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4년 11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0쪽 | 484g | 153*224*16mm |
ISBN13 | 9788974831745 |
ISBN10 | 8974831740 |
출간일 | 2014년 11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0쪽 | 484g | 153*224*16mm |
ISBN13 | 9788974831745 |
ISBN10 | 8974831740 |
《징비록》의 밑바탕이 된 《서애집》 그 속에서 찾아내 엮은 ‘종군의 기록’ 추가 수록! ‘2014 개정증보판’ 《징비록》은 기존 《징비록》(2003년 출간)의 내용상 오류를 바로잡고 편집을 새롭게 했을 뿐 아니라, 유성룡이 《징비록》을 쓰는 데 밑바탕이 된 글을 모아 ‘유성룡 종군의 기록’이란 이름으로 뒤에 덧붙였다. 그 글은 유성룡의 저작집인 《서애집》에 흩어져 있는 기록들을 옮긴이가 직접 가려 뽑고 요약, 정리한 결과물이다. ‘때에 맞춰 해야 할 일을 분야별로 아뢰는 글’, ‘평양을 수복한 뒤 세자에게 아뢰는 글’, ‘굶주리는 백성의 구원을 진정하는 글’, ‘훈련도감을 설치한 기록’, ‘이순신을 애도하는 시’ 등의 기록을 통해 독자들은 《징비록》과 임진왜란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계사년 10월, 거가가 환도하니 불타고 남은 것들만이 성안에 가득하고, 거기에 더해 전염병과 기근으로 죽은 자들이 길에 겹쳐 있으며, 동대문 밖에 쌓인 시체는 성의 높이에 맞먹을 정도였다. 그 냄새가 너무 더러워 가까이 갈 수조차 없었다. 사람들은 서로 잡아먹어, 죽은 시신이 보이면 순식간에 가르고 베어 피와 살이 낭자했다. - ‘유성룡 종군의 기록’ 중에서 |
개정판을 내며 유성룡과 《징비록》 스스로 쓰는 서문 징비록 1권 징비록 2권 녹후잡기 유성룡 종군의 기록 참고문헌 유성룡 연보 찾아보기 |
잘 몰랐던 임진왜란의 처절함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책입니다. 류성룡의 글쓰기에 감탄도 했지만 1592년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이 얼마나 비참했는지 보면서 한편으로는 가슴이 너무 아팠고 조상들의 희생으로 지켜진 이땅에 우리가 살고 있음에 다시한번 감사함을 느끼게 해준 책입니다.
역사를 이제서야 알게됐다는게 반성도 되고 잊지 않고 평생 간직해야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시간이 날때 한번 더 읽고싶은 책이에요.
징비록, 이야기와 방송, 시험공부로 이런 책이 있다는 것만 알았지. 실제로 읽은 적은 없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이 책을 구매하기로 했다. 읽어보니 역시 유성룡의 자세한 기록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실록도 자세하게 기록되었지만,토크멘터리 전쟁사에서 한국은 전근대사 때 일어난 전쟁 기록이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너무 부족하다는 내용이 있었다. 그래서 이 징비록의 가치가 높다고 생각한다.
언젠가는 읽어야겠다는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어쩐지 계속해서 미루기만 했다. 괜한 핑계만 만들면서 한도 끝도 없이 미루고만 있다가 이제야 읽게 됐다. 어렵지 않을까? 라는 생각만 앞섰는데, 막상 펼쳐보니 생각보다 수월하게 읽혔다.
“개정증보판 <징비록>은 기존 <징비록>(2003년 출간)의 내용상 오류를 바로잡고 편집을 새롭게 했을 뿐 아니라, 유성룡이 <징비록>을 쓰는 데 밑바탕이 된 글을 모아 '유성룡 종군의 기록'이란 이름으로 뒤에 덧붙였다. 그 글은 유성룡의 저작집인 <서애집>에 흩어져 있는 기록들을 옮긴이가 직접 가려 뽑고 요약, 정리한 결과물이다.”
임진왜란이 어떤 성격의 전쟁이고 그 의미에 대해서 무슨 말이라도 꺼내고 싶지만 안타깝게도 알고 있는 게 너무 부족하니 뭔 말을 꺼내기 전에 우선은 좀 알아봐야 할 것 같다는 생각으로 읽게 된 ‘징비록’은 “지난 실책을 반성하고 후일을 대비하는 내용”으로 가득 채워져 있고, 몸소 겪고 지켜본 류성룡이 쓰디쓴 마음으로 전란이 어떤 식으로 시작해서 끝났는지를 소상하게 기록하고 있다.
류성룡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군사 업무를 관장하는 전시 재상이었다. 임진왜란이 이후 영의정 자리에서 물러나 전쟁을 회고하며 반성하는 의미로 『징비록』을 저술하였다. 유성룡은 1542년 10월 1일 경상도 의성현 사촌리에서 황해도 관찰사 유중영과 어머니 안동 김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호는 서애(西厓),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4세부터 글을 읽고 14세에는 향시에 합격하는 등 명석한 두뇌를 지녔던 그는 일찍이 많은 시험에 급제하여 높은 벼슬을 지냈다. 21세에 퇴계 이황에게 가르침을 받고 23세에 생원 회시 1등, 진사시 3등으로 급제하여 이듬해에 성균관에 입학했다. 25세에는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하면서 병조좌랑, 이조좌랑, 홍문관 부제학, 대사헌, 병조판서, 이조판서 등의 관직을 지냈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직후에는 영의정에 임명되었다가 파직되지만 다시 도체찰사의 자리에 올라 조선의 내정과 군사 상황을 총괄하였다. 이순신 장군과 어린 시절부터 알고 지내온 유성룡은 왜란에 대비하여 이순신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로 등용하여 왜란으로 인한 국가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자 힘썼다. 그러나 임진왜란이 끝난 1598년, 북인의 탄핵으로 영의정에서 파직당하고 이듬해에 고향인 하회마을로 낙향하였다. 이후 조정에서 다시 벼슬을 내렸으나 저술에만 힘썼으며, 이후 병산서원에 위패가 모셔졌다. 그가 저술한 임진왜란 회고록인 『징비록』은 당시의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실제적인 묘사와 기록이 담겨있다. 더불어 지난 실책을 반성하고 후일을 대비하는 내용까지 담고 있어 가치가 높은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징비록’에 대해서 뭘 더 말할 건 없을 것 같다. 워낙 알려진 책이고 국보로 지정되었을 정도니 덧붙일 건 없을 것이다. 임진왜란에 대해서 알고자 한다면 꼭 읽어봐야 할 글이고, 그걸 떠나서도 전란의 과정에서 보게 된 다양한-서글픈 모습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생각보다 술술 읽을 수 있으니(물론, 기분 좋게 읽을 순 없다) 아직 주저하는 사람이라면 편한 마음으로 읽기를 시도하길 권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