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04년 07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84쪽 | 272g | 132*224*20mm |
ISBN13 | 9788937461040 |
ISBN10 | 8937461048 |
출간일 | 2004년 07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84쪽 | 272g | 132*224*20mm |
ISBN13 | 9788937461040 |
ISBN10 | 8937461048 |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파블로 네루다와 작은 어촌 마을의 우편배달부가 이어간 우정을 그린 영화,「일 포스티노」의 원작소설. 사랑에 빠진 우편배달부에게 시를 가르쳐주어 끝내 그 사랑을 이루게 한 시인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새로운 삶과 사랑을 이끌어내는 '문학의 힘'을 노래한 소설이자, 위대한 시인 네루다에게 바치는 헌사. 더불어 칠레의 민주화를 염원한 투쟁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때는 1970년대 초반. 칠레의 작은 어촌 마을에서 우편 배달부로 일하는 마리오는 마을의 가장 고명한 주민인 파블로 네루다에게 우편물을 전달하는 것이 유일한 업무이다. 아름다운 소녀 베아트리스를 보고 첫눈에 사랑에 빠진 마리오는 네루다에게 소녀를 위한 시를 써달라고 조른다. 네루다는 우체부에게 메타포를 가르쳐주어 베아트리스에게 사랑을 고백하게 하고, 베아트리스 어머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마리오와 베아트리스는 결혼을 하게 된다. 이후 네루다가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어 마을을 떠나 있을 때나 주프랑스 대사로 임명되어 파리에 있는 동안에도 둘은 편지를 주고받으며 우정을 이어간다. 피노체트가 일으킨 쿠데타로 살바도르 아옌데가 목숨을 잃고 네루다 역시 죽음을 눈앞에 둔 순간에도 마리오는 목숨을 걸고 네루다를 찾아와 그의 곁을 지킨다. 작가는 내면적인 네루다, 따스함과 인간적인 유머가 넘치는 '바닷가의 네루다'를 작품 속에 담고 싶었다고 말한다. 작가 역시 우체부 마리오처럼 사랑의 밀어를 속삭이기 위해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를 뒤적거리던 젊은 시절을 지나왔다고. 작품 속에서 마리오가 '시는 쓰는 사람의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의 것이에요!'라고 말하는 장면은 네루다의 시가 개인의 것이 아니라 칠레인 전체의 것, 즉 일상의 삶 그 자체가 되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마리오가 네루다를 위해 소리를 녹음하는 장면은 마리오의 아들이 태어나는 울음소리로 끝을 맺는데, 이는 네루다의 시가 사랑의 씨앗을 뿌리더니 '새 생명'이라는 열매까지 맺게 한 것으로 해석된다. 시가 문학의 테두리를 넘어 삶으로 뛰어든, 이 감동적 장면은 작가가 '시인 네루다'에게 표한 최고의 경의일 것이다. |
제목이 아주 익숙해서 이미 읽은 듯 착각하고 있는 책 중의 하나다. 우연찮게 책을 얻게 되어 미루지 않고 봤는데. 이 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 제목도 아주 잘 알고 있어서 이 또한 본 듯하여 내용도 이미 알고 있다고 여겼는데 내 예상과 달랐다. 나는 이것도 저것도 본 적이 없었던 것이다. 하다못해 줄거리조차도.
네루다가 나오는 줄은 알았다. 네루다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일생을 보냈는지 내가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게 우선 중요한 점. 이 리뷰를 쓰기 위해 먼저 자료를 찾아보다가 이제서야 알았다. 내가 네루다와 혼동하고 있는 역사학자가 있었다는 것을, 그리고 이 책의 네루다가 그 역사학자였던 줄을. 그러니 이 소설을 읽으면서 시를 쓴다는 네루다가 마냥 낯설 수밖에. 역사학자이면서 시도 썼나? 그러면서 정치에도 참여를 했나? 재주가 많은 지식인이었나 보군.....흠,흠.
오직 한 사람만을 위한 우편배달부라. 신선하다. 지금이야 편지를 우편배달부에게서 받을 일이 거의 없으니 이 설렘을 아는 이가 얼마나 있을까. 이메일이 유행하기 전만 해도 아는 사람들끼리 편지나 엽서를 주고받은 적이 많아 그에 대한 기억만 해도 쏠쏠한 편인데. 책을 읽으면서 나는 괜히 그런 내 추억거리를 오가느라 분주했다. 편지에 시인들의 시를 옮겨 적어 보낸 것만 해도 시집 몇 권의 분량은 될 텐데 하면서.
한 편의 시가, 한 구절의 싯구가 어떤 사람의 삶을 바꾸거나 결정하기도 한다는 것을 나는 이제 믿는 쪽이다. 좋은 쪽으로. 그래서 될 수만 있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시를 읽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갖고 있다. 나로서는 지금보다 훨씬 더 부지런해져야겠지만. 네루다에게 편지를 전해 주다가 그에게서 배운 시의 메타포로 생의 방향을 붙잡은 마리오. 민중의 지도자에게 필요한 자질이 무엇인가를 깨닫게 해준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특히 알아야 할 요소다. 민중이 그들의 생각보다 어리석지 않다는 것과 그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역량을 품고 있는 존재라는 것을. 마리오가, 이 책의 작가인 안토니오 스카르메타가, 네루다를 얼마나 존경하고 흠모했는지, 나도 이들처럼 우러러보는 우리의 정치가 한 분 만나봤으면.
사람은 떠나도 추억은 남는다고 했던가. 네루다의 시집을 구해서 봐야 할 차례가 된 것 같다.
칠레 작가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그는 신문사 문화 담당 기자로 근무할 당시, 이슬라 네그라 해안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시인 파블로 네루다를 인터뷰하는 인연으로 그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을 쓰게 된다.
1985년 발표한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스카르메타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20여 개국 언어로 번역되고, 이 작품을 원작으로 한 이탈리아 영화 ‘일 포스티노’는 외국영화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오르기도 한다.
어른이 읽어야 하는 따뜻한 동화 같다.
칠레 최고의 시인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네루다와 그에게 우편물을 배달하는 어촌마을 17세 소년 마리오 히메네스와의 아름다운 우정을 그리고 있다.
마리오는 우편을 배달하면서 네루다를 통해 시를 알게 되고, 아름다운 소녀 베아트리스를 시를 통해 가까워지고 결혼까지 하게 된다.
마리오는 병든 네루다를 끝까지 지키며 그와의 참으로 아름다운 우정을 얘기하고 있다.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를 읽고 있으면 마치 가벼운 뭉게구름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재치있는 내용과 해학적인 대화들은 한 편의 아름다운 동화를 읽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