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4년 12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6쪽 | 491g | 153*224*16mm |
ISBN13 | 9788971932230 |
ISBN10 | 8971932236 |
발행일 | 2014년 12월 1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6쪽 | 491g | 153*224*16mm |
ISBN13 | 9788971932230 |
ISBN10 | 8971932236 |
머리말 일러두기 개정발표한 《簡化字總表》에 관한 설명 중국문자개혁위원회、중화인민공화국문화부、중화인민공화국교육부의 〉간화자에 관한 연합 통지〉 《簡化字總表》 第一表 : 간화편방으로 쓰지 않는 간화자 (350자) 第二表 : 간화편방으로 쓸 수 있는 간화자 (132자) 및 간화편방 (14자) 第三表 : 第二表에 열거한 간화자와 간화편방을 응용하여 얻은 간화자 (제외) 附 錄 : 異體字(이체자) (39자) 기 타 : 俗字(속자) 추가자(1자) 영인 후기 색인 (간체자 번체자 병기 가나다순) |
중국어 공부를 시작하면서 고민스러웠던 점 중 하나가 여태 사용해 오던 번체자를 간단하게 만든 간체자였습니다.
어쩌다 만난 중국인에게 번체자를 적어 보여 줬더니 '옛 글자'라고 하면서 중국 본토에서는 번체자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중국에 가서 이렇게 메모해서 보여 주면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중국어를 공부하게 되면 꼭 간체자를 알아 둬야 되겠다고 생각은 했으나, 그 많은 한자들의 간체자를 일일이 다 찾아 봐야 하는 건가 하는 걱정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간체자에 대한 책을 찾다가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독자가 우리나라의 상용한자를 안다는 가정하에, 중국정부가 제정한 간체자(저자는 '간화자'라고 합니다) 2,249자 중 496자만 알면 되고 나머지는 조합을 통해 알 수 있다는 것이 머리말에 적혀 있습니다. 여기에 저자가 선별한 40자를 추가한 총 536자가 본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학습방향이 명확해지고 생각보다 공부해야 할 양이 많지 않아 마음이 한결 편해졌습니다.
본문에는 아래 사진에서 볼 수 있듯 각 글자마다 '설명-참고-단어'순서의 해설이 붙어 있습니다.
중국어 공부를 할 때마다 참고하며 사용하기 매우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표지 디자인부터 본문의 구성까지 옛날 책의 느낌을 살리려 한 것 같습니다만, 활자를 조금만 더 키우고 항목별로 색상을 달리 하는 등 가독성이 향상되도록 편집했으면 훨씬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