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3년 03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528쪽 | 634g | 148*210*28mm |
ISBN13 | 9791191552225 |
ISBN10 | 1191552225 |
발행일 | 2023년 03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528쪽 | 634g | 148*210*28mm |
ISBN13 | 9791191552225 |
ISBN10 | 1191552225 |
1994년 초판 서문 · 6 2001년 메디슨 북스 서문 · 8 서론 : 사랑을 재발명하기 · 18 1장. 불가해한 감정 결정적 질문 · 41 │ “나는 당신을 사랑해” · 47 │ 사랑과 상호성 · 53 │ 낭만적 사랑 · 60 │ 다른 문화들 · 70 │ 사랑의 역사 · 79 │ 정체성으로서의 사랑 · 90 │ 사랑의 역설 · 94 2장. (사랑에 대해) 잘못된 생각 바로잡기 사랑은 느낌인가? · 109 │ 사랑과 관계 · 119│ 전부 아니면 무(無): 사랑의 이상화 · 128 │ 러브 스토리 · 140 │ 사랑의 토대로서의 아름다움 · 151 │ 로미오와 줄리엣을 넘어 : 노년의 사랑 · 171 3장. 사랑에 빠지기 사랑과 그 변형들: “진짜” · 189 │ 섹스의 기쁨 · 197 │ 첫눈에 반하는 사랑 · 206 │ 낭만적 끌림의 위험과 쾌감: 사랑에 빠지는 이유 · 217 │ 사랑의 이유 · 225 │ 사랑과 환상 · 236 │ 사랑에 빠지기에서 사랑에 빠져 있기로: 조정의 문제 · 248 │ 같이 자기: 스너글러(snuggler)와 솔립시스트(solipsist) · 257 │ 사랑하기와 사랑에 빠져 있기 · 264 4장. 사랑에 있어서 자아 사랑에 대한 정체성 이론 · 283 │ 자아의 미결정성 · 291 │ 자아의 낭만적 창조 · 299 │ 섹스와 공유된 자아 · 306 │ 사생활의 중요성 · 318 │ 낭만적 역할 · 326 │ 정체성의 차원들: 반대되는 것들은 서로 끌리는가? · 338 │ 사적 덕(virtue) · 349 │ 변증법에서 동역학(動力學)으로 · 364 5장. 사랑의 동역학(動力學) : 사랑을 지속하기 염려와 이기심이라는 신화 · 371 │ 사랑과 시간 · 383 │ 친밀감 · 397 │ 평등과 권력의 문제 · 413 │ 소유와 소유욕 · 439 │ 사랑에서 싸움의 중요성 · 453 │ 사랑의 토대로서의 우정 · 459 │ 충실성의 의미 · 475 │ 사랑의 쇠퇴와 사랑을 유지하기 · 484 │ 사랑의 재발명 · 505 옮긴이 후기 : 사랑, 정체성의 공유가 일어나는 모순과 역설의 드라마 · 516 |
제목과 목차가 매우 마음에 들어서 선택한 책이다.
매우 흥미롭게 읽고 주변에도 여러 차례 추천한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떠올리게 하였다.
게다가 사랑을 이해하는 철학적 '가이드북'이라고까지 하니 더욱 기대가 되었다.
가이드북답게 책 자체는 매우 두껍고 묵직하다. 그러나 분명 어려운 책임에도 여러 예시들을 통해 풀어둔 덕에 읽기가 그렇게까지 고되지는 않다.
목차를 보면 흥미로운 것들이 많다.
사랑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것, 사랑은 '느낌'인지 아니면 무엇인지, 사랑은 어떻게 '빠지게 되는' 것이며 어떤 경로로 '빠져있기로' 선택하게 되는 것인지 등, 책을 읽기 전부터 눈길을 끄는 주제들이 많다.
그리고 이 주제들은 책을 다 읽고 나면 더 많은 생각에 잠기게끔 한다.
책 중간 중간에 장을 나누기 위해 보라색 페이지들이 삽입되어 있다.
다소 무거운 전공 서적같은 느낌을 풍기는 책 표지와는 달리, 책 안은 몽글 몽글한 서체와 하트 일러스트, 과감한 색상 사용이 인상적이다.
흥미로웠던 대목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에서는 사랑을 사회적 '발명품'이라고 칭한다. 즉 우리가 만들어낸 관념들의 구성물이라는 이야기다.
이러한 접근법이 참신하게 느껴졌고 공감이 갔다. 결국 우리가 이토록 사랑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정의하려하고 탐구하려하는 것은 사랑이란 것 자체가 태생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유기적이며 복합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러한 사랑을 여러 위계에서 차례 차례 뜯어가며 살펴보고, 또 다시 재조립한다.
