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사이즈비교 파트너샵보기 공유하기

김수영 전집 1

: 시

리뷰 총점9.2 리뷰 18건
베스트
시/희곡 top100 4주
구매 시 참고사항
  • 본 도서의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신상품이 출시되면 알려드립니다. 시리즈 알림신청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얼리리더를 위한 3월의 책 : WOOF! WOOF! 책멍이 마그넷 증정
3월의 굿즈 : 산리오캐릭터즈 타포린백/물병파우치/3단우산/미니 토트백/마티스 접시&테이블매트 세트
소장가치 100% YES24 단독 판매 상품
3월 쇼핑혜택
현대카드
1 2 3 4 5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03년 07월 05일
쪽수, 무게, 크기 640쪽 | 724g | 160*232*35mm
ISBN13 9788937407147
ISBN10 8937407140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1명)

관련자료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1981년 9월 30일 초판 간행된『김수영 전집』(시, 산문)이 22년 만에 개정판으로 다시 출간한다. 그동안『김수영 전집』은 각각 27쇄, 25쇄를 중쇄하였었다.『김수영 전집』은 당시 출간을 계기로 함께 제정된 <김수영 문학상>과 함께, 한국 현대시사의 기념비로 자리 잡았고, 독자들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왔다. 이번 개정판은 초판에서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일부 오류를 바로잡아 출간한다. 또한 일반 독자라도 누구나 쉽게 김수영 시와 사유의 세계를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한자를 한글로 바꾸면서 병기하였고, 일본식 한자를 우리식 한자어로 고쳤고, 외래어와 일본어를 적절히 고치면서 주석을 다는 등.) 따라서 이 판본과는 다르게, 시인의 육필 원고를 사진 촬영하여 연구자나 전문 독자들을 위한 <사진판 김수영 시집>을 발간할 예정(2004년 초)이다.

『김수영 전집』은 김수영의 시와 사유의 세계를 독자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함을 목표로 지난 1981년에 간행되었다. 이 전집은 당시 원고 표기 그대로 따르고 있어서, 이해의 난맥상이 다소 있었다. 특히 지금은 많이 쓰지 않는 한자와 당시 표기 방식을 따른 외래어, 일본식 한자 및 일본어는 주석 없이는 지금의 독자들이 이해하기 힘들다. 현대의 독자들에게 읽힐 수 있도록 현대어 맞춤법과 띄어쓰기, 한글한자 병기, 우리말 순화가 다소 필요하였다. 또 한편, 시인이 남긴 고귀한 가치, 즉 시적 유산을 계승하고자 하지만, 간혹 <‘뜻’이나 ‘어감’을 달리 주어 오류를 범할 수 있게 될 가능성>도 있었다. 따라서 이번 개정판 작업에는 이에 유의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준을 세웠다.
1) 전집은 1981년 초판 간행된 판에서와 같이, 시인이 남긴 원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열은 원칙적으로 집필(탈고) 순서에 따른다.
2)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모두 현행 맞춤법 규정에 따라 고친다.
(예: 소매자락⇒소맷자락, 얼골⇒얼굴, 추은⇒추운 등)
다만 방언 및 음역인 경우와 어감이 현저하게 달라질 경우, 당시의 표기를 그대로 살린다.
(예: 서서(西瑞), 피안도, 쥐정, 곳쿄노 마찌, 지아이 가리 등)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여 원본의 한자는 모두 한글로 고치면서 병기하고, 반복되어 나오는 경우 한 번만 표기한다.
(예: 朱雀星⇒주작성(朱雀星), 矢箭⇒시전(矢箭), 등)
현행 맞춤법에 따라 지금은 쓰지 않는 한자어를 한글로 바꾼다.
(예: 작란(作亂)⇒장난, 색갈(色褐)⇒색깔, 천동(天動)⇒천둥, 재조(才操)⇒재주 등)
외래어 역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맞도록 고치지만, 현저하게 어감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그대로 둔다.
(예: 가리포루니야⇒캘리포니아, 캉가루⇒캥거루, 젯트機⇒제트기 등, 단 후란넬 저고리, 제임스 띵, 나는 아리조나 카보이야, 쓰메에리 등은 그대로 두었다.)

