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05년 08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38쪽 | 308g | 140*210*20mm |
ISBN13 | 9780465011049 |
ISBN10 | 0465011047 |
출간일 | 2005년 08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38쪽 | 308g | 140*210*20mm |
ISBN13 | 9780465011049 |
ISBN10 | 0465011047 |
Battlegrounds: The Fight to Defend the Free World
75,750원 (18%)
Battlegrounds: The Fight to Defend the Free World
57,750원 (0%)
This Kind of War: The Classic Korean War History, Fiftieth Anniversary Edition
40,510원 (18%)
Made in 조선 North Korea : Graphics from Everyday Life in the DPRK
37,500원 (25%)
Nothing to Envy: Ordinary Lives in North Korea
17,550원 (25%)
Battlegrounds: The Fight to Defend the Free World
27,040원 (18%)
Battlegrounds: The Fight to Defend the Free World
75,750원 (18%)
Battlegrounds Lib/E: The Fight to Defend the Free World
108,220원 (18%)
Battlegrounds: The Fight to Defend the Free World
50,060원 (18%)
The Bed I Made: A Journey of Fulfilled Hope, Fifty Years in the Making
24,280원 (18%)
The Kim Dynasty of North Korea: The Notorious History of the Hermit Kingdom's Supreme Leaders
17,570원 (18%)
10년간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에서 수감되어있던 저자의 경험과 아픔을 담은 책이다. 이 책속에는 그 곳의 일상을 비롯한 실상을 적나라게 파헤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북한내의 인권의 사각지대인 정치범 수용소에서의 생활을 서술하면서 북한인권문제에 대해서 미국이나 다른 외국이 아닌 같은 민족인 남한 사람들의 관심을 호소하고 있다. 남한 사람들은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이 아직 시기상조라고 생각하는 이도 있고 대북관계 개선에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보지만 저자는 오히려 북한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북정책을 내놓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북한 인민의 불행이 계속되는 한 결국 남한의 국민들도 불행해 질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직시하자고 주장한다. 2002년 미국에서 출판되어 타임지가 선정한 2002년 ‘올해의 책 베스트 100’에 선정되었다. 1994년 7월 일본에서는 『북조선탈출』(문예춘추사)로 출간되어 ‘베스트셀러’로 선정되기도 했다. The first personal documentation of life in the North Korean labor camps from a survivor and escapee of the communist regime's prisons. North Korea is today one of the last bastions of hard-line Communism. Its leaders have kept a tight grasp on their one-party regime, quashing any nascent opposition movements and sending all suspected dissidents to its brutal concentration camps for "re-education." Kang Chol-hwan is the first survivor of one of these camps to escape and tell his story to the world, documenting the extreme conditions in these gulags and providing a personal insight into life in North Korea. Part horror story, part historical document, part memoir, part political tract, this record of one man's suffering gives eyewitness proof to an ongoing sorrowful chapter of modern history. |
참고로 저는 중학교2학년 학생이구요..
몇 가지 북한의 체제에 대한 용어만 기억한다면 그냥 술술 읽혀요.
처음 도입부는 조금 지루한 면이 없지않아 있는데, 갈수록 재미있어요.
읽으면서 정말 놀랍고 끔찍하고..
지금 작가분이 조선일보 why? 라는 토요섹션에서 북한watch였나 하여간
그런 칼럼을 연재하고 계신데요(저도 저번주에 발견했답니다;)
읽을 가치는 있는 것 같아요~ 읽다보면 은근히 남한에 대해 비난하는 듯한 구절이
있어서 읽는동안 기분이 약간 나빴던것 같아요. 저만의 생각일수도.. 하하
이책을 제가 아는 미국인 선생님에게 빌려드렸었는데요,
이거 읽고 충격이 크시더라고요...
그런데.... 그렇다고 느끼는게 많은 책은 아니었어요. 그냥 북한 체제가 참
역겨웠다고나할까.. 아무튼 그래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