책을 한참 읽다가 웃음이 터진 부분이다.
꽤나 저자가 사랑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늘어놓았다고 생각하며 읽던 차였는데, 그 때 보이는 문장.
"이제 우리는 사랑을 정의하고 있는가? 아직 우리는 사랑의 정의에 근접하지도 않았다."
그렇다. 이 책은 이 책 전체를 통해 끊임없이 계속하여 사랑을 정의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사랑이라는 한 단어로 퉁쳐서 느껴오던 감정과 생각들이 사실은 그 안에 염려와 연민 등 다양한 감정이 섞여있는 것이라 말하며 사랑이라는 것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하나씩 설명한다.
책 전체 내용 중 가장 흥미로운 내용은 사랑의 조정에 대한 내용이다.
우리는 처음 사랑에 빠지지만 이내 사랑에 '빠져있기로' 결단한다.
<사랑의 기술>에서 말하는 사랑은 감정이기에 더해 기술이고 의지라는 내용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내용이다.
아무래도 꽤나 두꺼운 책이기에, 이 책은 한 번 휘리릭 읽고 다시 한 번 읽을 때는 조금 더 곱씹어 읽기를 추천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필요한 챕터는 한 번 더 읽어봐도 충분히 그 여운을 느낄 수 있을 책이다.
비단 사랑에 대한 이론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사랑을 하면서 겪는 여러 문제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옮긴이의 말처럼, 이 책을 통해 비록 험난한 여정이라 할지라도 사랑의 항해를 계속하기를.
나는 사랑을 그렇게 모호하게 만든 형이상학적 안개,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신화, 위험한 비유를 뚫고 나가 길을 내면서 연애가 이해 가능하고 분별력 있으며 행복한 삶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습니다.사랑은 물론 '자연적'입니다. 이 말은 사랑이 생물학적 특성을 따른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사랑은 또한 사회적 구성이자 개인의 책임이기도 합니다. 이 책에서 나의 주요 논지는 사랑은 세대마다 개개 커플에 의해 발명되고 재발명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0-)
연애보다 극적인 측면은 부족하더라도 괘찮은 결혼 생활이 연애보다 "열등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연애 없는 섹스와 결혼은 생각하지도 말라고 배웠으며, 실제로 "의미있는 관계"는 "사랑에 기초한 관계"를 가리킨다. 그러나 존중,상호 존중, 즐거움, 동료애, 훌륭하고 멋진 섹스와 대화, 신뢰, 정직, 친밀감으로 가득차 있지만 반드시 "사랑에 기초한 관계"가 아닐 수 있는 관계를 통해서도 우리는 완벽하게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 (-126-)
이렇게 말한다고 해서 우리가 사라에 '빠져드는 것'이라고 부르는 것의 가치와 중요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사랑이 진행되도록 작동시키는 것은 최초의 매혹과는 별 상관이 없다는 점을 말하는 것일 분이다. 반대로, 사랑이 시작될 때 사랑을 짜릿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나중에 사랑을 성공시키는 것과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 (-195-)
자아를 타인의 관점으로 규정하는 것이 우리의 개별성을 빼앗는다고 반대하는 입장도 왕왕 존재한다. 그 결과는 미국 생활에서 가장 비극적인 개념적 재앙 중 하나, 즉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약점, 자아상실의 표시, 자율성과 독립성의 상실이라는 잘못된 믿음이다. 진실은 타인에 의해 자아를 규정하는 것이 개별성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296-)
사랑의 시간표에서 매 단계에는 새로운 규칙, 새로운 기대,새로운 의무가 당연히 따라오지는 않지만, 데이트를 한 다음 날 의무적으로 전화통화를 하는 것은 요즈음에는 거의 문화적인 상식이 되었다. 충실성을 요구하는 것은 섹스만이 아니다. 결혼도 충실할 것을 명령하지만, 결혼보다 덜 형식적인 생활방식도 충실성을 병령한다. (-393-)
소유욕은 위협의 세계를 만들어내며, 종종 그로부터 소유욕이 소유 감각 자체를 허물어버린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이 자기보다 "더 재미있고 나를 더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사람과 떠나겠다고 할 때 반대한다고 해서 그 사람이 소유요이 있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연인이 떠나겠다고 할 때 반대하지 않고 상처받거나 화내지 않으면서 "그게 당신이 원하는 것이라면 그렇게 해도 좋아" 라는 시그로 재미있게 응대한다면, 우리는 이런 사랑을 기괴하거나 기껏해야 무신경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정말로 위협이 되는 경우도 있고 피해망상증도 있다. (-448-)
