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6년 01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36쪽 | 128*188*20mm |
ISBN13 | 9788980158720 |
ISBN10 | 8980158726 |
출간일 | 2016년 01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36쪽 | 128*188*20mm |
ISBN13 | 9788980158720 |
ISBN10 | 8980158726 |
촘촘히 막아서는 일상에 쫓겨 우리는 한 달이나 한해를 보낼 때 비로소 그동안 꿀떡꿀떡 삼켜 왔던 시간들을 꺼내어 되새김질 하며 단지 몇 개의 기억들을 건져 올리곤 한다. 그러나 삶의 전환점이 되었던 큰 사건들은 어느 날 갑자기 불쑥 튀어 올라 온 것이 아니라 하나씩 차곡차곡 쌓이다가 마침내 터져 나온 것들이 대부분이다. 하루하루가 쌓여 일생이 되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하겠다. 성찰은 매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성찰을 함으로써 오늘 현재 나의 모습을 분명히 보고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깨달으며, 자신이 원하는 삶을 향하여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성찰은 우리가 처음에는 의미 없는 것으로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순간들이지만 궁극적으로 우리 삶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순간들을 깨달아 살아 갈 수 있도록 하는 ‘삶의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성찰을 통하여 우리는 실수와 잘못된 결정을 피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실수를 했을 때에는 실수한 것을 더욱 빨리 알아차릴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성찰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은 ‘실수와 잘못된 판단을 배움과 성장의 기회로 바꿀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데에 있다. 이 책은 두 가지 질문으로 무엇을 성찰할 것인지를 제시한다. 두 가지 질문이란, ‘내가 가장 감사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와 내가 가장 적게 감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다. 이 질문들은 우리에게 위안(consolation)과 메마름(desolation)의 순간들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러 세기 동안 신심 깊은 사람들은 이 두 종류의 순간들을 인식함으로써 그들의 일상과 삶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그 방향을 발견해 왔다’고 한다. 더불어 이 책이 갖고 있는 덕목 중 하나는 ‘3부’를 통해 성찰과정에서 궁금한 점과 자주 질문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조목조목 예를 들며 차근히 설명함으로써 우리가 성찰하면서 부딪치는 어려움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용기를 북돋아 주고 있다는 점이다. 하루를 마감하면서 잠자리에 들기 전, 잠시 예수님 앞에서 자신의 ‘하루’를 더듬어 펼쳐봄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가장 깊은 경험 안에서 말씀하시는 하느님’과 자신에게 귀 기울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하느님의 뜻은 가능하다면 언제든지 우리에게 더 큰 생명과 감사를 불러일으키는 일을 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그분의 뜻을 헤아려 살아감으로써 마침내 진정한 영복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
생명의 양식을 얻은 아이들 서두 1부: 성찰 우리는 왜 성찰이 필요할까? 성찰, 삶의 안내자 사람들이 우리에게 자기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말해주기를 원할 때 매일의 경험이 하느님의 계시이다 봉인된 명령을 찾아서 다른 사람과 함께 성찰하기 가족이 함께 하는 성찰 만일 함께 나눌 사람이 없다면? 성찰과정 2부: 900개의 초 성찰을 위한 다양한 시간과 장소 첫 번째 성찰질문만 하기 지난해에 대한 성찰 미래를 치유하기 생의 마지막 성찰 우리의 빵을 나누어주기 3부: 질의응답 이 책에 대한 성찰 |
《성찰》 이 책은 단순히 읽는 것으로만 그치지 않고, 내 곁에 가까이 두고 매일 밤 하루를 돌아보며 성찰 내용을 내 삶에 적용시킴으로써 나를 사랑과 생명력 가득한 모습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침서이다.
이 책은 우리 자신에게 던지는 두 가지 질문에 관한 것이다. '내가 가장 감사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와 '내가 가장 적게 감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두 질문들은 우리에게 위안과 메마름의 순간들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러 세기 동안 신심 깊은 사람들은 이 두 종류의 순간들을 인식함으로써 그들의 일상과 삶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그 방향을 발견해 왔다고 한다.
책 내용 중에서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세 분의 공저자가 자신의 관점에서 왜 성찰이 필요한지를 기술한 것이다.
