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7년 08월 18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 PC(윈도우),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
파일/용량 | PDF(DRM) | 5.18MB ? |
글자 수/ 페이지 수 | 약 274쪽? |
ISBN13 | 9791160780406 |
출간일 | 2017년 08월 18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 PC(윈도우),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
파일/용량 | PDF(DRM) | 5.18MB ? |
글자 수/ 페이지 수 | 약 274쪽? |
ISBN13 | 9791160780406 |
세사를 잊고자 삿갓 쓰고 젓대 들고 계족산 절벽에 올라 눈 감고 요천순일지곡(청성곡)을 불고 있으면, 어느 새 산새들이 날아 와 지저귀고, 하늘에는 흰 구름 동동 한가로이 떠 정영 선경에 든 것이다. 대금을 아뢰다가 눈을 뜨면 산객들이 듣다가 ‘김삿갓’이라 해 ‘계족산 김삿갓’이 된 것이고, 그리하여 이 시조집을 <계족산 김삿갓 풍자시조집 2 “담담하게 그냥 그대로”>라 명명한 것이다. 원래 김삿갓은 본명이 김병연(1807~1863)으로,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성심이며, 호 이명, 지상, 또는 난고이다. 홍경래의 난 때 선천부사로 있던 그의 조부 김익순이 반란군에 투항한 것을 비난하는 시를 써 지방시 장원을 하였는바, 어머니로부터 할아버지의 내력을 듣고는 이를 수치로 여겨, 평생을 삿갓으로 얼굴을 가리고 죽장을 짚고 방랑했다 하는데, 그가 풍자시를 잘 써서 김삿갓 하면 적나라한 풍자시조를 떠 울리는 것이다. 더욱이 필자가 세사를 시조형태로 쓴 것은, 마침 우리 이 시조를 유네스코 인류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작업이 펼쳐지고 있어, 이 겨레 시조가 세계인의 눈에 확 띄게 일조를 하자는 뜻으로 시조 형태로 지은 것이다.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한 전통 시 형태이며, 조선시대에 유행한 시가 양식으로, 시조는 형태적 특성에 따라 몇 갈래로 나뉘는데, 이중 평시조는 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성되는 3장과, 하나의 장에 2개의 구로 구성되는 6구(3장 6구), 특히 한국어의 특징인 끊어 읽기 단위인 12번의 음보로 구성되는 틀을 지닌 정형시이다. 이 시조가 한민족과 함께 걸어왔고 걸어갈 길이라면 꼭 정서적인 시조만이 아니고, 내용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사안에 따라 미래나 과학적 사실을 시조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자수가 초장 3 4 3 4, 중장 3 4 3 4, 종장 3 5 4 3자가 원칙이지만, 원칙에는 항상 예외가 있는 법, 정형시조 뿐만 아니라 사설시조도 있는 만큼, 더 나아가서 종장의 첫 구 3자만 지켜진다면, 시조의 내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것이리라. |
계족산에 올라 / 은행나무 / 용문사 은행나무 / 주차장. 그리고 누나 / 2017. 3. 23. / 장갑 / 어느 해 가을 / 무제 1 / 무제 2 / 나는 왜? / 펭귄 모부정 / 아버님 사진 / 투발루 / 지연출발 / 중국 스모그 / 청도 / 청도 배추 / 란 호텔 / 노산 / 시비 / 세월호 - 핵심 / 몰라도 너무 몰라 / 오와일무 성사불성 / 출근시간 / 퇴근버스 / 차 그림자 / 임사체험 1 / 임사체험 2 / 출근길 1 / 출근길 2 / 출근길 3 / 출근길 4 / 어느 일상 1 / 어느 일상 2 / 어느 일상 3 / 염천 / 계족산성 / Live Dokdo 앞에서 / 뇌수막염 / 머루포도 / 오늘의 어떤 교회 1 / 오늘의 어떤 교회 2 / 학 / 능수버들 / 특권? / 어떤 상담 1~228 / 그 돈 모아 뭐 하나? / 돈벌들에게 / 권력이란 / 상담을 하는 이유 / 깨달음의 어려움 / 가뭄 1 / 가뭄 2 / 가뭄 3 / 가뭄 4 / 가뭄 5 / 물난리 1 / 물난리 2 / 어머니의 힘 / 사월이여! 다시 오지 마소서!! / 손을 잡아 보셔요 / 깨진 독에 물 붓는 법 / 이글거리는 숯불 위에 연꽃을 피워 보라!! / 고행 / 섣달그믐 날 / 시내버스 1~46 /~ / 617 시내버스 김희권·장동복 운전사 / 차비자동수급 System / 지덕 / 어떤 국회의원 1 / 어떤 국회의원 2 / 어떤 국회의원 3 / 기초의원 / 도리깨질 / 어느 여인 1~11 / 태양 / 이 은혜 1 / 이 은혜 2 / 수성 / 금성 / 샛별 / 지구 / 생명체 / 달 / 화성 / 물의 존재 / 목성 / 목성 위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 명왕성? / 지동설 / 국제우주정거장 / 여권 / 김대진 부장 / 檀園 金弘道 / 박준영 변호사 / 담쟁이덩굴 / 주목 / 두릅 / 박태기 / 실레네 스테노 필라 / 돌이끼 / 대봉감 / 시비 = 초막에서 / 물리법칙 / 사부님 / 주자 십회 / 심우정에 올라 |