마침내 사랑은 자아의 문제로 귀결되고, 사랑의 쇠퇴는 우리가 어떤 자아가 되기를 원하는다의 문제임이 드러난다. 우리는 사랑에 주의를 기울이는 자아를 원하는가의 문제임이 드러난다. 우리는 사랑에 주의를 기울이는 자아를 원하는가, 아니면 사랑의 소멸을 무시하는 자아를 원하는가? 우리 모두는 "자신을 위해" 사랑받고 싶어한다. (-501-)
사랑에 대한 철학을 살펴 본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은 동물이 보여주는 생뭉할적 사랑과 차별화하고 있었다. 오로지 생존과 종족을 이어나가기 위한 동물적 본성에 의존하는 사랑은 인간에게 있어서 정신적이 사랑이 추가되어야 하며,그 추가되어야 하는 사랑은 상대적이면서 추상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사랑에 대한 개념, 아름다움에 대한 본질은 바뀌고 있다. 그것이 당연한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는 그렇지 않다. 사랑은 사회 안에서 관계, 친밀성을 확보한다. 2000년전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에 대한 본질이 지금도 통용할 것이라고 보고 있었다. 하지만 문화적으로 학습된 사랑이기 때문에, 100년전 사랑,아름다움은 지금과 매우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더군다나 사랑에 대해 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사랑을 이해하기 전 우리가 원하는 사랑의 실체를 짚고 넘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인간이 섹스 로봇,AI 로봇과 사랑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과 연결될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이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사랑에 치우쳐 있다. 매혹적이면서, 탐닉하게 되고, 그 안에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정체성과 자아를 탐구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 책은 사랑이란 사회가 만든 학습된 것이기 때문에, 지금의 사랑이 앞으로 똑같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하고 있는 듯 하다. 사랑이 가지고 있는 모순과 역설에 해당되고 있었으며, 사랑에 대한 따스한 메시지를 품고 있다. 즉 사랑을 이해하기 전 우리가 현재 마주하고 있는 사랑의 본질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인간이 생각하는 사랑을 소유하려고 하는 행위가 지속적이지 않고, 항상 사랑이 바뀌는 이유, 인간은 사랑 앞에서 항상 바뀌고,새로운 것을 찾게 된다. 그것을 통제하고,관리하기 위해서, 사랑에 대해 제약을 가하고, 어떤 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사회적 장치를 채우고 있는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된다. 사랑은 언제나 유연하고, 가변적이면서, 인간의 자아를 형성하는 핵심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오랜만에 읽는 새책이다.
라고 하기에는 지난 주 지지난주 계속 한권씩 새책을 읽었구나
읽는건 좋은데 서평을 쓰는 건 언제나 쉽지 않은 숙제다.
사랑을 철학으로 풀어낸다라..
듣기만 해도 힘들 듯 한데
사랑 에다 철학이라니.
인류가 살아오면서 만들어낸 관념, 단어 중의 대표가 이 둘이 아닐까한다.
눈에 보이지도 않고 이거다라고 딱히 설명하기도 힘든...
하지만 살다보면 분명이 존재는 하는 듯한 그 무언가.
그 사랑을 다시 그 어려운 단어 철학으로 풀어낸다.
그래서... 예상하겠지만
어렵다
이 책 절대 쉽지 않다
그런데 이상하게 잘 읽힌다
철학책처럼 여러가지 관념과 철학지식을 꺼내서 설명하기 보다 본인이 고민하고 마음속으로 여러번 되뇌어 본 후에 그것을 다시 소화해서 풀어내는 식으로 써서 그런 듯 하다.
에세이를 읽는 것처럼 때로는 공감하고 때로는 고개를 갸웃거리며 읽어낸 책이다.
신영복 선생님의 책을 읽으며 느꼈던
항상 언제라도 찾아올 수 있는 죽음과 함께하며 살아야 하는 개인의 특별한 사연과 생의 조건이
그의 지성과 끈질긴 인내심과 조합해서
이렇게 아름다운 글들이 나올 수 있었겠구나 하는,
죄스러운 고마움을 느끼면 읽었다.
이런 어려움도 없고,
그런 인내심도 없는 나는 이렇게 받아먹기만 하면서 살아야 할 듯 한데
그러고 보면 나는 그냥 운이 좋은 거니까 지금처럼 이렇게 우울해만 하지 말고 감사를 좀 더 하면서 살아야겠다.
이 책 이랑 상관없는 교훈을 얻었구나 ㅎㅎ
책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 하는 사랑은?
이 글을 읽는다고 사랑이 쉬워지거나 명확해 지지는 않았다.
그래도,
마음 한켠의 엉겨있던 궁금함과 답답함의 실타래가 아주 조금은 풀린 느낌.
나머지는 살면서 스스로 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