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5년 01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56쪽 | 504g | 160*230*18mm |
ISBN13 | 9788946056831 |
ISBN10 | 8946056835 |
출간일 | 2015년 01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56쪽 | 504g | 160*230*18mm |
ISBN13 | 9788946056831 |
ISBN10 | 8946056835 |
『만벵듸의 눈물』은 제주4·3연구소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진행한 ‘제주4·3 1000인 증언채록 사업’ 과정에서 녹취한 1028명의 증언채록 결과물 가운데 제주시 한림읍에 거주하는 4·3 생존자 13명의 구술을 정리해 엮은 것이다. 당시 한림면(현재 한림읍. 1935년까지는 구우면, 1935년 한림면으로 개칭, 1956년에 한림읍으로 승격)에 살았던 13인의 4·3이야기가 펼쳐진다. 특히 한림읍은 한림중학생 공개총살 사건이 일어난 지역이다. 1948년 11월 16일, 제9연대 군인들이 한림중학교 운동장에 학생과 주민들을 강제로 집합시키고 한림중학교 3학년 학생 4명(강두형, 이경혁, 좌태봉, 김계준)을 공개총살 했다. 중산간마을에서 초토화작전이 벌어져 많은 인명들이 학살되기 시작할 즈음인 이때, 총살 장면을 처음 목격한 학생과 주민들은 “동생 같고, 자식 같은 아이들이 죽는 처참한 장면에 모두 눈물을 흘렸다”고 말한다. 또한 이 책은 67년 전에 일어난 비극, 제주4·3 사건을 제주 방언으로 그대로 살려 진실에 한 걸음 다가서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한층 높였다. 이는 제주에서조차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기록·보존하는 한편, 제주4·3 당시의 상황을 그리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제주4·3 구술자료 총서 7권과 8권을 펴내며 1부 드러내지 못한 진실 1. 제주대 7인동지회 활동, 4·3운동 시작이었어요 2. 제주도민이라는 것 때문에 그렇게 타격이 심했어 3. 우리 처갓집만 열다섯 명 희생됐어요 4. 그땐 사상관계는 어디로든 감춰야 했지 5. 행방불명자 가족,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모릅니다 6. 아직도 ‘장발장’ 경감 같은 사람 있습니까 2부 소년의 고통 1. 한림중학생 네 명 전교생 앞에서 가격했어요 2. 중학생이 불붙은 장작으로 구타당했어 3. 형님 둘, 우리 또래 아이덜도 심어단 죽여부럿주 3부 그리운 아버지 1. 나 한림지서에서 치욕적으로 맞았어 2. 슬피 우는 딸 찾아 꿈속에 온 아버지 그립습니다 3. 아버지 대신 성담 쌓고 보 삿주 4. 애기고 어른이고 사름 씨 그치젠 헷주기 구술 정리를 마치며 제주4·3연구소와 제주4·3 구술자료 총서 주요 4·3 용어 해설 제주시 한림읍 지도 주요 제주어 용례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