핵심 의제 _426 V. 이 장의 구성 _427 제2절 낙인이론 _428 I. 개관 _428 II. 주요 내용 _429 III. 정책적 함의 _433 IV. 평가 _435 제3절 갈등이론 _436 I. 개관 _436 II. 계급 갈등에 대한 이론: 마르크스주의 범죄학 _438 III. 성 갈등에 대한 이론: 여성주의(페미니즘) 범죄학 _446 제4절 현대의 비판주의 이론과 회복적 사법 _452 I. 개관 _452 II. 평화주의 범죄학 _454 III. 회복적 사법 _455 IV. 비판주의 정리 _459 제9장 현대범죄학과 통합이론/발달범죄학 제1절 현대범죄학 _470 I. 이론적 진화와 통합 = 설명력 강화 _470 II. 이념적 중립성 지향 = 범죄예방에 관심 _471 III. 새로운 연구영역의 확장 = 범죄학의 확장성 _472 제2절 통합이론 _473 I. 이론적 통합의 의의 _473 II. 이론적 통합에 대한 논쟁 _475 III. 통합이론들 _478 IV. 소결 _483 제3절 발달범죄학 _484 I. 발달범죄학의 의의 _484 II. 범죄경력 연구 _486 III. 발달이론들 _489 IV. 잠재적속성이론과의 대립 _498 V. 정책적 함의 _500 VI. 평가 _501 VII. 소결 _502 서평 _510 색인 _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