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5년 03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424쪽 | 630g | 152*225*30mm |
ISBN13 | 9788987527390 |
ISBN10 | 8987527395 |
발행일 | 2015년 03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424쪽 | 630g | 152*225*30mm |
ISBN13 | 9788987527390 |
ISBN10 | 8987527395 |
들어가며 Chapter 1 의학, 융합으로 학문과 세상을 아우르다 의학은 원래 인문학에서 출발했다: 의학의 탄생 | 과학적 방법과 자연철학으로 성장하다: 의학의 성장 |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이 왜 필요할까?: 인문학 교육의 필요성 | 인문학적 관점에서 의학과 의료 바라보기: 의료인문학의 중요성 | 의학은 융합적 사고에서 발전한다: 의학의 융합성 | 동서양과 영역을 넘나드는 의학: 의학의 분야 Chapter 2 의학, 역사의 고비에서 인류를 구하다 의술의 신과 의학적 영웅의 공존: 의학의 여명기 | 불의의 총기 사고가 소화기전의 실체를 밝혀내다: 의사와 환자의 신뢰 | 19세기 의학계의 맞수 파스퇴르와 베르나르: 미생물학과 실험의학 | 나이팅게일이 전쟁터로 나간 까닭은?: 간호학의 발전 | 새로운 의학적 발견은 늘 도전을 받는다: 신기술 논쟁 Chapter 3 미술 안에서 살아 숨쉬는 의학적 통찰 베렌가리우스, 최초의 해부도를 남기다: 해부학과 해부도 | 중세에 종말을 고한 의학자와 화가: 베살리우스와 칼카르 | 그림에 나타난 의학의 현실: 의사와 의학 | 알렉산드로스가 요절한 진짜 이유는?: 의학적 사인 추정 | 피를 뽑아내는 게 치료법이라고?: 사혈 치료법 | 지구를 공포에 몰아넣은 콜레라의 대유행, 그림으로 표현되다: 콜레라 Chapter 4 의학, 영화와 드라마 속에서 길을 찾다 의학드라마에는 왜 외과가 주로 등장할까?: 외과와 내과 | [CSI]에서 죽은 자의 권리를 찾다: 법의학과 법과학 | DNA의 흔적을 찾아라: 중합효소연쇄반응 | 아름다운 생명력을 보여준 [안녕 헤이즐]: 암과 치료법 | 사상 최악의 바이러스의 습격, [감기]: 조류독감 | [그레이 아나토미] 속의 인공장기 수술은 실제로 가능한가?: 3D 프린팅 Chapter 5 의학, 윤리와 법 사이에서 고뇌하다 발전하는 의학 기술, 깊어지는 윤리 문제: 의료윤리학 | 의료윤리에서 생명윤리법으로 나아가다: 의학과 법 | 생명과 윤리의 문제에는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의료윤리의 4원칙 | 무한경쟁 시대에도 고객 감동의 의료가 중요하다: 환자권리장전과 의사윤리선언 | 낙태, 윤리와 법 가운데 생명을 생각하다: 낙태의 윤리성 논란 | 무엇보다 환자의 치료받을 권리가 우선이다: 환자의 권리 | 환자가 치료받기를 거부한다면?: 치료받지 않을 권리와 안락사 Chapter 6 의학, 문화를 읽고 사회를 보다 의학은 하나의 문화다: 의학과 문화 | 담배와 술에 담긴 문화사회학적 의미: 흡연과 술의 중독성 | 결핵과 에이즈, 어느 쪽이 더 위험한 질병인가?: 결핵과 에이즈 문제 | 환경파괴는 새로운 질병을 부른다: 환경문제와 감염병 | 더 중요한 것은 건강수명의 연장이다: 초고령 사회의 건강 | 한국의 건강보험제도는 세계의 자랑거리다?: 의료보험제도 Chapter 7 현대의학, 과학의 발달로 한계를 넘어서다 슈퍼박테리아와 숨가쁜 전쟁을 벌이다: 항생제 내성균주 문제 | 백신으로 암을 예방할 수 있을까?: 암과 백신 | 유전자 도핑 시대가 온다: 약물 도핑과 유전자 도핑 | 유전자를 이용해 난치병 치료를 꿈꾸다: 유전자치료법 | 개인에 맞는 치료법으로 의학의 미래를 밝히다: 맞춤의학 | 미래의 의학, 정보기술로 날개를 달다: 의학과 IT 주석 | 찾아보기 |
2015년에 출간되었으므로, 벌써 7년간 변한 세상을 반영하지 못한 아쉬움만 없다면, 꽤 재밌다. 가장 맘에 드는 내용은, 의사와 환자가 신뢰를 기반으로 교감해야 한다는 라포rapport다. 진심으로, 다른 건 어찌되가든 신경쓰고 싶지 않다고 쳐도, rapport만은 의사들이 기본 소양으로 했으면 좋겠다. 몇 년 전 80세가 넘은 어머니를 모시고 종합병원에 갔다. 어머니는 소변을 보지 못해 괴로워 하고 계셨다. 병원에선 일단 입원하고 전문의 상담을 하자고 하셨다. 그런데 전문의께서 매우 바쁘셨으므로 만 하루를 병원 침대에 누워 고통을 참고 계셔야 했다. 마침내 가슴에 'OOO교수'라는 명찰을 패용한 의사께서 피 검사부터 CT, MRI 검사를 제안했다. 그런데 피 검사는 당장 할 수 있지만 CT, MRI는 대기자가 많아서 하루 정도 더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어머니는 검사받다가 사람 잡겠다고 하시면서 병원을 뛰쳐나오셨다. 그리고 동네 의원에 가셔서 고통을 호소하셨고 동네 명의께서 처방전을 써주셨다. 어머니는 약국에서 약을 사다 잡수셨고 소변이 콸콸콸 나오게 되었다. 어머니와 나는 거의 동시에 분통을 터뜨렸다. X같은 의사XX! 누구나 겪는 의료현실이다. 그 전문의 교수님은 환자가 당하는 고통보다 병원에서 거둬야 할 수익이 더 급했다고밖에는 생각할 수 없었다.
이 책에 씌어있는 아름다운 문자들이 종이 속에서 바래지기보다는 의료현실에서 실감하게 되기를 간절하게 기원한다.
모든 의사님, 화이팅!!!
"의학은 과학이나 의료는 문화다"라는 키워드로 의학의 역사를 훓어보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교육적 목적을 지닌 책이다. 알아두면 좋을 유익한 내용들이기는 하지만, 인터넷 검색하면 다 나올만한 내용이라서 그다시 인상깊게 다가오지는 않는다.
TV 드라마와 영화속에 나타난 생활속 의학에 대한 묘사등을 통해서 과학이 아닌 문화로서의 의학을 예로들면서 어려워보이는 의학분야를 인문학적으로 친근하게 풀어보려는 시도가 신선했고, 관련 사진과 삽화도 잘 정리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정성스럽게 준비한 강의록을 읽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장차 의학분야를 전공하고 싶은 청소년들에게 추천한다. 이미 머리가 딱딱하게 굳어버린 내 경우에는 학창시절 교과서를 억지로 읽어내려갈때 필요했던 강인한 인내심이 발동했던 책이다.
의사는 사람의 몸을 치료하고 아프고 어려운 이들을 외면하지 않고 차별을 두지 말아야 한다는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