3) 시집『달나라의 장난』(춘조사, 1959)과 전집 초판(1981), 그리고 개정판에 이르는 동안의 변개(變改) 과정에 대해 주석을 통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역시 주석에는 어려운 한자어, 외래어, 일본식 한자 등이 설명되어 있다.

미공개 시「아침의 유혹(誘惑)」발굴

개정판 편집 과정에서 시「아침의 유혹(誘惑)」을 발굴하였다. 발굴 경위는 다음과 같다.
이번 전집 개정판 작업을 하던 도중, 유족(김수명 씨, 김수영 시인의 여동생)의 작업 노트에 있는 메모를 근거로, <국회도서관>, <국립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등의 자료열람실에서 영인본과 마이크로필름화된 <<자유신문>>을 찾았다. 1949년 4월 1일자 신문 2면 좌측 중앙단에 게재된 것을 확인하였고, 텍스트 확정 작업을 한 후 게재하였다.
이 시는 해방 직후 한국전쟁 전에 쓰인 것으로, 김수영 초기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데 큰 의의를 가질 것이다. (1950년 이전 작품으로 전집에 수록된 작품은 그동안 8편이었다.) 이 시는 초기 시로서 젊음의 시인 김수영의 정열과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의 특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서울역의 화환>, 등의 시어를 통해 해방 직후 한국 현대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시는 시인의 유일한 시집 『달나라의 장난』(춘조사, 1959)에 수록되지 못하였는데, 당시 시인이 쓴 후기를 보면, 해방 이후 6. 25전에 쓴 작품이 3작품밖에 수록되지 못한 사정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토끼」,「아버지의 사진」,「웃음」의 세 작품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6. 25 후에 쓴 것이며, 그 중에도 최근 3,4년간에 쓴 것이 비교적 많이 들어 있다.
낡은 작품일수록 애착이 더해지는 것이지만, 해방 후의 작품은 거의 소실된 것이 많고, 현재 수중에 남아 있는 것 중에서 간신히 뽑아낸 것이 이상의 세 작품이다…….”
<1959. 11. 10. 김수영, 『달나라의 장난』 후기 중에서>

다음은「아침의 유혹」시 전문이다. 본문 중 ○○ 부분은 발표 지면이 심하게 훼손되어 판독이 불가능한 대목이다. 향후 독자와 연구자들에 의해 이 부분이 복원되기를 기대하며 이번 개정판에 수록한다.

아침의 유혹

나는 발가벗은 아내의 목을 끌어안았다
산림(山林)과 시간(時間)이 오는 것이다
서울역에는 화환(花環)이 처음 생기고
나는 추수(秋收)하고 돌아오는 백부(伯父)를 기다렸다
그래 도무지 모―두가 미칠 것만 같았다.
무지무지한 갱부(坑夫)는 나에게 글을 가르쳤다
그것은 천자문(千字文)이 되는지도 나는 모르고 있었다.
스푼과 성냥을 들고 여관(旅館)에서 나는 나왔다
물속 모래알처럼
소박(素朴)한 습성(習性)은 나의 아내의 밑소리부터 시작(始作)되었다
어느 교과서에도 질투의 ○○은 무수하다
먼 시간(時間)을 두고 물속을 흘러온 흰 모래처럼 그들은 온다
U?N위원단이 매일 오는 것이다
화환이 화환이 서울역에서 날아온다
모자 쓴 청년(靑年)이여 유혹(誘惑)이여
아침의 유혹이여
<1949. 4. 1, 자유신문>

다음은 이번 전집 개정판의 주요한 개정 사항이다.