비관주의자 마태오 린은, 열 사람의 칭찬은 잊어버리고 개선해야 할 점을 지적한 한 사람만 기억하는 완벽주의자이기도 하다. 그에게는 잘못뿐 아니라 특히 잘한 것도 알아차리기 위하여 성찰의 도움이 필요하다.
낙천주의자 데니스 린에게 성찰이 중요한 이유는, 하루 종일 그가 그다지 감사하지 않는 순간들을 통하여 하느님께서 어떻게 말씀하시는지 그 방법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절대 평화주의자'인 데니스의 중독은 그를 항상 감사하고 행복하게 하며 절대로 풍파를 일으키지 않게 한다. 그래서 그에게는 슬픔과 고통의 감정을 인지하고 그것을 통해 하느님께서 어떻게 말씀하시는지 듣기 위해 성찰이 필요하다. 때로는 '용기를 내어서 풍파를 일으키고 자신을 지켜라'하는 것이 하느님이 그에게 말씀하시는 바이기도 하다.
쉴라 린에게는 성찰이 내 생각에 이래야만 하는 나로서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나로서 살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필요하다. 쉴라는 어렸을 때 나 자신을 믿어도 좋다고 충분히 격려를 받지 못했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이 그녀에게 기대한다고 여겨지는 것에 부응하느라고 애쓰되, 그녀가 필요로 하는 것과 원하는 것이 있으면 부끄러워하고 부인하도록 배웠다. 쉴라에게는 나 자신의 현실 안에서 살지 않고 나에게 필요한 것을 소중히 여기지 않고 다른 사람들의 현실을 중심으로 사는 상호의존증에서 회복되기 위하여 성찰의 도움이 필요하다. 쉴라는 성찰을 통하여 나에게 위안과 메마름을 가져오는 것들의 패턴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나의 필요와 욕구를 신뢰하는 법을 배웠다고 한다.
세 분의 이야기를 읽고 나에게도 성찰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하느님께서 진정으로 나에게 원하시는 바를 더 잘 알아들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성찰은 하루를 마치면서 조용한 시간을 갖고 자신에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하루 중 어느 순간에 대하여 가장 많이 감사하는가?
하루 중 어느 순간에 대하여 가장 적게 감사하는가?
오늘 중 언제 가장 많이 사랑을 주고받았는가?
오늘 중 언제 가장 적게 사랑을 주고받았는가?
오늘 나는 언제 가장 살아있다고 느꼈는가?
오늘 나에게서 생동감이 빠져나간다고 가장 크게 느낀 때는 언제인가?
오늘 중 나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 하느님, 우주에 가장 큰 소속감을 느낀 때는 언제인가?
오늘 중 그런 소속감을 가장 적게 느낀 때는 언제인가?
오늘 중 언제 가장 행복했는가?
오늘 중 언제 가장 슬펐는가?
오늘 중 최고의 순간은 언제인가?
오늘 중 최악의 순간은 언제인가?
매일 밤 그날 감사할 것들을 기억하고 감사를 드린다. 다음에 그다지 감사하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 내가 감사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면 그것에 이름을 붙이고 그것에 대한 느낌에 머문다. 그리고 그것을 거부하지 않으면서 그것 안에서 나와 함께 계시는 하느님께 감사를 드린다. 치유는 나의 모든 감정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그 모든 감정과 함께 내가 사랑받도록 스스로 허용하는 만큼 일어난다. 이런 방법으로 나는 있는 그대로 고통을 인정하고 사랑을 받아들인다. 이렇게 한 뒤에는 거의 언제나 감사하는 마음으로 잠들 수 있다고 한다.
또 나에게 신선하게 다가왔던 구절은 다음과 같다.
"에너지의 소진은 근본적으로 일을 너무 많이 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원하지 않는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생긴다. 곧 한쪽 발은 내딛고 있는데 다른 한쪽 발은 도망가려고 하기 때문이다.
《성찰》은 나에게 소중한 보물처럼 다가온 책이다. 나 또한 저자들이 제시하는 매일의 성찰을 통해 나의 생명력을 키우는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간직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