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5년 07월 01일 |
---|---|
판형 | 반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292쪽 | 152*225*20mm |
ISBN13 | 9788959339082 |
ISBN10 | 8959339083 |
발행일 | 2015년 07월 01일 |
---|---|
판형 | 반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292쪽 | 152*225*20mm |
ISBN13 | 9788959339082 |
ISBN10 | 8959339083 |
제1장 북한 경제구조와 내용을 형성하는 초기 조건 1. 과도기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북한 경제의 초기 조건 2. 북한 과도기론의 실천적 정책화의 두 축 : 천리마작업반운동과 대안의 사업체계 제1장 보론 제2장 북한 경제의 형성과 구조(1953~1986) 1. 전후 북한 경제건설의 기본노선과 자력갱생 2. 천리마운동과 비(非)계획 부문 경제의 활성화 : 지방경제와 협동농장 3. 1986년 전면 도입된 연합기업소체제의 배경 제3장 『경제연구』를 중심으로 본 북한 경제(1987~2002) 1. 연합기업소체제의 전면적 도입과 시행착오(trial and error) 2. 연합기업소체제의 공고화와 지방으로의 경제 분권화 3. 1990년대 초 경제위기와 충격의 그 여파 4. 경제위기에 대한 북한의 대응 5. (과도기적) 사회주의경제관리원칙의 공고화 : 선군정치와 실리의 공존(7·1조치의 재해석) 제3장 보론 제4장 경제건설에서 북한의 선택과 집중 : 국방공업우선노선과 과학기술중시노선 그리고 그 성과(2003년~2010년) 1. 과학기술중시노선과 사회주의강성국가건설 2. 북한예산수입지출 추정치(2000~2012) 제4장 보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