제1권 시집(176편 수록)
―발굴된 시「아침의 유혹」수록.
―시『판문점의 감상』: 전상기 씨(세명대 강사)가 <문학사>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 준비 과정에서 경향신문 1966년 12월 30일자에 실린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2002년 <<민족문학사 연구>>에 발표하였다. 역시 전집 개정판 작업 도중 이를 확인하고, 텍스트 확정 작업을 거친 후 게재하였다.
―시인이 남긴 원고를 기준으로 대조 작업을 여러 차례 하여, 초판의 오류를 상당 부분 수정하였다.
―최초의 원고 상태에서 시집 『달나라의 장난』, 초판 『김수영 전집』 그리고 개정판에 이르기까지의 변개(變改) 과정을 주석으로 설명하였다.
―어려운 한자, 일본어 등의 외래어 등을 주석으로 설명하였다.
―현대어 맞춤법, 띄어쓰기로 정본 텍스트 확정.

회원리뷰 (18건) 리뷰 총점9.2

혜택 및 유의사항?
시인의 읊조리는 소리가 쉬이 걷히질 않는다.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모*루 | 2018.11.11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김수영의 시집을 읽었다.고백하건데 생전 처음으로 본 시집이다.특별한 계기가 있던 것도 아니다.그저 시인이 잠들어 있는 동네에 살고 있으니 봐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무같은 것.   김수영은 드물게 현실 정치에 큰 관심을 두고 이를 열정적으로 작품으로 발표했다고 한다. 그런데 문득 눈에 띄는 시 한 편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그 역시도 나같은 장삼이사들과;
리뷰제목

김수영의 시집을 읽었다.

고백하건데 생전 처음으로 본 시집이다.

특별한 계기가 있던 것도 아니다.

그저 시인이 잠들어 있는 동네에 살고 있으니 봐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무같은 것.

 

김수영은 드물게 현실 정치에 큰 관심을 두고 이를 열정적으로 작품으로 발표했다고 한다. 그런데 문득 눈에 띄는 시 한 편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그 역시도 나같은 장삼이사들과 똑같은 고민과 번뇌와 자책을 안고 살았던가.

시인의 읊조리는 소리가 쉬이 걷히질 않는다.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

저 왕궁 대신에 왕궁의 음탕 대신에

50원짜리 갈비가 기름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

옹졸하게 분개하고 설렁탕집 돼지 같은 주인년한테 욕을 하고

옹졸하게 욕을 하고

 

한번 정정당당하게

붙잡혀간 소설가를 위해서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고 월남파병에 반대하는

자유를 이행하지 못하고

20원을 받으러 세 번씩 네 번씩

찾아오는 야경꾼들만 증오하고 있는가

 

옹졸한 나의 전통은 유구하고 이제 내 앞에 정서(情緒)

가로놓여 있다

이를테면 이런 일이 있었다

부산에 포로수용소의 제14야전병원에 있을 때

정보원이 너스들과 스펀지를 만들고 거즈를

개키고 있는 나를 보고 포로경찰이 되지 않는다고

남자가 뭐 이런 일을 하고 있느냐고 놀린 일이 있었다

너스들 옆에서

 

지금도 내가 반항하고 있는 것은 이 스펀지 만들기와

거즈 접고 있는 일과 조금도 다름없다

개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 비명에 지고

머리에 피도 안 마른 애놈의 투정에 진다

떨어지는 은행나무잎도 내가 밟고 가는 가시밭

 

아무래도 나는 비켜서 있다 절정 위에는 서 있지

않고 암만해도 조금쯤 옆으로 비켜서 있다

그리고 조금쯤 옆에 서 있는 것이 조금쯤

비겁한 것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니까 이렇게 옹졸하게 반항한다

이발쟁이에게

주인에게는 못하고 이발쟁이에게

구청 직원에게는 못하고 동회 직원에게도 못하고

야경꾼에게 20원 때문에 10원 때문에 1원 때문에

우습지 않으냐 1원 때문에

 

