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06년 11월 06일 |
---|---|
쪽수, 무게, 크기 | 148쪽 | 408g | 180*248*20mm |
ISBN13 | 9788995856918 |
ISBN10 | 8995856912 |
발행일 | 2006년 11월 06일 |
---|---|
쪽수, 무게, 크기 | 148쪽 | 408g | 180*248*20mm |
ISBN13 | 9788995856918 |
ISBN10 | 8995856912 |
1.수 이야기 2.셈과 짝짓기 3.수와 숫자 4. 수 읽기 5.자릿값 6.큰 수 7.진법 8.분수 9.소수 10.0과 음수 |
아이들에게 수학공부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학창시절 수학이 도무지 이해되지않는 과목이었습니다. 초등고학년인 아이가 수학이 제일 싫다고 말하면 날 닮으면 안되는데라는 걱정도 듭니다. 내가 먼저 수학과 친해져서 아이와 수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아이수학공부에 도움이 되겠구나라는 생각에 이 책을 구입하게 되었답니다.
이 책은 초등수학의 개념을 잘 정리 해주고 있습니다. 궁금한 부분만을 먼저 찾아 볼 수도 있고, 1권부터 차례로 봐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아이에게 읽으라고 주니 별로 재미를 못 느끼더군요. 그래서 제가 읽고 새로이 알게 된 역사적 사실이나, 원리, 문제들에 대해 아이와 함께 이야기 나누니 아이도 관심을 가지더군요. 재미있게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 있고, 한 주제가 짧고 정리가 잘 되어있습니다. 수학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주면서 혼자서 읽으라고 하기보단 부모님과 함께 읽고 통합사고력에 나오는 문제도 같이 푼다면 수학에 흥미를 가질 것 같습니다.
제목 : 행복한 수학 초등학교 1 지은이 :
쪽수 : 148쪽 출판사 : 휴먼 어린이
나는 내가 제일 자신 있는 과목이 수학이다. 그리고 내가 제일 좋아하는 책은 역사 책이다. 그런데 역시 읽어보니 재미가 없었다. 그리고 내용이 이상해서 독서록에다가 잘 못 쓸 것 같으니 양해를 구한다.
우선 수의 세계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겠다. 옛날에 숫자를 어떻게 쓰게 됬냐면 동물 가축 수를 셀 때하고 물건을 교환 할 때와 사고 팔 때이다. 어떻게 숫자를 비교 했느냐면 잔치 때 염소 한 마리와 돼지 두 마리가 팔려 나가면, 남은 가축 중에 염소가 가장 많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돌맹이 하나에 동물 한 마리로 말이다. 또 사람들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으로 물건 개수를 셌다. 하지만 수를 손이나 발가락으로 표현하기에는 너무 힘들었기에 짐승에 뼈나 나뭇가지 등으로 금을 그어 개수를 표현하기도 했다. 이렇게 문명이 발달되면서 사람들은 수 개념을 발전 시켰고, 숫자를 비롯한 기호들이 만들어 지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가 지금 숫자를 편하게 쓸수 있는 것은 이 옛날 사람들의 덕택이 아닐까 생각이 된다.
두 번째는 셈과 짝짓기이다. 숫자가 잘 발명 되지 않았을 땐 어떻게 더하기를 하고 빼기를 쉼표를 어떻게 하였을까? 답은 공통점을 찾는 것이다. 각 물건의 특징을 찾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무 종이가 만들었으니까 수학노트와 국어노트는 같은 것이다. 썩은 빵이나 그냥 빵이나 똑같다. 왜냐하면 빵은 어차피 밀가루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수와 숫자에 대하여 소개하겠다. 어떤 형제가 슈퍼에 갔습니다. 왜 슈퍼에 갔냐면 우유를 고르던 중 동생이 어떤 우유를 보고 “형, 2등급 우유가 1급 우유보다 좋은 거지” 그 말은 들은 형은 1등급이 2등급보다 훨씬 좋다고 했다. 비유적 표현을 쓰면 1등급은 시험 성적에서 1등이고, 2 등급은 2등이고 하지만 꼭 이렇다고 높은 수가 작은 수보다 작은 것은 아니다.
이번에는 큰 수의 대해서 배우겠다. 큰 수는 만을 넘는 숫자를 말한다. 억, 십억, 백억, 천억, 조 휴~ 이렇게 많은 숫자들은 대체 영이 몇 개나 들어갈까 으 머리 아파… 그런데 왜 큰 수에는 쉼표를 쓸까? 왜냐면 우리나라는 숫자를 쓸 때 세자리 마다 쉼표를 찍는 서양의 방식을 따라 하고, 읽은 때는 네 자리씩 끊어 읽는 동양 방식을 따른다.
이 책에는 여러 가지 수학을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는 방식이 나와 수학을 싫어하는 아이들이 접하면 좋을 것 같다. 나는 수학이 싫진 않지만 생각하는 것을 싫어한다. 이런 습관을 고치기 위해 여러 가지 수학 책을 읽어서 수학 박사가 되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