모래야 나는 얼마큼 작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작으냐

정말 얼마큼 작으냐

 

<1965, 11, 4>

댓글 0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구매 김수영 전집 1- 시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YES마니아 : 로얄 b*****e | 2017.12.27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그저 마음은 동할 뿐, 그 만큼 움직일 수 없는 나약함에 얽매인 나를 깨달은 순간, 나의 길을 가고 있을 뿐인데,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지 찾을 수 없는 순간,  그 무엇이라도 필요했다. 힘을 내어 걸음을 내딛으려하는데, 늪처럼 발을 잡아끄는 나에게나는 그 무엇이라도 주고 싶었다. 김수영의 이름을 다시 듣던 그 날!가슴이 뛰었다. 교과서로 알았던 시;
리뷰제목

그저 마음은 동할 뿐, 그 만큼 움직일 수 없는 나약함에 얽매인 나를 깨달은 순간, 

나의 길을 가고 있을 뿐인데,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지 찾을 수 없는 순간,  

그 무엇이라도 필요했다. 

힘을 내어 걸음을 내딛으려하는데, 늪처럼 발을 잡아끄는 나에게

나는 그 무엇이라도 주고 싶었다. 

김수영의 이름을 다시 듣던 그 날!

가슴이 뛰었다. 


교과서로 알았던 시인이 전부가 아님을 알게 되어서 신선하기도 하고

반갑기도 했다. 


그의 고통스런 속내가, 치열한 고뇌가 왜 이렇게 내 마음을 뛰게 하기도 하고

이해하지 못하는 어려운 시를 만나게 되면 도대체가 더 궁금해지기도 하고

그의 강인하면서도 서글프게 느껴졌고,

그래서 나도 위로 받고, 나도 시인을 위로하고 싶었다. 


오며 가며 꺼내들어 읽고 있다. 

어려우면 어려운데로, 반가우면 반가운데로, 그렇게 읽고 있다. 


김수영의 산문집도 기대가 된다. 


댓글 0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구매 김수영의 시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b********7 | 2017.12.23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시인 자신이 6.25 상황에서 포로생활을 했고 억압의 시간들과만 함께 하다가 훌쩍 떠나버려서인지 자유를 갈망하는 목소리는 뚜렷하고 울림이 크지만 그 갈증을 채워주는 시가 충분히 쓰여지지 않은 채 생이 끝나버린 것만같아서 안타깝다. 시인의 모든 시에 공감하지는 않으나 그의 치열함만큼은 존경한다. 개인적으로 이런 안타까움을 김종삼 시인의 전집에서 채우고 있다. 후인의 복이;
리뷰제목
시인 자신이 6.25 상황에서 포로생활을 했고 억압의 시간들과만 함께 하다가 훌쩍 떠나버려서인지 자유를 갈망하는 목소리는 뚜렷하고 울림이 크지만 그 갈증을 채워주는 시가 충분히 쓰여지지 않은 채 생이 끝나버린 것만같아서 안타깝다. 시인의 모든 시에 공감하지는 않으나 그의 치열함만큼은 존경한다. 개인적으로 이런 안타까움을 김종삼 시인의 전집에서 채우고 있다. 후인의 복이다. 감사드린다.


댓글 0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한줄평 (14건) 한줄평 총점 10.0

혜택 및 유의사항 ?
평점5점
김수영을 다시 만나게 되어 좋다!
이 한줄평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YES마니아 : 로얄 b*****e | 2017.12.27
평점5점
강신주에게서 김수영으로~ 감동적인 만남이다
이 한줄평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b***n | 2017.11.01
평점5점
이제야 김수영을 알았다. 조금은 부끄럽기도 미안하기도
1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1
y******7 | 2017.06.14
뒤로 앞으로 맨위로 aniAl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